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흔히 ‘글로벌 시대’라고 말하지만 별로 달갑지 않은 것들이 이런 추세에 우리나라로 들어오고 있어 걱정입니다. 모든 게 사람이 하는 짓이지만 좀 생각을 하면서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예전에 제주도에는 까치가 없었다고 하는데 대한항공에서 육지의 까치를 옮겨다 놓는 바람에 그 까치가 번식해서 엄청난 피해를 주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과일을 키우는 농가에서 까치 때문에 아주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합니다.
울릉도에도 없었던 꿩을 누가 가져다 방사하는 바람에 꿩이 늘어나서 야단이고 엊그제는 뱀이 없던 울릉도에 뱀이 나타나 소동을 벌였다는 얘기도 나왔습니다. 그게 다 사람들의 호기심 때문에 생기는 일이겠지만 그런 일의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에 대해서는 예측이 불가능합니다.
<지난 16일 제주시 애월읍 한 저수지에 출현한 뱀 한 마리가 모두를 놀라게 했는데요. 이 뱀의 정체는 바로 아프리카 열대우림이 주 서식지인 '볼파이톤'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공비단뱀'이라 불리며 가장 대중적인 애완 파충류 중 하나로 꼽히는데요. 상자에 담겨 있던 것으로 미뤄봐 누군가 애완용으로 키우다 버린 것으로 의심됩니다.
볼파이톤은 지난 2016년 제주시 한 아파트 단지에도 출몰해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는데요. 국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 이 뱀은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따라 양도·양수 시 관련 증명서를 소지해야만 사육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개인 간 거래되는 사례가 많아 정확한 사육 규모조차 파악하기 힘든데요. 섬 지역의 특성상 생태계 교란종에 의한 피해에 취약한 만큼 자칫 제주도 고유종을 위협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윤영민 제주대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장은 "볼파이톤은 온도, 습도 등 사육조건이 까다로운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혹시 제주도 기후에 맞춰 살아남는다면 또 하나의 생태교란종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전남 지역에서도 사람이 내다 버린 것으로 보이는 외래 생물이 잇달아 발견됐습니다.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무등산 국립공원 경계 지역인 풍암천에 나타난 악어거북은 원래 미국 남서부 습지에 사는 동물. 개체의 크기가 크고 성질이 포악해 하천 생태계에서 포식자 지위를 누리는데요.
이 역시 국제 멸종위기종 Ⅲ 등급으로 엄격한 수출입 규제를 받는 만큼, 누군가 몰래 한국에 들여와 기르다 유기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나주 지석천 등 영산강 지류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미국가재 역시 강한 육식성 때문에 환경부가 생태교란종으로 지정했죠.
주로 관상용으로 수입했다가 사육을 포기하면서 하천에 방사한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미국가재를 포획한 결과 작년과 비슷하게 2천여 마리가 해당 지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관측됐는데요.
미국가재의 경우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고 번식률이 높아 특히 걱정이 큽니다.
만일 이들의 숫자가 급증한다면, 앞서 황소개구리, 파랑볼우럭(블루길), 큰입배스, 붉은귀거북, 뉴트리아처럼 토착종을 마구 잡아먹으며 생태계 파괴의 주범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외래종이 국내로 유입되는 경로는 다양하지만 이처럼 인간이 인위적으로 반입하는 경우는 사전에 충분히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더 문제가 되는데요.>연합뉴스, 김지선 기자.
이미 다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황소개구리와 불루길, 베스 같은 외래종도 다 사람이 들여와서 문제가 된 것입니다. 최근에 일본에선 미국에서 들여 온 ‘악어거북’이 하천의 생태계를 교란시킨다고 해서 야단이었는데 지금 우리나라에서도 발견이 된다니 놀랍습니다. 그리고 미국산 가재는 처음 듣는 얘기입니다.
호기심이 가져오는 문제가 엄청 커질 수 있다는 것을 좀 생각해보고 외래 품종을 들여와야 할 것이고, 정부에서도 이를 강력하게 규제해서 사전에 문제를 차단했으면 좋겠습니다.
時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