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桓]자의 발음 [한]은 하늘, 태양을 뜻한다.
고대 한국어 [한]을 한자로 표시한 글자가 [桓] [韓]이다.
옥편에 보면 桓자는 호단절(胡端切)로 발음한다고 되어있다.
즉 호의 초성 'ㅎ' + 단의 종성 '안'을 합쳐 '한'이라 읽는다고 설명했다.
환자(桓字)는 음가차(音假借)로서 형용사로 사용할 때는 ‘환’으로 쓰고,
명사로 사용할 때는 ‘한’으로 쓰는 것이 현재어법(現在語法)이며
오랜 관용음(慣用音)으로 사용 되어 왔다.
호단절(胡端切)의 [호(胡)]자는 북방민족, 동북방 즉 만주지역을 뜻한다.
원래 [호(胡)]자는 [古의 땅]을 뜻하는데 이는 [진리의 땅]을 뜻한다.
[고(古)]자가 원래는 단지 옛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옛날의 훌륭했던 때'의 의미를 함축한다.
단(端)자는 바르다, 바르게 하다이다.
단서(端緖)라 쓰면 어떤 일이나 사건 따위를 풀어 나갈 수 있는 실마리이다.
신리대전(神理大全)에 “桓은 그 음이 한이요,
桓은 태일광명太一光明 즉, 밝음을 뜻한다”는
기록도 이에 연유한다고 본다.
우리민족을 ‘한민족’이라 지칭한다. ‘단군민족’이라 하지 않는다.
이는 단군조선 이전에 한인의 한국(桓國)과 한웅의 배달국이 있어
‘한민족’ ‘배달민족’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행촌이암이 쓴 태백진훈 중,
“桓桓上帝는 天地一主요 萬神之王이로다.”
즉 환히 밝으신 한님(𥛠)은 우주(宇宙)의 한님(𥛠)이시오
일만신(一萬神)의 임금(𥛠)이로다. (𥛠은 神의 古字이다.)
판단은 각자의 몫이다.
한문수/ 역사칼럼니스트 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