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ocysteine이란 어떤 아미노산인가?
1). 우리 몸에는 건축자재에 해당하는 벽돌과 같은 물질이 있다. 메칠기(CH3-)라는 기초 자재다. 이 기초자재를 이용하여 매순간 우리 몸은 여러 가지 물질을 만들어 내고 있다.
2). 이 메칠기(CH3-)는 우리가 섭취하는 메치오닌(Methionine)이라는 아미노산 분자 속에 들어있다.
메치오닌 속에서 메칠 기가 이용된 후는 메칠기가 빠져버린 악질 아미노산인 호모시스테인으로 변한다.
3). 그러나 호모시스테인은 독성물질이므로 즉시 무독성물질로 변해야만 한다.
Homocysteine에서 매칠기 하나가 없어지면 무독성인 아미노산 메치오닌이다 이 메치오닌으로 재생시켜주는 것이 B12와 엽산이다.
4) 호모시스테인에서 메칠기를 하나 더 빼버리면 무독성인 아미노산인 Cysteine으로 변한다.
이 일은 B6(피리독신)이 하여준다.
5) 건강한 사람은 3가지 비타민인 B12, 엽산, B6이 충분하여 호모시스테인을 즉시 없애주고 있다.
3가지 비타민 B12, 엽산, B6은 왜 모자라는가?
1). 많은 사람들은 이 세 가지 비타민이 약간씩은 모자란다. 균형식을 소홀히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독 안 된 호모시스테인이 혈관을 파괴하고 있다. 비타민 부족 정도에 따라 혈관 파괴정도가 모두 다르다.
2). 정상인보다 호모시스테인이 10%(1.7umol/L) 이상 더 많으면 벌써 심근경색 유발위험이 3배 이상 높아지며 30%가 더 높으면 순환장애증상이 나타난다.
3). 심장병자나 고혈압자 혈액순환 장애자들은 발병 초부터 이들 비타민이 모자란 상태에서 병이 가속화된 자 들이다. 더구나 발병 후는 체내 전반 대사가 비타민을 다 많이 요구함에도 불구하고 치료약에만 급급하고 비타민을 소홀히 함으로 인해 더욱 이들 3가지 비타민 결핍이 심해지고 따라서 호모시스테인이 증가하게 된 것이다.
4). 일반적으로 순환기 이상이 있든 없든 많은 분들에게 유해량을 넘는 호모시스테인이 혈중에 존재한다. 나이 들수록 높아진다. 헌데 호모시스테인이 많이 존재하는 자들의 2/3은 이 4가지 비타민 부족 때문이며 이는 균형식을 섭취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림] 심장혈관을 패쇄 시켜버린 호모시스테인 [그림] Homocysteine 이 혈관벽을 계속 파괴
6개월만 복용해도 1년 이상 효과 지속되며 그러나 비타민의 부족은 심장수술 받은 환자는 수술자리가 다시 악화되어 재수술 받는 일이 빈번하다. 몇 가지 비타민은 6개월만 복용해도 이 같은 재수술 빈도를 현저히 감소시켜준다. 뿐만 아니라 수술 후 1년 내에 발생하는 심장마비나 심장사망 빈도도 현저히 감소시켜준다고 미국의사회지가 발표했다(2002년 8월 28일)
정상인에게는 거의 없는 것
협심증 심근경색등 심장질환자나 고혈압자나 동맥경화등 혈액순환 장애자들은 혈액 중에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e)이라는 악질 아미노산이 존재한다. 정상인에게는 거의 없는 아미노산이다
[그림] 혈중 호모시스테인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혈관벽이 점점 파괴됨
호모시시테인의 악질 작용
1) 산화질소(NO)
혈관확장 역할을 하는 산화질소(NO)를 불활성화 시켜 혈관을 항상 수축시켜 혈류를 억제한다.
2) 혈전 형성을 조장한다.
3) 혈압조절인자인 Prostacycyline 생성을 감소시켜 혈압을 올린다.
4) 혈관벽 콜라겐을 증식시켜 혈관 벽을 두껍게 하여 탄력을 감소시킨다.
5) 과산화지질을 증가시키고 혈관을 산화적으로 파괴시켜나간다.
6) 심장 혈관이나 판막등 수술한 자리에는 혈괴가 뭉치고 죽상 동맥경화가 형성되고 산화적 파괴가 일어난다.
7) 동물에게 1주일만 호모시스테인을 주사하면 동맥죽상경화가 생겨 패색된다.
8) 뇌조직을 파괴시킨다(해마등);알즈하이머 중풍 악화의 원인
9) 유전자의 재생과정인 메칠화 과정에 장애를 일으켜 암발생 가능
10) 세포재생과정에 필요한 메칠화과정이 결핍되어 노화 및 퇴행성 질환을 촉진_ (루푸스등)
놀라운 임상 효과
1) 협심증이나 심근 경색자(협심증이 악화된 자)들은 심장혈관이 막혀 혈관을 뚫어주는 수술(혈관성형술)을 받는다. 그러나 수술 후에도 수술한 혈관이 다시 막혀 악화되거나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그림] 수술 받은 판막을 호모시스테인이 다시 협착시켜버림
2) 이러한 수술 받은 자들은 모두가 호모시스테인이 정상인보다 훨씬 높다 이들에게 수술직후부터 6개월간만 3가지 비타민을 복용시켰다.
[비타민 처방]
(1) Vitamin B12 (cyanocobalamin)--- 400 mcg/day,
(2) Folic acid------------------------1 mg/day
(3) Vitamin B6 (pyridoxine)----------10 mg/day
3) 비타민복용중단 후 1년간을 추적 조사해본결과 비타민으로 인해 호모시스테인이 감소된 자들은 모두가 재수술이나 심장 마비나 심장사망으로부터 현저히 예방되었다. 더구나 6개월 복용만으로 1년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4) 1998 5월-1999년4월 (스위스 베른 종합대학 임상 결과)
|
|
비타민 복용군(272명) |
Placebo복용군(281명) |
1 |
호모시스테인 임상전 농도 |
1.01mg/L |
1.5mg/L |
2 |
호모시스테인 비타민복용후 농도 |
1.01mg/L |
1.36mg/L |
3 |
신생혈관(적을 수록 좋음) |
9.9%>/td> |
16% |
4 |
심근경색 발작 |
2.6% |
4.3% |
5 |
심장마비로 사망 |
1.1% |
2.1% |
※그림 해설
* Excitotoxicity: 신경을 흥분시켜 신경을 상하게 함
* Apoptosis: 신경 세포를 자살케 함
* Neurotoxicity: 신경에 독작용을 발휘
* CNS ischemia: 중추신경계에 허혈 현상 야기
* Neural Hypoxia: 신경세포에 산소 결핍 야기
* beta-Amyloid fibril: 변성된 단백질로서 알츠하이머병의 병태 유발
* Vascular Oxidative Stress: 혈관 세포를 산화시켜 파괴해 가는 것
* Endothelial Dysfunction-: 혈관벽의 기능 상실(확장 작용 상실)
* Atheroscrelosis: 죽상 동맥경하를 일으킴
치매증. 알즈하이머 중풍의 악화도 예고
1) 호모시스테인은 악질 지질보다도 더 무서운 인자이다.
2) 호모시스테인 하나만 증가해도 그 증가량에 비례하여 병의 악화와 사망 가능성을 예고할 수 있다.
3) 심장병이나 고혈압뿐 아니라 호모시테인량이 중가(4mmol/L)하면 알즈하이머병 발생 확률이 40%나 증가하며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14 mmol/L 증가하면 치매증 발생확율이 2배나 증가한다는 사실도 발표된 바 있다. (NEJM 2002:346)
호모시스테인이 높을 가능성이 큰 후보들
1) 심장병자(협심증. 심근 경색. 심장 수술받은자)
2) 동맥경화 고지질증자
3) 고혈압자
4) 말초 혈액 순환 장애자
5) 중풍 증상 지닌자
6) 당뇨병자 : 신장기능이 나쁜자는 호모시스테인이 배설이 잘 안되어 혈중 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이들은 병세가 더욱 악화된다. 비타민용량을 5배량 증가시켜 치료해볼 수 있다.
7) 신장질환자
8) 육식(적색 고기)를 많이 즐기면서 균형식을 안취하는자
9) 퇴행성 질환자(류마치스 관절염. 루푸수등)
[그림] 호모시스테인량이 증가할수록 심장마비 발생율이 증가
호모시사테인은 어느 정도 높으면 위험한가?
1) 원칙적으로는 혈중 농도는 Zero여야 한다. 그러나 인간은 완전할 수가 없다.
2) 혈중농도 몰수 3단위 증가 하ㅣ할때마다 심근경색 발작률이 35% 증가한다.
악화 위험도 |
호모시스테인 혈중농도(mMol/L) |
국민의 평균 분포(미국:1999) |
1) 적다 |
0-6.31.01 mg/L |
38% |
2) 위험하다 |
6.3- 10 |
52% |
3) 매우 위험하다 |
10 이상 |
10% |
혈관과 더불어
혈관과 더불어 늙고 병든다. 사람은 혈관과 더불어 늙어가며 혈관과 더불어 병든다. 혈관의 원수 중 호모시스테인이 가장 악질적인 것임이 밝혀진 이상 이를 적극 제거해야할 것이다. 심장병자 고혈압자 동맥경화자, 치매나 알즈하이머가 걱정되는 자 그리고 퇴행성 질환이 무서운 노인들은 모름지기 B12(400mcg/day), B6 (10mg/day) 엽산(1mg/day)을 복용해야할 것이다.
<화학> 동물의 몸 안에서 메티오닌의 탈메틸화(脫methyl化)로 만들어지는 아미노산. 화학식은 C4H9O2NS.
아미노산의 일종인 메치오닌을 탈메칠화한 것임 Cysteine 합성의 중간물질
removal of its terminal Cε methyl group. Homocysteine can be recycled into methionine or converted ... by ATP to give S-adenosyl methioninehydrolysis of this intermediate to give homocysteine.Biosynthesis of cysteineMammals biosynthesize the amino aci...
첫댓글 잘봤습니다.호모시스테인 현상이 많으면 질병이온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는 원장님께 그렇게 배웠거든요. 엎어치나 메어치나 같은 말이지만 그래도 표현상정확한것이 어떨까 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