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서산(鳳棲山)-571m
◈날짜 : 2020년 3월30일 ◈날씨 : 맑음
◈들머리 : 경북 경주시 외동읍 모화1리 모화종점정류장
◈산행시간 : 6시간26분(10:29-16:55)
◈찾아간 길 : 팔용중정류장-115번(6:47-56)-합성동터미널-시외버스(7:10-8:56)-경주터미널정류장-600번(9:40-10:27)-모화종점정류장
◈산행구간 : 모화정류장→저수지둑왼쪽들머리→무덤→능선전망대→오리바위전망대→361봉→제주고씨묘→532.8봉(삼각점)→봉서산정상→철탑삼거리→진등대(이정표)→토함산갈림길→이정표(임도이탈)→질매재→옛삼태봉→이정표2개→삼태봉→(되돌아내려가서)모화찜질방향이정표→숲조성지구→계곡갈림길→계곡바닥(사방댐공사장)→모화저수지→허브캐슬‧펜션→허브캐슬입구표지판→모화초교(구태화방직)정류장
◈산행메모 : 산행들머리를 찾느라 초입부터 신경이 곤두선다. 끝까지 가면 해결되겠지 하며 갔는데 정류장 이름은 효청보건고등학교. 여기가 모화종점이라는데 600번 종점이다.

작업 중인 주민에게 봉서산등산로입구를 물으니 봉서산을 모른다. 원원사로 가면 만나는 길이라 하니 두 정류장을 더 왔단다. 정면왼쪽 아파트로 들어가면 끝에 어린이놀이터. 거기서 계단으로 내려서면 도로. 왼쪽으로 내려서면 오른쪽으로 교회와 붉은 건물을 보며 직진하면 왼쪽 철로아래서 올라오는 도로를 만난다. 그 도로로 오른쪽으로 따라가면 원원사를 만난단다. 원원사도로를 만나 돌아본 철도지하도.

마을빗돌도 보인다.
<모화리는 신라 때부터 서라벌의 관문 역할을 한 마을이다. 털 모(毛)자에 불 화(火)자를 쓰며, 도성 전체가 불국토나 마찬가지였던 서라벌에 들어가려던 수많은 사람들이 이곳에서 머리를 깎았고 그 머리털을 태운 곳이라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지금은 머리털 대신 소고기를 굽는 모화숯불단지가 유명하다.>

선답자들은 여기서 왼쪽 산길로 진입했던데 국제 따라가는 산행이라 직진.

삼거리를 만난다. 오른쪽은 나중에 하산한 길.

원원사 빗돌. 오른쪽으로 다가서는 모화저수지 둑.

오른쪽으로 만난 저수지 둑은 펜스울타리.

원원사입구 공터를 만난다. 정면에 시비. 그 오른쪽에 등산안내판.

詩碑.

<봉서산과 삼태봉 사이에는 신라 문무왕 때 창건된 원원사(遠願寺)라는 절이 있다. 이 절은 통일신라 때부터 호국사찰로 자리매김했다. 삼국유사 등에 기록된 원원사 창건 이야기만 봐도 그렇다. 이 절은 신라의 삼국통일을 이룩한 김유신이 신라 신인종의 창시자인 명랑법사의 후예인 안혜 남융 등과 함께 창건했는데, 그 목적이 실은 신라의 수도였던 서라벌을 지키는 숨겨진 병영 기지화였다고 한다. 계곡 깊숙한 곳에 자리한 지리적 이점 때문에 서라벌의 관문이었던 관문성(일명 만리성)을 내려다볼 수 있고, 반대로 관문성에서는 이 절이 보이지 않으니 천혜의 전진기지였던 셈이다. 병사들이 일부러 머리를 깎고 승려로 변장해 이 절에 머물렀다고 한다. 절 이름도 '신라의 영원한 번영을 바란다'는 뜻이 담겨 있다. 또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는 경주 일대의 의병장과 승병장들이 이 절에 모여 작전회의를 하고, 동래를 거쳐 경주로 진격하던 왜군과의 일전을 벌여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현재의 천불보전 뒤 언덕은 옛 금당터인데 그 앞에 삼층석탑이 동서 쌍탑 형태로 버티고 서 있다. 보물 제1429호인 원원사지 삼층석탑은 기단부에 12지신을 양각하고 그 위에는 4천왕상을 새겼는데 그 기법과 솜씨가 빼어나기로 명성이 높다.>
등산안내판은 낡아 도움을 받지 못한다. 오른쪽도 원원사로 가는 길인데 왼쪽으로 올라가서 만난 원원사.

원원사 큰법당.

여기저기를 기웃거려도 올라가는 길이 없어 공터로 돌아 나온다. 이정표가 없지만 오른쪽 임도로 올라간다. 돌아본 공터.

임도가 끝나도 길이 이어지는데 왼쪽이다. 오른쪽으로 흐릿한 길이 보여 올라갔더니 왼쪽에서 오는 능선길이다. 국제리본도 보여 긴장이 풀린다. 암릉을 만나 돌아보니 시원한 조망.
공사 중이라던 저수지는 이런 모습. 저수지건너편 산기슭으로 하산하며 힘들었는데 여기서 보니 그대로 드러난다. 그위 꽃밭은 펜션과 허브캐슬. 그 오른쪽아래 내려온 찻길도 보인다.

외동읍시가지에서 지나온 아파트, 올라온 찻길도 보인다. 능선의 끝은 초원한우일 듯.

바위에 뿌리를 박고 자라는 소나무.

올라서니 오리바위.

오른쪽에서 하늘금을 그리는 동대산삼태봉 능선. 가운데 봉긋한 부분이 삼태봉이다. 그 왼쪽아래는 숲조성지. 오른쪽 아래로 찜질방, 저수지.

진행방향으로 361봉. 그 오른쪽으로 보이는 철탑은 지나갈 길이다. 가운데 왼쪽 포개진 봉 뒤로 봉서산. 그 오른쪽으로 바람개비도 보인다.

이어지는 삼태지맥.

철탑아래를 통과하여 봉에 오르니 돌에 화살표. 진행방향을 알리는 표시다. 제주고씨 묘에 올라선다. 나무 뒤는 532.9봉.

잠시 산죽도 만난다. 532.9봉에 올라선다.

꽈배기노송도 만나고.

다가서는 봉서산을 향해 내려간다. 암릉도 잠시 만나며 봉서산에 올라선다.

원원사뒤 능선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봉서산.

오른쪽엔 나무에 걸린 표지도. 삼거리인데 왼쪽은 입실방향 하산 길. 오른쪽으로 내려가니 왼쪽으로 조망이 트인다. 가운데 왼쪽으로 호미지맥의 토함산이 불룩하다.

내려가서 숨차게 올라가면 철탑삼거리. 안부에 내려서면 부드러운 오름길. 그래도 발걸음이 무겁다. 나무에 걸터앉아 잠시 휴식. 진등재이정표가 다가선다. 삼태봉2.4km.

몇 걸음 올라가다 점심. 돌아본 점심자리. 봉에 올라서니 전망 덱. 토함산갈림길 삼태지맥을 만났다.

발아래로 임도. 바람개비를 돌아본다. 가운데 왼쪽은 토함산. 그 오른쪽 뒤로 함월산.

풍력발전안내판. 덱 따라 임도에 내려가서 돌아본 전망 덱. 임도를 따라간다. 마지막 바람개비를 앞두고 오른쪽으로 산길이 열린다. 이정표는 삼태봉1.6km.

옆엔 마우나오션등산안내판도 있다. 질매재를 지나니 오른쪽으로 시야가 트인다. 아래로 모화저수지. 그 오른쪽 뾰족한 봉은 오리바위가 있는 곳. 그 위로 치술령. 오른쪽에 마석산이다.

왼쪽으로 봉긋한 봉에 올랐더니 관문산이란다. 목표지 삼태봉도 만나고.

내려가서 두 번째 만난 이정표. 삼태봉으로 갔다가 돌아와서 만나야 하는 갈림길이다.

삼태봉에 올라서니 젊은 부부도 만난다. 2006년 11월19일<관문성-삼태봉-양남고개-동산령-석굴암-토함산-석굴암주차장>산행(7시간)이후 14년 만에 만난 삼태봉인데 삼각점과 두 개의 빗돌은 예전 그 모습.

국제에선 삼거리로 돌아오면 모화찜질방 방향으로 하산하라 했는데 이정표가 달라졌나? 모화찜질방 방향은 없다. 원원사 방향으로 내려간다. 돌탑을 만날 거라 기대했는데 뜬금없이 벌목지.

저수지오른쪽 위로 올라간 능선. 그 위 치술령오른쪽에 마석산도 보인다.

능선을 따라가다 계단밭고랑엔 식목한 어린나무가 보인다. 돌탑지역의 돌을 걷어내고 숲을 조성하는 사업?

숲 조성사업장을 왼쪽에 끼고 가파른 사면으로 내려가는데 길이 없다.

멧돼지가 다니는 길을 만나 가로지른다. 멧돼지배설물. 덩어리가 송아지배설물 크기다. 덩치가 큰 멧돼지로 생각하는데 오른쪽 아래서 부스럭거리는 소리. 인기척을 하니 조용하다. 사방댐공사장을 만나 긴장이 풀린다.

완성된 사방댐도 보인다.

저수지상류에 내려선다.

오른쪽으로 모롱이를 돌아가니 찜질방. 그 위로 지나간 능선이다.

발길을 돌려 저수지를 오른쪽에 끼고 진행한다. 여기서 길이 사라진다. 가운데 오른쪽은 저수지무넘기. 그 위로 지나갈 펜션이 보인다.

희미한 발자국 따라 올라가서 올라간 능선을 돌아본다. 왼쪽에 오리바위봉, 오른쪽에 봉서산.

오르내리며 진행하여 돌아본 그림.

낙엽미끄럼틀로 내려와 여기서 왼쪽위로 올라간다. 나무뒤로 펜션이 보인다.

올라가니 차량도 보인다.

찻길 따라 내려가면 오른쪽으로 보이는 저수지 둑. 그 위에 지나온 숲 조성사업장도 보인다.

오른쪽 원원사에서 내려오는 길을 만난다.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 돌았다.

모화초정류장을 만나며 산행을 마친다. 오룩스맵을 보니 돌탑은 따로 있었다. 삼태봉0.3km 갈림길에서 내려가다 돌탑을 앞두고 지도를 확인했으면 왼쪽 조림지를 만나지 않았을 건데. 어떻든 무사히 하산했으니 다행. 오룩스맵에 기록된 거리는 15.37km. 돌아오는 길은 퇴근시간과 맞물려 가다서다를 반복한다.

#모화초교(구태화방직)정류장-412번(17:12-18:37)-공업탑정류장-1137번(18:40-19:44)-노포동역-도시철도1(19:53-20:20)-서면역-도시철도2(20:22-36)-사상역:서부터미널-시외버스(20:55-21:29)-창원종합터미널-111번(21:31-37)-팔용중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