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현상인지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이용시 눈 피로감이 예전과 다른 것 같다.
해외 여행중 구입한 중국산 돋보기 안경이 있지만 좌우 시력 차이가 있으니 새로 구입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찬바람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안구주변의 혈관도 수축되는지 어지러움이 느껴진다.
서랍속에 방치된 안경을 꺼내 들고 랜즈만 교체할 생각으로 회현역 남대문시장내 안경점을 찾아간다.
들머리부터 매우 잘 꾸며진 안경점부터 들러 방풍안경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면서 랜즈 교체비용도 알아본다.
돋보기 랜즈교체비는 2만원이란다.
시장내로 들어가면서 드문 드문 안경점은 계속된다.
방한 방풍용 안경을 추천해 주지만 나에게 적합한 안경은 찾을 수 없다.
그런 종류의 안경은 취급하지 않는다며 오토바이 타시는 분들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들이 인터넷 쇼핑으로 판매되고 있단다.
이왕 온 김에 랜즈만이라도 교체해 볼까 하는데 Blue ray, Coating 유무에 따라 2만원에서 5만원까지 ...
가격이 높을수록 품질이 좋다고 보여지겠지만 일반인으로서는 이분들의 말을 그대로 신뢰하기 어렵다.
2만원짜리를 끼워주고도 5만원짜리라고 한들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주는 데로 그런가 보다 하는 수밖에 ..
점포마다 들러 신뢰할 만한 곳을 찾아보는데 점포는 깔끔하게 꾸며 놓고 손님 붙잡는데만 급급할 뿐이다.
물어보지 않아도 어떤 기준으로 하는 것이 좋은지 품질 확인방법을 어떻게 제공할지에도 납득할만한 설명이 있으면 좋으련만..
시장 깊숙한 곳에는 2층에도 안경점이 보인다.
도대체 이분들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하여 들어가 본다
이곳에서도 방풍 방한용 안경은 적극적으로 취급하지 않는 것 같다.
방한 방풍 안경구입은 포기하고 돋보기 랜즈 교체비용을 알아보니 단순 돋보기랜즈는 1만9천,
Blue ray 차단기능 랜즈는 2만5천원이란다.
랜즈두께가 두꺼운 것도 있고 얇은 것도 있는데 얇은 것이 가격이 높고 가벼워 좋단다.
이제까지 알아본 가격은 3만원인데 이분의 자세한 가격제시에 신뢰감이 든다.
2만5천원에 Blue ray 차단, 얇은 랜즈로 해 주시겠다 한다니 곧바로 구입을 결정한다.
내가 들어온 후 고객들이 줄을 잇는다.
이처럼 후미진 2층 안경점을 어떻게 알고 찾아오는지?
이제까지 들러본 곳들은 인테리어는 훌륭하지만 매우 썰렁한 분위기였는데...
내 뒤에 올라온 다른 고객을 대하면서 구매자가 원하는 바를 정확히 확인하는 점포주의 정성이 돋보인다.
이 분은 버스를 운전하시면서 사용하는 안경을 구입하러 오신 분인데
버스 전면 유리창은 햇볕으로 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는 조치가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점포주는 구입자의 잘못된 정보에 대해서 재확인후 랜즈 종류를 결정해야 한다며 권한다.
뭐 이런 분야에 상식이 없는 나같은 자는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지만 구입후 실망하지 않도록 하려는 점포주의 자세에서 책임감이 느껴진다.
바쁜 와중에 고객이 결정하는데로 따라가면 그만일텐데..
이같은 점포주의 경영방식이 있었기에 이런 곳에서도 영업을 이어가는 것이리라는 생각이 든다.
경쟁이 치열해 지고 점포임차비가 높아지는 환경에서 살아남는다는 것은 그나름대로 무기가 있어야함은 당연하지 않겠는가
한번 고객이 영원한 고객이 된다면 바로 그것만으로도 성공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나같이 철저히 따져 보는 성격의 고객은 점포주의 기질을 중시하는지라 책임감과 정의감이 있다고 믿어지면 더이상 의심하지 않는다.
다른 주변인들에게까지도 자신감으로 실속있는 구매를 원하는 자라면 무조건 이곳으로 가 보라며 .
뭐 가격차이가 크지도 않지만 그래도 합당한 가격으로 품질보증이 된 제품을 구입한다는 것만으로도 기분 좋은 일 아닌가
비록 인테리가 구식일지라도...
서울 중구 남대문로 4가 3-5 공영상가 2층 02-757-1070, 775-1070
썰렁한 분위기보다는 고객들로 따뜻함이 느껴지는 곳이 좋은 것 같다.
한번의 고객은 영원한 고객으로 만들어 가는 영업전략만이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는 유일한 해법인 것 같다.
음식점도 그렇고..
나같은 자는 한번 속지 두번 속지 않는다.
무조건 낮은 가격만을 추구함도 아니다.
적당한 가격으로 만족할 만한 품질을 제공받는다는 것은 그 누구나 환영하지 않겠는가?
사실 점포들러 이것 저것 알아보는 것도 미안하고 솔직히 조심스럽다.
하지만 합리적 가격수준으로 신뢰감 있는 곳에서 구입하려는 것을 탓할 수는 없을 것이다.
현실은 고객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고 보여지면 그같은 헛점을 이용하고픈 심리는 그 누구에게나 있다 할 것이다.
일단 팔고 보자는 식으로.. 어떻게든 매상을 올려야 하니...
분명한 것은 구입하려는 자에게도 사전 준비가 되어 있어야만이 제대로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목적과 용도가 무엇인지?
희망가격수준은 어느 정도가 적합한지?
시장조사를 통해 모르는 것을 알아갈 수 있으니 실례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조심스럽게 시장조사를 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엔지니어라고 해서 모든 것을 다 알 수는 없으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