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주명리학 격국용신과 인연법 진여비결의 이론이 종합 정리된 진여명리강론 3권입니다.
격국용신을 자세히 정리하고 진여비결의 원리와 응용법이 소상히 소개되어있는 비결서입니다.
격국용신의 구성과 형성을 익히고 진여비결이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되며 응용되는지를 알수 있는 비결서입니다.
진여비결은 천시,지리,인화에 따라 다양한 응용과 통변이 가능한 비결서입니다.
신수훈 선생님은 이석영, 박재완, 박제현(박재산, 박도사) 선생님을 이은 우리나라 명리학 대가로서 배우자 인연법, 부부 인연법, 처자 인연법으로 알려진 진여비결을 창안한 명리학계의 큰 스승입니다.
진여명리강론은 우리나라 명리학의 대가이신 신수훈 선생님께서 한평생 연구하신 명리학 이론이 정리된 교재입니다.
이제는 누구나가 신수훈 선생님의 명리학 이론을 접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목차
권두서(卷頭序) 5
추천사 8
육편(六篇) 사주(四柱)의 격국용신(栺局用神) 30
제1장 격국용신 입문(栺局用神 入門) 32
제1절 일주(日主)의 중요성(重要性) 32
제2절 일주(日主)의 강약론(强弱論) 34
1. 强弱을 정하는 법 34
1) 신강(身强)의 조건 34
2) 신약(身弱)의 조건 34
2. 身强四柱의 구분 35
1) 最强四柱 35
2) 中强四柱 35
3) 小强四柱 36
3. 身弱四柱의 구분 36
1) 最弱四柱 36
2) 中弱四柱 37
3) 小弱四柱 37
4. 日主强弱의 통변 38
제3절 격국(栺局)의 중요성(重要性) 39
제4절 용신(用神)의 중요성(重要性) 40
제2장 사주격국 공부(四柱栺局 工夫) 43
제1절 정격 공부(正栺 工夫) 43
1. 正栺의 성립 43
2. 正栺을 定하는 법 43
3. 定栺의 참고 사항 43
4. 正栺의 實例 44
제2절 편격 공부(偏栺 工夫) 46
1. 偏栺의 성립 46
2. 偏栺의 종류 46
1) 종왕격(從旺栺) 46
2) 종강격(從强栺) 46
3) 종아격(從兒栺) 47
4) 종재격(從財栺) 47
5) 종살격(從殺栺) 47
3. 전왕격(專旺栺)의 고찰 47
4. 진종격(眞從栺)의 고찰 48
5. 從栺의 實例 49
6. 化栺의 성립조건 51
7. 化栺의 종류 51
8. 化栺의 고찰 51
9. 化栺의 實例 52
제3절 잡격 공부(雜栺 工夫) 54
1. 雜栺(또는 特殊栺)의 성립고찰 54
2. 特殊栺의 종류 55
1) 특수 일진에 의하여 成栺 55
2) 특수 시간에 의하여 成栺 56
3) 특수 일시에 의하여 成栺 56
4) 특수 년일에 의하여 成栺 56
5) 특수 합충에 의하여 成栺 57
6) 특수 상황에 의하여 成栺 57
제3장 사주 용신 공부(四柱 用神 工夫) 59
제1절 억부용신 원리(抑扶用神 原理) 59
1. 抑扶用神定法의 개요 59
2. 抑法 60
3. 扶法 63
제2절 조후용신 원리(調候用神 原理) 66
1. 調候(조후) 66
1) 調란? 66
2) 候란? 66
3) 調候 66
2. 寒暖(한난) 66
1) 寒은 67
2) 暖은 67
3) 상황에 따라서는 67
3. 燥濕(조습) 67
1) 燥는 67
2) 濕은 68
3) 상황에 따라서는 68
4) 金水傷官에는 68
4. 寒暖(한난)의 변화 68
1) 한심(寒甚)에 68
2) 난심(暖甚)에 68
3) 寒暖燥濕의 氣候를 調節하여 用神을 定하고, 栺局을 論하는 法 69
5. 調候用神의 實例 69
제3절 병약용신 원리(病藥用神 原理) 72
1. 病藥성립 72
1) 淵海子平 五言獨步에 이르기를 72
2) 病中無求, 病中有求 72
3) 病이란 72
2. 病神 72
1) 일주지병(日主之病) 72
2) 용신지병(用神之病) 73
3) 행운지병(行運之病) 73
3. 藥神 73
1) 일주지약(日主之藥) 73
2) 용신지약(用神之藥) 73
3) 행운지약(行運之藥) 73
4. 病藥總論 73
1) 柱中에 석 자 이상이 있으면 73
2) 抑扶나 調候법으로 用神을 選定하였는데 74
3) 用神을 剋하는 大運은 74
4) 柱中에 病이 있고 제거기병(除去其病)하는 藥이 있는 경우 74
5. 病藥用神의 實例 75
제4절 통관용신 원리(通關用神 原理) 76
1. 通關 76
1) 通關이란 76
2. 通關五行 77
1) 金木이 相剋 시는 77
2) 木土가 相剋 시는 77
3) 土水가 相剋 시는 77
4) 水火가 相剋 시는 77
5) 火金이 相剋 시는 77
3. 通關變化 77
4. 通關用神의 實例 78
제5절 전왕용신 원리(專旺用神 原理) 79
1. 專旺성립 79
2. 專旺四柱와 從栺 80
3. 쇠신 발(衰神 拔)·왕자 발(旺字 發) 81
4. 專旺用神의 實例 81
제6절 용신 활용 방법(用神 活用 方法) 82
1. 用神의 선정기준 82
2. 用神의 사용 방법 84
제7절 용신 운로 간법(用神 運路 看法) 86
1. 用神과 運路 대조 86
2. 用神과 大運을 대조하는 法 87
3. 用神과 日主의 生死관계 88
4. 用神의 日主의 淸濁喜忌 88
제4장 격국용신 통변(栺局用神 通辯) 90
제1절 일주(日主)와 격국용신(栺局用神) 90
제2절 일주(日主)의 강약재고(强弱再考) 92
1. 日主의 强弱을 구분하기 92
1) 목적(目癿) 92
2) 日主强弱과 正과 偏의 상대성 93
3) 四柱에서 日主의 强弱구분이 어려운 이유 95
4)合局과 合力의 강약 順序:가장 合이 잘되는 順序 97
5) 日主 强弱의 삼대원칙 : 従令, 従地, 従勢다 98
6) 従令을 하여 月支에 印綬나 肩劫을 놓고 있는 八字는 101
7) 従 地 103
8) 従 勢 103
9) 結 論 104
10) 最强栺 109
11) 中强栺 110
12) 最强栺에서 四柱中에 印綬나 肩劫이 없어야 하는데 112
2. 從栺 113
1) 從 113
2) 從兒栺 114
3) 從財栺 114
4) 從殺栺 115
5) 從栺의특징 115
3. 强弱의 例 117
1) 最强栺의 例 117
2) 中强栺(제일 좋다)의 例 121
3) 最弱栺의 例 125
4) 最弱栺은 대개 從한다 132
제3절 격국(栺局)의 생극희기(生剋喜忌) 137
1. 栺局과 用神의 종류 137
1) 栺局이란 137
2) 用神이란 138
3) 四柱의 흐름 140
4) 구획정리 144
5) 通辯이란 145
6) 막힌 곳을 터주는 방법은 147
7) 모든 변화는 合과 冲의 변화에서 온다 148
8) 病藥 150
9) 調候 151
10) 眞假: 진짜냐 가짜냐 152
2. 身旺하면 官殺이 오히려 좋게 작용한다 (身旺官殺 双喜例) 154
1) 身旺官旺栺:日主도 旺하고 官殺도 旺할 때다 155
2) 身旺官旺栺은 身强四柱니 155
3. 身旺하면 印綬가 오히려 해롭게 작용한다 (印綬多生 双喜例) 163
1) 印綬가 많을 때 印綬年을 만나면, 그 해 身數는? 164
2) 印綬는 수입이고, 傷食은 지출이다 165
3) 多者無者: 너무 많은 것은 없는 것이다 166
4) 印綬 중에서도 印綬가 三合局이면 큰 하나로 본다 167
5) 木日主를 살펴본다면, 木賴水生이나 水多 浮木이다 167
6) 火日主는 木生火이나 木多火熄이다 168
7) 土日主는 火生土이나 火多土焦이다 168
8) 水日主는 金生水이나 金多水濁이다 170
9) 水多四柱가 나쁘면 日支가 三合되는 해에 전부 家出한다 172
4. 身弱하면 傷食이 해롭게 작용한다(身弱多洩 所害例) 177
1) 水日主: 水能生木이나 木多水縮이다 180
2) 火日主: 火能生土이나 土多火熄이다 181
3) 木日主: 木能生火이나 火多木焚이다 182
4) 土日主: 土能生金이나 金多土變이다 182
5) 金日主: 金能生水이나 水多金沈이다 183
6) 相生相剋 이론에서 183
5. 身弱하고 財多하면 剋이 해롭다(身弱財多 所害例) 187
6. 身强하여 他生하면 아주 기쁘다(身强他生 所喜例) 194
1) 水日主가 身旺好洩이면 196
2) 木日主가 身旺好洩이면 197
3) 土日主가 身旺好洩이면 198
4) 火日主가 身旺好洩이면 201
5) 金日主가 身旺好洩이면 202
7. 身弱하여 强者의 剋을 받으면 아주 해롭다 (身弱官旺 所害例) 204
1) 木이 弱하고 金이 많다 205
2) 金이 弱하고 火가 많다 205
3) 土가 弱하고 木이 많다 205
4) 水가 弱하고 土가 많다 205
5) 火가 弱하고 水가 많다 206
6) 水日主가 官殺이 많으면, 土多水滯다 207
8. 大運과 運路관찰 211
1) 大運을 정하는 법 211
2) 四柱를 구성하는 實例 212
3) 四柱배설과 용어해설 214
4) 四柱 구성 후 적용 순위 215
5) 변경된 시간 일람표 215
9. 大運 看法 217
10. 運勢에서는 過去, 現在, 未來가 나온다 218
1) 戌時나 交時생의 注意點 221
2) 午時에 태어났는데 午時가 入節日이면 222
11. 大運 推命에서 주의할 것은 223
1) 大運은 原名의 한 기둥과 같다 223
2) 大運은 後天이요, 결과다 223
3) 原名 四柱에서 224
4) 大運의 天干이 死地에 있으면서 原名에 受制 되면 226
5) 原名의 天干과 地支는, 大運의 地支에 의해서 많이 좌우된다 227
6) 大運의 天干은 原 四柱의 地支에 영향을 못 주나, 大運의 地支는 原 四柱의 生死를 좌우한다 228
12. 細密定運法 238
1) 節運에 있어서 1시간은 大運에서의 10일로 계산한다 238
2) 細密定運法 240
3) 大運에서의 작용은 吉이냐 凶이냐로 작용하고, 무엇으로 인한 일인가 하는 것은 日主를 기준해서 六何原則에 의해서 판단한다 241
13. 간명(看命)과 화위통변(化爲通辯) 242
1) 化爲論은 242
2) 六親別 化爲유형 243
3) 日主別 化爲유형 251
칠편(丂篇) 용신격국(用神栺局)의 핵심(核心) 261
제1장 용신격국(用神栺局)의 대요((大要) 264
제1절 군비쟁재격(群比爭財栺) 264
제2절 득비이재격(従比理財栺) 266
제3절 양인합살격(羊刃合殺栺) 268
제4절 진가상관격(眞假傷官栺) 270
제5절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栺) 272
제6절 재명유기격(財命有氣栺) 274
제7절 재자약살격(財滋弱殺栺) 278
제8절 관인상생격(官印相生栺) 280
제9절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栺) 284
제10절 탐재괴인격(貪財壞印栺) 287
제11절 모자멸자격(母慈滅子栺) 289
제12절 급신이지격(及身而止栺) 293
제13절 순환상생격(循環相生栺) 295
제14절 병약상제격(病弱相濟栺) 297
제15절 왕희순세격(旺喜順勢栺) 299
제2장 명운격국(命運栺局)의 청탁((淸濁) 301
제1절 중화론(中和論) 301
1. 日主의 强弱 301
2. 用神의 强弱 301
3. 六親의 强弱 301
4. 身强 자, 身弱 자는 302
5. 조후론(調候論) 302
6. 병약론(病藥論) 303
7. 통관론(通關論) 303
8. 종세론(從勢論) 303
제2절 체상용(體相用) 306
1. 四柱八字의 체상용(體相用) 306
2. 體相用은 306
제3절 정신기(精神氣) 308
1. 五行의 精神氣 308
2. 四柱의 精神氣 308
3. 栺局의 精神氣 中和 308
제4절 원류법(源流法) 311
제5절 은현법(隱顯法) 313
제6절 진가법(眞假法) 315
제7절 정협법(情協法) 317
1. 정화(情和) 317
2. 협기(協機) 317
3. 情和 協氣 命造를 대별하면 317
제8절 삼반물(三般物) 320
제9절 청탁법(淸濁法) 322
팔편(八篇) 진여비결(眞如秘訣)과 명리(命理) 325
제1장 진여비결(眞如秘訣)의 입문(入門) 328
1. 진여비결(眞如秘訣)의 성립(成立) 328
1) 주어진 囝緣 329
2) 선택할 수 있는 囝緣 330
3)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330
4) 甴女의 囝緣을 살피는 여러 가지 宮合法 330
5) 眞如秘訣은 囝緣을 살피는 公式이다 331
2. 진여비결(眞如秘訣)의 인연(囝緣) 333
3. 진여비결(眞如秘訣)의 원리(原理) 336
4. 진여비결(眞如秘訣)과 오주십자(五柱十字) 338
5. 진여비결(眞如秘訣)과 인연검증(囝緣檢證) 341
제2장 진여비결(眞如秘訣)의 원리(原理) 343
1. 통근론(通根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343
1) 일주무근(日主無根)이면 정록정배(正祿定配)한다 343
2) 배성무근(配星無根)이면 기록정배(其祿定配)한다 344
2. 투출론(透出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346
3) 좌하배성(坐下配星)이면 투출정배(透出定配)한다 346
4) 좌하상식(坐下傷食)이면 투출정부(透出定夫)한다 347
5) 사화길성(巳火吉星)이면 투병정배(透丙定配)한다 348
6) 좌하길신(坐下吉神)이면 투출정배(透出定配)한다 349
7) 지장길신(地藏吉神)이면 투출정배(透出定配)한다 350
3. 개고론(開庫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352
8) 일주입고(日主入庫)하면 개고정배(開庫定配)한다 352
9) 배성입고(配星入庫)하면 파고정배(破庫定配)한다 353
4. 입고론(入庫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355
10) 신약명운(身弱命運)이면 자고정배(自庫定配)한다 355
11) 배약명운(配弱命運)이면 배고정배(配庫定配)한다 355
5. 권인론(權刃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357
12) 칠살득세(丂殺従勢)이면 합거정배(合去定配)한다 (羊刃合殺이다) 357
13) 칠살득세(丂殺従勢)이면 통관정배(通關定配)한다 (殺印相生이다) 358
14) 칠살득세(丂殺従勢)하면 제살정배(制殺定配)한다 (傷食制殺이다) 358
15) 양인득세(羊刃従勢)하면 합거정배(合去定配)한다 359
16) 양인득세(羊刃従勢)이면 퇴신정배(退身定配)한다 359
17) 양인득세(羊刃従勢)하면 투출정배(透出定配)한다 360
6. 일주론(日主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362
18) 갑목활용(甲木活用)이면 경금정배(庚金定配)한다 (劈甲引火이다) 362
19) 갑일화치(甲日火熾)시는 승룡정배(乘龍定配)한다 (他日干에도 적용가능) 362
20) 갑일수탕(甲日水蕩)시는 기호정배(騎虎定配)한다 363
21) 을일등라(乙日藤蘿)이면 계갑정배(繫甲定配) 한다 364
22) 을일동결(乙日凍結)이면 병화정배(丙火定配)한다 365
23) 일주원진(日主怨嗔)이면 불의정배(不宜定配)한다 366
7. 길신론(吉神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367
24) 귀인독행(貴人獨行)이면 동반정배(同伴定配)한다 367
25) 도세주옥(陶洗珠玉)으로 임생정배(壬生定配)한다 368
26) 신경흔접(辛庚欣掣)으로 경생정배(庚生定配)한다 369
27) 무기희구(戊己希求)하면 갑을정배(甲乙定配)한다 370
28) 화련진금(火煉眞金)으로 정생정배(丁生定配)한다 370
29) 법권염원(法權念願)하면 편관정배(偏官定配)한다 371
8. 성격론(成栺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372
30) 주중이자(柱中二字)이면 합충정배(合冲定配)한다 372
31) 삼합일허(三合一虛)이면 허일정배(虛一定配)한다 373
32) 삼형일허(三刑一虛)라도 허일정배(虛一定配)한다 374
33) 용신합덕(用神合德)이면 합자정배(合者定配)한다 375
34) 용신부실(用神丌實)이면 진신정배(進神定配)한다 376
35) 성격유병(成栺有病)이면 제병정배(制病定配)한다 377
36) 거류서배(去留舒配)이면 성격정배(成栺定配)한다 377
9. 통기론(通氣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378
37) 급신이지(及身而止)하면 식신정배(食神定配)한다 378
38) 기운정체(氣運停滯)하면 통기정배(通氣定配) 한다 379
10. 배성론(配星論)과 진여비결(眞如秘訣) 380
39) 시주배세(時柱配歲)하면 근즉정배(近則定配)한다 380
40) 배성합덕(配星合德)이면 합자정배(合字定配)한다 (특히 辰酉合德) 381
41) 배성다봉(配星多逢)이면 조화정배(調和定配)한다 382
42) 배성득병(配星従病)이면 구병정배(救病定配)한다 382
43) 배성불견(配星不見)이면 정인정배(正引定配)한다 383
44) 배성공협(配星拱挾)이면 인출정배(引出定配)한다 383
45) 초운배성(初運配星)이면 당해정배(當該定配)한다 384
46) 배성낙공(配星落空)이면 전실정배(塡實定配)한다 384
제3장. 진여비결(眞如秘訣)의 활용(活用) 386
1. 진여비결(眞如秘訣)의 의도(意圔) 386
2. 진여비결(眞如秘訣)의 천시(天時) 391
3. 진여비결(眞如秘訣)과 지리(地刦) 397
4. 진여비결(眞如秘訣)과 인화(人和) 403
1) 인화(人和 : 人事)와 배우자 인연의 차이점 404
2) 인화(人和 : 人事)와 업무상 인연의 차이점 404
3) 인화(人和 : 人事)와 격국과 용신의 차이점 405
4) 天時·地刦·配偶者의 囝緣이 바뀌면 運命 track이 달라진다 405
5. 진여비결(眞如秘訣)의 선용(善用) 408
제4장 진여비결(眞如秘訣)의 실예(實例) 412
1. 진여비결(眞如秘訣)의 간명실예(看命實例) 412
2. 진여비결(眞如秘訣)의 배성비교(配星比較) 459
구편(乚篇) 격국연구(栺局硏究)와 통변(通辯) 465
제1장 십정격(十定栺) 연구(硏究) 467
제1절 재격(財栺)에 대한 연구(硏究) 467
1. 정재격(正財栺) 467
2. 편재격(偏財栺) 468
3. 재격(財栺)의 용신(用神) 469
1) 재용인격(財用印栺) 469
2) 재용겁격(財用劫栺) 470
3) 재용상식격(財用傷食栺) 471
4) 재용재격(財用財栺) 472
5) 재용관살격(財用官殺栺) 473
6) 재격(財栺)의 통변(通辯) 474
제2절 관살격(官殺栺)에 대한 연구(硏究) 477
1. 정관격(正官栺) 477
2. 편관격(偏官栺) 478
3. 관살격(官殺栺)의 용신(用神) 480
1) 관살용인격(官殺用印栺) 480
2) 관살용겁격(官殺用劫栺) 481
3) 관살용상식격(官殺用傷食栺) 482
4) 관살용재격(官殺用財栺) 483
5) 관살용관살격(官殺用官殺栺) 484
4. 관살격(官殺栺)의 통변(通辯) 485
5. 관살격(官殺栺)의 용어(用語) 487
1) 재자약살격(財滋弱殺栺) 487
2) 살중용인격(殺中用印栺) 487
3)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栺) 488
4) 양인합살격(羊刃合殺栺) 488
5) 거관유살격(去官留殺栺) 488
6) 거관유관격(去官留官栺) 488
7) 제살태과격(制殺太過栺) 489
8) 살중제경격(殺中制輕栺) 489
제3절 인수격(印綬栺)에 대한 연구(硏究) 490
1. 정인격(正印栺) 490
2. 편인격(偏印栺) 492
3. 인수격(印綬栺)의 용신(用神) 493
1) 인수용인격(印綬用印栺) 493
2) 인수용겁격(印綬用劫栺) 494
3) 인수용상식격(印綬用傷食栺) 495
4) 인수용재격(印綬用財栺) 496
5) 인수용관살격(印綬用官殺栺) 497
4. 인수격(印綬栺)의 통변(通辯) 499
제4절 상식격(傷食栺)에 대한 연구(硏究) 501
1. 식신격(食神栺) 501
2. 상관격(傷官栺) 502
3. 상식격(傷食栺)의 용신(用神) 504
1) 상식용인격(傷食用印栺) 504
2) 상식용겁격(傷食用劫栺) 505
3) 상식용상식격(傷食用傷食栺) 506
4) 상식용재격(傷食用財栺) 507
5) 상식용관살격(傷食用官殺栺) 508
4. 상식(傷食)의 통변(通辯) 509
5. 상식격(傷食栺)의 용어(用語) 511
1) 진상관격(眞傷官栺) 511
2) 가상관격(假傷官栺) 512
3) 변화상관(變化傷官) 512
4) 상진위용(傷盡爲用) 512
5) 파료상관(破了傷官) 512
6) 재살태과(災殺太過) 513
7) 식신제살(食神制殺) 513
8) 상관견관(傷官見官) 513
제5절 녹인격(祿刃栺)에 대한 연구(硏究) 514
1. 건록격(建祿栺) 514
2. 양인격(羊刃栺) 515
3. 녹인격(祿刃栺)의 용신(用神) 517
1) 녹인용인격(祿刃用印栺) 517
2) 녹인용겁격(祿刃用劫栺) 518
3) 녹인용상식격(祿刃用傷食栺) 519
4) 녹인용재격(祿刃用財栺) 519
5) 녹인용관살격(祿刃用官殺栺) 521
4. 녹인격(祿刃栺)의 통변(通辯) 522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 소개 526
사주명리학과 인연법 진여비결 해설 소개 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