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有我無蛙人生之恨
"나는 개구리가 없는 것이 인생의 한이다"
란 뜻입니다.
고려 중엽...
유명한 학자이셨던 李奎報 (1168~1241) 선생께서
몇 번의 과거에 낙방하고 초야에 묻혀살때 집 대문에
붙어있던 글입니다.
이 글에대한 유래...
임금이 하루는 단독으로 야행을 나갔다가 깊은
산중에서 날이 저물었다.
요행히 민가를 하나 발견하고 하루를 묵고자
청을했지만 집주인(이규보 선생)이
조금 더 가면 주막이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임금은
할 수없이 발길을 돌려야했다.
그런데 그 집(이규보)대문에 붙어있는 글이 임금을
궁금하게 한거죠.
’나는 있는데, 개구리가 없는게 인생의 한이다.
개구리가 뭘까..?’
한 나라의 임금으로서 어느만큼의 지식은
갖추었기에 개구리가 뜻하는 걸 생각해봤지만
도저히 감이 안잡혔죠.
주막에가서 국밥을 한그릇 시켜먹으면서 주모에게
외딴집(이규보집)에대해 물어봤지만,
과거에 낙방하고 마을에도 잘 안나오고 집안에서
책만 읽으며 살아간다는 소리를 들었지요.
그래서 궁금증이 발동한 임금은 다시 그 집으로
가서 사정사정한 끝에 하룻밤을
묵어갈 수 있었습니다.
잠자리에 누웠지만 집 주인의 글 읽는소리에 잠은
안오고해서 면담을 신청했죠.
그렇게도 궁금하게 여겼던 유아무와 인생지한이란
글에대해 들을 수 있었습니다.
옛날, 노래를 아주 잘하는 꾀꼬리와 목소리가
듣기 거북한 뜸북이가 살고있었다.
하루는 꾀꼬리가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를 하고
있을 때 뜸북이가 꾀꼬리한테
내기를 하자고했다. 바로
"3일후에 노래 시합을 하자"는 거였다.
두루미를 심판으로 정하잔다....
꾀꼬리는 한마디로 어이가 없었다.
노래를 잘하기는 커녕 목소리 자체가 듣기 거북한
뜸북이가 자신에게
노래시합을 제의하다니, 하지만
월등한 실력을 자신했기에 시합에 응했다.
그리고, 3일동안 목소리를 더 아름답게
가꾸고자 노력했다.
그런데, 반대로 노래시합을 제의한 뜸북이는
노래 연습은 안하고 자루 하나를 가지고 논두렁에
개구리를 잡으러 돌아 다녔다.
그렇게 잡은 개구리를 두루미한테 갔다
주고 뒤를 부탁한거다.
약속한 3일이 지나서 꾀꼬리와 뜸북이가 노래를
한곡씩 부르고 심판인 두루미의
판정만을 남겨두고 있었다.
꾀꼬리는 자신이 생각해도 너무 고운 목소리로
잘 불렀기에 승리를 장담했지만 결국 심판인
두루미는 뜸북이의 손을 들어주었다.
이 말은, 이규보선생이 임금한테 불의와 불법으로
얼룩진 나라를 비유해서 한 말이다.
이규보선생 자신이 생각해도,그 실력이나
지식은 어디 내놔도 안지는데 과거를 보면
꼭 떨어진다는 거다.
돈이없고,정승의 자식이 아니라는 이유로...
자신은, 노래를 잘하는 꾀꼬리같은 입장이지만
뜸북이가 두루미한테 상납한
개구리같은 뒷 거래가 없었기에 번번히 낙방하여
초야에 묻혀 살고 있다고...
그 말을 들은 임금은 이규보선생의 품격이나
지식이 고상하기에,
자신도 과거에 여러번 낙방하고
전국을 떠도는 떠돌인데 며칠 후에 임시과거가
있다해서 한양으로 올라가는 중이라고 거짓말을 하고
궁궐에 들어와 임시과거를 열 것을 명하였다 한다.
과거를 보는날, 이규보선생도 뜰에서 다른 사람들과
같이 마음을 가다듬으며
준비를하고 있을 때 시험관이 내 걸은 시제가
’유아무와 인생지한’이란 여덟자였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은 그게 무엇을 뜻하는지를 생각하고 있을 때
이규보선생은 임금이 계신 곳을 향해 큰 절을 한 번
올리고 답을 적어 냄으로서 장원급제 하여 차후
유명한 학자가 되었다고 한다.
옮겨온 글 |
|
아침이 밝아 오면
기계처럼 돌아가는 하루가 시작되는데
* 가족의 건강한 하루를 위해서
엉덩이를 흔들며 즐겁게 밥을 짓지만
* 늦잠을 자는 철부지 아들과
* 시집을 보내도 될 큰딸!
* "빨리 밥 먹어!"
* 그러나 언제나 반항적인 딸!
"알았다니깐, 먹잖아!"
* "저 버릇을 어떻게 고치지?"
* 못다 한 화장을 하면서
큰딸이 직장으로 향할 때!
* 꾸물대던 아들을 태우고
학교로 향하는 주부!
"빨리 준비하랬지..응?
왜, 꾸물대는데..응?"
* 남편과 자식들이 집을 나선 뒤에
엉망인 방구석을 청소하는데
* 잠시 한눈팔 사이
엉망이 되어 버린 막내아들!
* 그리고 언제나 주부의 몫인 빨래!
세탁기 빨래라면 여유라도 갖겠는데
* 발로 지근지근 밟아야 하는 발 빨래!
"아, 정말 너무 힘들다."
* 그러나 항상 미소를 잃지 않은 주부!
빨래를 해서 햇빛에 말려서는
* 예쁘게 정리를 하지만
* 종일 분수대에서 물장난했던 막내가 * 간밤에 오줌을 쌌을 땐
그대로 빨랫줄에 말리는 일도 있다.
* 정리가 끝나고 여유가 있을 때
유머방에 들어오는 것이
유일한 즐거움인 주부!
* 일상을 잊을 수 있는
가장 행복한 시간이지만
* 그러한 여유도 잠시
또다시 근심에 쌓이는 주부!
* 철없고 정숙하지 못한
말괄량이 딸내미는
* 선생님 속이나 썩이진 않는지?
* 장난꾸러기 아들은
똥침 장난이나 치고 있지는 않은지?
* 무단횡단 하는 것을
무슨 모험으로 즐기는 아들!
* 혹시 나쁜 친구들과 어울려
위험한 오토바이는 타지 않을까?
* 생각하기도 싫은
상상이지만
아파트에서 위험한 장난은
하고 있지 않을까?
..........................................
고단한 하루를 위로하듯
도시의 밤을 화려하게 수놓는 야경!
그러나 이 시각이면 어김없이 떠오르는 남편!
* 시장 골목 값싼 포장마차에서
아줌마의 정담과 함께 한잔의 술을 마시고
* 싸구려 노래방에서
노래 한 곡조 하는 것쯤이야 괜찮은데
* 남편의 퇴근길에서
언제나 남편을 유혹하는 유흥가!
* 호텔급 노래방에서
* 여우의 몸짓에 꼬여서는
* 여우의 장딴지를 만지고
* 영계들과 비비 꼬지는 않을까?
* 돈도 돈이고 술도 술이지만
제발 영계들과 스캔들은 없어야 할 텐데
* 혹시 오락실에?
* 혹시 화투치기?
* "만약에 그랬단 봐라!"
* 이런저런 생각을 할 때마다
언제나 떠오르는 군대간 아들 생각!
* 혹시 고참들에게
힘든 기합은 받지 않았을까?
* 지난밤 잠은 잘 잤는지?
................................................................
가족들 생각에 잠겨있는 주부에게
갑자기 울리는 아래층 떡집 아줌마 벨소리!
"예? 뭐라고요.?"
* "아니..? 예가?"
* 큰일 났다.
정말 큰일 났다.
막내아들 세발자전거 타고 * * * 도로에 진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