|
김유미. http://cafe.daum.net/chosunsa/POVo/3848
서양인의 식탁의 주메뉴로 올라가는 조선계(朝鮮稽)를 소개해 드립니다.
-먼저 우리에게 생소한 채소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채소의 이름은 조선계라고 불리웁니다.
아래의 내용을 보시고 사실에 접근해 보시기 바랍니다.
-朝鲜蓟(조선 계)
-지중해를 원산지로 하는 채소라고 함
-오래전 부터 서양의 식탁의 주 재료로 사용되어 왔음
-Cynarascolymus L이라는 학명을 가지고 있으며,
-19세기까지도 중국대륙에서 재배된적이 없는 채소, 지금도 중국에서는 소량만 재배,
-한국에서는 서양요리에만 사용되는 채소로 잘알려지지 않음,
-학명을 보면 Cynara의 의미가 무엇인지 사전마다 명확치 않으며,
-중국에서는 조선계,양계(서양계)라고 명명하며, 일본에서는 조센 아자미 혹은 툐센아자미(잘못된 로마표기)로 불리움.
-먼저 중국에서 언제부터 조선계로 불리워졌는지...중국에 들어온 것이 19세기 이후라고 합니다.
아마도 일본에서 조센 아자키, 자폰 아자키라 부르며 즐겨사용했던 듯해 보입니다.
-학명으로 조선과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연구해 볼 가치가 있어 보입니다.
-많이 재배되는 곳으로 그리스 지중해 연안 아프리카 북부,아메리카 등지에서 대규모 생산이 되고 있습니다.
-Chousen azami (Tyousenn azami - faulty romanisation)처음 사용되었다는Tyousenn("툐센")이라는 발음이 한글 발음과도 유사하기도 하구요 무언가 의도가 있어 보이기도 합니다.
朝鲜蓟,别名菊蓟、菜蓟、法国百合、荷花百合,学名Cynarascolymus L.,为菊科 (Comopsite) 菜蓟属多年生草本植物。原产地中海沿岸,是由菜蓟 (C.cardunculus L.)演变而成。以法国栽培最多。
19世纪由法国传入我国上海。目前我国主要在上海、浙江、湖南、云南等地有少量栽培。近年来,美国及西欧等发达国家对朝鲜蓟的消费和进口量不断增加,罐头制品在国际市场供不应求,为适应国际市场的需要,我国台湾省有较大面积种植,产品供出口创汇。
朝鲜蓟以花蕾供食,叶柄经软化栽培后可煮食。
http://baike.baidu.com/view/145986.htm
조선계, “국계“,“채계”,“프랑스백합”,연꽃백합,이라는 별명이 있으며,
학명으로는 Cynarascolymus L, 국과(Comopsite)채계로서 다년생초본식물이다.
원산지는 지중해연안으로서 채계(C.cardunculus L.)로부터 변화(개량)되어 현재에 이른다.
19세기 프랑스로부터 중국상해로 들여왔다.
현재 주로중국 상해 절강 호남 운남등지에서 소량 재배된다.
최근들어 미국과 서유럽등 선진국가의 조선계의 소비와 수입과 수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고, 통조림제품이 국제시장에서 공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국제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중국대만에 비교적 대규모 면적에서 재배하고 있으며, 산품을 수출입에 이바지함으로 흑자를 창출해 나가고 있다.
조선계는 꽃망울을 식용으로하는 작물로서 잎과 줄기가 부드러워 재배후 삶아서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Cynara scolymusL.
SYNONYM(S) : Cynara cardunculus L. var. sativa Moretti, Cynara cardunculus L. var. scolymus L.
ARABIC : الخرشفEl-kharshûf.
CHINESE : Chao xian ji, Yang ji.
DANISH : Artiskok, Artiskokker.
DUTCH : Artisjok, Artisjokken.
ENGLISH : Artichoke, Globe artichoke.
FINNISH : Artisokka, Latva-artisokka.
FRENCH : Artichaut, Artichaut commun.
GERMAN : Artischoke.
GREEK : Aγγινάρα Agginara, ΑγγινάρεςAgginares, Aγκινάρα Agkinara, Aγκινάρες Agkinares.
HEBREW : ארטישוקArtishok, קנרס תרבותיKinras tarbuti.
ITALIAN : Carciofo.
JAPANESE : Chousen azami (Tyousenn azami - faulty romanisation).
PORTUGUESE : Alcachofra, Alcachofra de comer, Alcachofra hortense.
RUSSIAN : Artishok koliuchii.
SPANISH : Alcachofa, Alcacil, Alcaucil.
SWEDISH : Kronärtskocka.
TURKISH : Enginar.
VIETNAMESE :
http://www.plantnames.unimelb.edu.au/Sorting/Cynara.html
첫댓글 중국, 일본에서 유럽채소를 조선채소라 명한 것은 유럽이 대조선의 영역과 깊은 연관, 비밀이 숨겨져 있슴을 알 수 있습니다. 과연 왜 이런 현상이 있을 까여..
유럽이 과연 대조선 영역의 끝이기에 그곳의 채소를 조선계라 했을 까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