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판사서평
마케팅을 뛰어넘어 경영과 마케팅을 다시 생각한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소통’과 ‘전략’이다
40년 경험의 마케팅 대가, 알 리스의 성과를 두고 벌이는 마케팅 갈등 25가지 경영자와 마케터, 분명 같은 목표를 두고 뛰지만 마케팅에 대해 얘기할 때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는 분기점이 있다. 40여년의 컨설팅 경험을 지닌 마케팅 대가 알 리스, 그간 《포지셔닝》《마케팅 불변의 법칙》등 마케팅 바이블을 집필해온 그가 이번에는 경영계의 풀리지 않는 문제, 성과를 두고 벌이는 마케팅 갈등 25가지에 대해 말하기 시작했다. 화성에서 온 경영자 금성에서 온 마케터, 그들의 시각차와 해법 《경영자 VS 마케터》가 그것. 결론적으로 말해 서 있는 곳이 다르고 좌뇌형 우뇌형의 성향 차이처럼 사고방식과 행동이 다를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기에 늘 평행선을 갈 수밖에 없었다는 것. 포춘 500대 기업을 컨설팅 해온 알 리스과 로라 리스는 그들이 왜 다른지 어떻게 의견의 접점을 찾아야 하는지를 말하는 한편, 아이템 개발에서 시장 론칭까지 오랜 시간동안 땀과 피와 눈물을 쏟은 일들이 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법을 제시해 준다. 저자는 이를 통해 경영이라는 커다란 숙제를 풀어가는 우리에게 지금 필요한 것은 진정한 ‘소통’이요 제대로 된 ‘전략’임을 날카롭게 말한다.
마케팅에 관한 뜻밖의 결과 블라인드 테스트로 1,200명의 소비자가 최고의 신상품으로 선정한 크리스털 펩시, 누가 봐도 대박을 기대할 시장조사 결과였다. 성공했을까? 1년 후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기업의 규모에 관계없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제다. 하지만 이런 실패가 반복되면 회사 내 경영 분야는 실행 부족을 탓하고 마케팅 분야는 의사결정을 탓하는 일이 벌어진다. 이같은 회사 내 시각 차이와 의견 충돌은 어디에나 있다. 저자들은 말한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크리스털 펩시는 “ ‘콜라라는 음료는 적갈색이다’라는 소비자 인식을 깨지 못해 실패한 것이다. 콜라 맛이 아니었다.” 시장조사 검증? 이제는 시장조사도 포커스를 제대로 맞춰야 하는 것이다. 통계와 숫자를 믿는 좌뇌형 경영 분야는 이런 결과가 충격일 수 있다. 상식에는 위반되지만 마케팅 센스로 이해가 되는 것이 마케팅에는 분명 있다. 마케터는 이런 점에 대해 물론 알아야 한다. 저자는 강조한다. 경영전략과 연결된 마케팅 의사결정을 할 때는 경영 분야 사람들 - 경영자, 상품개발자, 전략기획자, 생산관리자, 재무관리자- 모두가 마케팅을 이해할 수 있어야 제대로 된 결정을 할 수 있다고.
경영 분야와 마케팅 분야의 시각 차이 경영 분야는 현실(reality)을, 마케팅 분야는 인식을 다룬다. 위의 경우처럼 최고 품질을 인정받은 신제품이 실패하는 경우는 비일비재하다. 하지만 경영 분야 사람들은 상품의 질이 성공의 핵심 열쇠라고 믿는다. 폭스바겐의 ‘페이톤’(Phaeton)도 그래서 실패했고 ‘밀러클리어’(Miller Clear) 역시 같은 문제였다. 밀러클리어는 눈을 감고 마시면 보통 맥주 맛이 났다. “(그런데) 눈을 뜨고 마시면 물 탄 맥주 같은 맛이 났다. 인식은 항상 현실을 이긴다.”라고 저자들은 말한다.
경영 분야는 제품에, 마케팅 분야는 브랜드에 집중한다. 펩시콜라와 코카콜라는 비슷한 음료수다. 펩시가 시음테스트에서 계속 이기기는 하지만 코크가 펩시보다 미국에서 50% 이상 더 많이 팔린다. 세계시장에서는 차이가 더 크게 벌어진다.
경영 분야는 확장을, 마케팅 분야는 집중을 선호한다. 모토로라는 1983년 최초로 휴대전화를 출시했다. 노키아는 휴대전화 시장에 후발주자로 뛰어들었다. 노키아는 휴대전화만 남기고 다른 사업 부문은 모두 매각했고, 모토로라는 컴퓨터, 라디오에 이어 위성통신 사업까지 확장해나갔다. 1998년 노키아는 휴대전화 시장에서 최고가 되었다.
경영 분야는 큰 시장을, 마케팅 분야는 표적 시장을 겨냥한다. 경영 분야 사람들은 시장을 가운데 부분이 넓은 종형 곡선으로 본다. 반면 마케팅 분야 사람들은 저가 시장과 고가 시장만 있다고 본다. 사우스웨트스 항공은 퍼스트클래스 시장을 포기하고 저렴한 항공료 정책을 견지해 성공했다. 케이마트(Kmart)는 저가 시장(특히 월마트)과 고가 시장(특히 타겟) 사이 중간에 자리 잡으려고 하다가 실패했다.
경영 분야는 ‘더 좋은’ 상품을, 마케팅 분야는 ‘다른''’상품을 원한다. 경영 분야 사람들은 경쟁자와 같은 전략을 경쟁자보다 더 잘 실행해서 이기려고 노력한다. 마케팅 분야 사람들은 다른 전략을 구사해서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어내려고 한다. 아이보리 비누의 순수 캠페인에 대응해 도브(Dove)는 ‘클린징 크림’으로 맞섰다. Xbox360과 플레이스테이션3에 대응해 닌텐도는 위(Wii)를 출시했다. 위도 물론 비디오게임기다. 하지만 위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어내 많은 매출액과 이익을 올리고 있다.
경영 분야는 단일 브랜드를, 마케팅 분야는 복수 브랜드를 원한다. 경영 분야는 모든 것을 아우르는 빅 브랜드가 브랜드 인지도에 들어간 비용을 상쇄해주기를 바란다. 반면 마케팅 분야는 새로운 브랜드를 론칭하고 싶어한다. 새로운 제품은 오래된 브랜드 네임과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마케팅을 뛰어넘어 경영과 마케팅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책 경영 분야 사람들은 좋은 제품은 시장이 알아봐주게 마련이고, 경쟁자가 성공한 전략을 따라해야 하며, 고객이 평생 브랜드에 충성하도록 제품 라인을 확대해야 한다고 믿는다. 하지만 뛰어난 마케터들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인식은 품질이 아니라 포지셔닝에 달려 있고, 브랜드는 다르게 가려고 애써야지 같아지려고 해서는 안 되며, 특정한 계층에 어필하는 브랜드는 계속 그 그룹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시각차와 무게중심이 다르면 갈등이 생긴다. 성과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쓸데없는 소모전을 치루지 않고 일하려면 자신의 입장을 뛰어넘어야 한다. 각자가 자신의 영역을 뛰어넘어야 한다. 때문에 경영분야는 마케팅 차원에서 고려하고 우뇌형 직관을 존중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마케팅 분야는 경영의 차원에서 생각하고 판단하며 좌뇌형 방식으로 설득해야 한다. 책은 그 방법에 대해 사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해준다. ‘이장우 브랜드마케팅그룹’의 회장인 역자도 이 시대 비즈니스 리더에게 다음과 같이 추천했다. “이 책을 읽고 실천하는 경영자와 마케터가 있는 기업은 10년을 미리 준비할 수 있고, 그렇지 못한 기업은 다가오는 10년의 기회를 놓쳐버릴 것이다.”
▣ 작가 소개
저자 : 알 리스 애틀랜타에 있는 세계적인 마케팅 전략 전문 기업인 리스 앤 리스(Ries & Ries) 회장인 알 리스는 딸인 로라 리스와 공동으로 기업을 설립, 운영하고 있다. 미국 드포(DePauw)대학을 졸업하고 GE의 마케팅 부서에서 근무하다가 1963년 뉴욕에 광고 에이전시를 설립했다. 이 에이전시는 후에 마케팅 전략 기업인 트라우트 앤 리스(Trout & Ries)으로 바뀌었다. 1972년, 알 리스는 잭 트라우트와 공동으로 다수의 책을 집필했다. 비즈니스 마케팅협회의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AdAge.com 과 RiesReport.com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아내와 함께 애틀랜타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스노클링, 승마, 운전을 좋아한다.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 중 수십 개 회사를 컨설팅하고 있는 리스 부녀는 21세기 비즈니스의 화두인 인터넷 마케팅에 관해 확실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가로 정평이 나있다. 리스 부녀의 공동 작품으로는 『브랜딩 불변의 법칙』『브랜드 창조의 법칙』『인터넷 브랜딩 11가지 불변의 법칙』 등이 있으며, 잭 트라우트와 공동으로 집필한 저서로는 『마케팅 불변의 법칙』『마케팅 포지셔닝』『My Positioning 잭 트라우트와 알리스의 개인 성공전략』『호스 센스 HORSE SENSE』 등이 있다.
저자 : 로라 리스 Rora Ries 애틀랜타에 있는 세계적인 마케팅 전략 전문 기업인 리스 앤 리스Ries & Ries 회장인 알 리스의 딸인 로라 리스는 아버지와 공동으로 기업을 설립, 운영하고 있다. 로라 리스는 아버지와 함께 《브랜딩 불변의 법칙》, 《브랜드 창조의 법칙》, 《인터넷 브랜딩 11가지 불변의 법칙》 등을 집필했다.
역자 : 최기철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대학원 한영과를 졸업했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마케팅을 수료했다. 서울시 의전통역관, 문화방송 동시통역사, 안양대 겸임교수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통역사,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역서로는 《남자에게 팔아라》, 《산만한 아이들이 세상을 바꾼다》, 《나는 왜 루이비통을 불태웠는가?》, 《럭셔리 신드롬》, 《롱거버거 스토리》 등이 있다.
역자 : 이장우 Lee Jang Woo,李長羽 이름 자체가 퍼스널 브랜드 파워로 인정 받고 있는 저자는 ''이장우 브랜드마케팅 그룹''의 회장인 동시에 이메이션 글로벌브랜드 총괄대표(Chief Branding Officer)로 재직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호기심 소년''으로 통했으며, 대학진학을 걱정할 만큼 어려운 가정에서 성장했지만 단 한 번도 공부의 끈을 놓지 않았다. 연세대학교 경영학 석사MBA, 경희대학교 경영학 박사Ph.D, 성균관대학교 공연예술학 박사Ph.D.과정을 마쳤으며 배움을 향한 끊임없는 노력과 열정으로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 박사과정Ph.D.도 수료했다.
1982년 한국3M에 입사하여 한국인 최초로 3M 미국본사 인터내셔널 매니저로 발탁되었다. 이어서 이메이션 코리아의 최고경영자CEO로 파격 승진했으며, 이메이션 아시아 태평양 지역 CMO와 부회장을 거쳐서 2007년부터는 이메이션 미국 본사에서 글로벌 브랜드를 책임지는 총괄대표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평범한 직장인에서 시작해 글로벌 기업의 CEO 자리까지 올랐지만, 그는 이후 직장인으로서의 삶과 완전히 결별하고 오랫동안 꿈꾸던 프리에이전트의 길로 들어선다.
현재 23년 동안 브랜드 디자인 마케팅, 창조상상경영, 미래변화와 혁신 등을 주제로 수많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가장 인기가 있는 현장중심의 자문과 강연을 해오고 있다. 한국경제(한경에세이), 매일경제(매경춘추), 전자신문 등에 칼럼을 기고한 바 있으며, KTV와 iTV에서 ''디지털시대 CEO의 리더십''과 ''자기개발 전략''이란 주제로 특강을 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상상!창조?연구소''를 설립하여 상상창조경영의 전파에 앞장서고 있다. ''이장우 브랜드 마케팅 쇼''에는 천명이 넘는 관중이 참여하는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한국생산성본부 전임교수, 한국전략경영학회 이사, KAIST 경영대학원 마케팅 강사, 한국벤처기업협회 전문위원, 한국전문경영인학회 자문위원, 서울엔젤그룹 ''벤처지원위원회'' 위원, 미래사회포럼 회장, 21C Executive Forum 회원 등을 지냈고, 경희대와 한양대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겸임교수, 창의서울포럼 부대표, 한국CEO포럼, 조선경제포럼의 운영위원과 서울예술단 이사를 맡고 있으며, 2009년 5월에는 대웅제약 사외이사로 선임된 바 있다.
저서에는 『디자인+마케팅』, 『마케팅 잘하는 사람 잘하는 회사』, 『미래 경영 미래 CEO』,『당신도 경영자가 될 수 있다』등이 있으며 역서로는『내가 상상하면 현실이 된다』, 『브랜드 심플』등이 있다.
▣ 주요 목차
초대의 글 머리말_마케팅의 시각 차이-경영 리더와 마케팅 리더의 같은 목표, 다른 이야기 들어가는 말_장막을 걷어라
01장. 경영 분야는 현실을 다룬다 vs 마케팅 분야는 인식을 다룬다 02장. 경영 분야는 제품에 집중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브랜드에 집중한다 03장. 경영 분야는 브랜드 소유하기를 원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카테고리 소유하기를 원한다 04장. 경영 분야는 더 좋은 제품을 요구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차별화된 제품을 요구한다 05장. 경영 분야는 완비된 제품 라인을 선호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집중화된 제품 라인을 선호한다 06장. 경영 분야는 브랜드 확장을 추구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브랜드를 줄이려고 한다 07장. 경영 분야는 ‘최초의 제품’이 되려고 노력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최초의 브랜드’가 되려고 노력한다 08장. 경영 분야는 ‘한 방에 뜨기’를 고대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천천히 이륙하기’를 기대한다 09장. 경영 분야는 큰 시장을 타깃으로 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표적 시장을 타깃으로 한다 10장. 경영 분야는 소비자의 모든 말을 들으려 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단 한 마디를 가지려 한다 11장. 경영 분야는 추상적 언어로 표현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구체적 이미지로 표현한다 12장. 경영 분야는 단일 브랜드를 선호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복수 브랜드를 선호한다 13장. 경영 분야는 기발함을 중시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신뢰를 중시한다 14장. 경영 분야는 더블 브랜딩을 좋아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싱글 브랜딩을 좋아한다 15장. 경영 분야는 지속 성장을 가정하고 계획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시장 성숙도에 기반하여 계획한다
16장. 경영 분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꺼리는 경향있다 vs 마케팅 분야는 새로운 카테고리에 도전하려 한다
17장. 경영 분야는 커뮤니케이션 하려고 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포지셔닝 하려고 한다 18장. 경영 분야는 평생 고객을 원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단기 고객도 마다하지 않는다
19장. 경영 분야는 쿠폰과 세일을 선호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쿠폰과 세일을 싫어한다 20장. 경영 분야는 경쟁 업체를 따라간다 vs 마케팅 분야는 경쟁 업체와 반대로 간다 21장. 경영 분야는 브랜드 바꾸는 것을 싫어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브랜드 바꾸는 것을 종종 반긴다 22장. 경영 분야는 지속적 혁신을 추구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단 한 번의 혁신에 만족한다 23장. 경영 분야는 멀티미디어에 열광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멀티미디어를 미심쩍어 한다 24장. 경영 분야는 단기에 집중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장기에 집중한다 25장. 경영 분야는 일반 상식에 의존한다 vs 마케팅 분야는 마케팅 센스에 의존한다

썰매보드 놀이모습
영스포츠
http://www.0sports.kr
민속놀이기구 “썰매보드”를 즐겨보세요 ~~
어린이에겐 즐거운 놀이를 선물하고
어른들에겐 옛 추억의 향수를 떠올리면서
가족과 함께 행복하고 아름다운 추억을 담으시길 (*^_^*)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