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산(형제봉능선+산성주능선+백운대+하루재+우이능선) 종주 산행 길라잡이
ㅡ들뫼날뫼(더불어걷는길,더불어함께,다물)-2024.11.30
형제봉능선 종주 산행
북한산 종주 산행
#####개요
*총 종주산행 거리 : 12.80킬로미터.
*총 연결구간 거리 : 1.8킬로미터.
*총 이동거리 및 총 소요시간 : 14.60킬로미터, 09시간08분(산행시간(06시간32분)+연결구간(00시간36분)+휴식(2시간).
1. 총 산행거리 및 소요시간 : 12.80킬로미터, 06시간32분.
1). 형제봉능선길 : 3100미터, 01시간33분
2). 산성주능선길 : 3250미터, 01시간38분.
3). 용암봉~만경대 허리길 : 1300미터, 00시간39분.
4). 백운대 왕복길 : 700미터, 00시간28분.
5). 창릉천상류길(백운산장길) : 1300미터, 00시간39분.
6). 우이능선길 : 3150미터, 01시간35분.
2. 총 연결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1.8킬로미터, 00시간36분.
1). 평창동삼성아파트 버스정류장~~~500~~~형제봉공원지킴터.
2). 육모정지킴터~~~1300~~~북한산우이역.
*총 휴식시간 : 2시간.
#보기
* 산행 속도 : 산행구간 시속2.0킬로미터, 연결구간-시속3.0킬로미터 속도로 계산함, 분이하 소요시간:반올림.
* 구간거리 표기(단위 : 미터, 실거리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백운봉암문---350---백운대---.
* 해발고도 표기(단위 : 미터,실고도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백운대(836)---
* 산행거리는 이정표거리가 아닌 실거리로 표기함.
* 식수공급: 산에 있는 샘이나 사찰의 샘은 대부분 수질이 나쁘거나 말라 있어 이용이 어려움.
산행중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곳이 없으므로 들뫼전에 미리 넉넉하게 준비해야 함.
* 작성 내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
==============================
==============================
### 연결구간 : 평창동삼성아파트 버스정류장~~~500~~~형제봉공원지킴터.
-----평창동삼성아파트 버스정류장(정릉 국민대방향)---<횡단보도 건너서>---<북쪽 평창길로>---150---<동쪽 평창40길로>---350---형제봉공원지킴터.
###구복암길 : 형제봉공원지킴터~~~470~~~형제봉입구 분기점.
###들뫼
---형제봉공원지킴터(190,북한산둘레길(정릉동방향-구기동방향)-정릉탐방안내소2.5KM-서울둘레길(화개사일주문)6.0KM-평창공원지킴터1.0KM-서울둘레길(북한산생태공원)7.4KM 이정표,서울둘레길스템프,북한산둘레길 종합안내도,서울둘레길 안내도)---탐방객 계수기(둘레길 명상길 출입구,북한산 둘레길 안내 표지판)---화장실---북한산 둘레길100-05말뚝(246) 이정표---나무미륵대불 암각바위---구복암입구---470---형제봉입구 분기점(285)---
###형제봉능선길 : 형제봉입구~~~3100~~~대성문.
---#형제봉입구 갈림길 사거리(285,임도,구복암상단,형제봉매표소(서쪽),북악매표소(국민대학교,동쪽)북한산둘레길명상길구간,서울둘레길이정표,북악하늘길1.5KM이정표)---<탐방객계수기>----<나무계단>---<북한05-01말뚝,301M>---<형제봉공원지킴터0.7KM이정표>---<바위골길-위험>---<기묘한바위>---<북한05-02말뚝,429M>---<철봉안전난간암릉>------형제봉(455,암봉,조망대)---<철봉안전난간암릉>---<형제봉공원지킴터1.3KM이정표>---<바위 치배기길>------형제봉(462,육봉)---<바위 비알길>---1100---
---#형제봉북단갈림길삼거리(420,북악매표소(국민대학교)길(동남쪽),형제봉공원지킴터1.4KM이정표)------<북쪽으로>---<420봉>---<북한07-03말뚝,403M><샛길탐방금지 대나무 방지시설><북악공원지킴터1.8KM이정표>---<나무계단>---<산불방지소화기>---<돌계단>---<돌계단>---<버팀목 큰바위>---<북악공원지킴터2.1KM이정표>---<나무계단>---<북한07-04말뚝,459M>---<나무계단>---850---
---#<형제봉공원지킴터2.3KM이정표,평창공원지킴터(평창계곡)갈림길(460)>---300---
---#일선사입구(530,정릉계곡길(동남쪽)과 형제봉능선(남쪽) 일선사(북서쪽)갈림길 사거리,북악공원지킴터2.6KM이정표)---<돌계단>---<일선사화장실50M이정표>---<나무계단>---<일선사쉼터,산악구급함>---<나무계단>---<작은바위봉>---<보현봉 (우회)허리길(대성문까지)-비교적완만함>---<나무계단>---850---
---#대성문(615, 620,산악구급함,산행안내판,산성주능선길(동쪽)과 형제봉길(남쪽 갈림길 삼거리,<북한08-05말뚝,615M>,형제봉1.9KM이정표)------
###산성주능선길 : 대성문~~~3250~~~용암문.
---대성문(620,형제봉능선-북악산방향(남쪽)갈림길,대동문 방향 우회길 있음)---화룡봉(644)---성덕봉(631,전망대)---보국문(567,정릉매표소방향(남동쪽),북한동방향(북쪽)갈림길)---복덕봉(594,칼바위능선방향(동쪽)갈림길)---대동문(550,화장실,쇠귀천계곡-진달래능선방향(동북쪽),북한동방향(서쪽)갈림길,용암문까지 우회길 있음)---덕장봉(585)---동장대,시단봉(601)---
---반룡봉(583)---기룡봉(588,치성)---월출봉(615)---일출봉(618)---용암문(587,도선사방향(동북)갈림길)---
### 만경대-용암봉 허리길 : 용암문---1300---백운봉암문(위문).
*****용암봉 허리길*****
---용암문(587,대동문1.5KM-북한산대피소0.2KM-백운대1.5KM-용암문공원지킴터(도선사방향)1.1KM-KM 이정표)---<바위지대, 용암봉 진입구(비탐구역)>---<나무안전난간>---<나무안전난간>---<북한산2-6병풍암 국가지점번호-다사54056166>---<바위지대, 만경대와 용암봉 진입구(비탐구역)>---<나무안전난간>---<박석계단>---<나무안전난간>---<박석계단>---680---
---노적봉입구(658,대동문2.1KM-북한산대피소0.8KM-백운대0.9KM 이정표, <북한22-1말뚝 이정표(658)>, 노적봉(716)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만경대 허리길(이 길은 조망 좋은 위험한 낭떠러지 벼랑길이다.)*****
---노적봉입구(658)---<마모석계단>---<나무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 + 타이어멍석계단>---<쇠줄안전난간>---<데크계단-오르막,망노적봉>---<조망점 : 망 의상능선-노적봉-북한산성지구-백운대-원효능선>---<쇠줄안전난간>---<조망점 : 망백운대>---<쇠줄안전난간>---<데크계단-내리막>---<조망점 : 망백운대>---<데크계단>---<조망점 : 망백운대>---<데크계단>---<데크다리>---550---
---용암문-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백운봉암문(위문) 갈림길 삼거리 데크, KM-KM-KM 이정표, 백운대 서벽밴드 진입구(비탐구역)------<(긴 치배기(깔딱배기)데크계단, 북한산1-4위문 국가지점번호-다사54076213>---70---
---백운봉암문(716,위문,용암문1.2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8KM-백운대0.3KM-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인수암)0.8KM-백운대탐방지원센터1.8KM 이정표, 백운봉암문 초소(긴급구조요청(119 또는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02-909-0497),자동심장충격기 설치시설), 만경대(망경대 또는 국망봉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북한산국립공원 탐방안내도)---
### 백운대 암릉길 : 백운봉암문 ~~~350~~~백운봉.
---백운봉암문(716,위문,용암문1.2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8KM-백운대0.3KM-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인수암)0.8KM-백운대탐방지원센터1.8KM 이정표, 백운봉암문 초소(긴급구조요청(119 또는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02-909-0497),자동심장충격기 설치시설), 만경대(망경대 또는 국망봉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북한산국립공원 탐방안내도)---
---<북한산성 성벽>---<박석계단>---40---밤골방향 갈림길 삼거리(720)---<데크계단 + 밤골방향 갈림길 삼거리(720) + 데크계단>---<탐방객 계수기>---<쉼터,의자없음><북한산1-5백운대 국가지점번호-다사54056218>---<철봉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북한산성 성벽>---<얼굴바위>---<쇠줄안전난간 + 철봉안전난간>---<북한21-04말뚝 이정표(783)>---<오리바위>---<쇠줄안전난간계단>---<쇠줄안전난간->---<쇠줄안전난간>---<나무안전난간>---<삼각산 이름유래와 암석 생성역사 안내판>---<쇠줄안전난간>---<마당바위 + 뜀바위>---<쇠줄안전난간>---310---
---*****백운대(836.5,<통일서원비><3.1운동 암각문><북한산 백운대 836미터 암각문><국기봉><사방팔방 조망점>)*****---
---<철봉안전난간-신설됨-정상 북쪽면>---
### 백운대 암릉 되돌이길 : 백운대~~~350~~~백운봉암문.
---백운대---310--범골갈림길 삼거리---40---백운봉암문---
---백운봉암문(716,위문,용암문1.2KM-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8KM-백운대0.3KM-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인수암)0.8KM-백운대탐방지원센터1.8KM 이정표, 백운봉암문 초소(긴급구조요청(119 또는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02-909-0497),자동심장충격기 설치시설), 만경대(망경대 또는 국망봉 추락위험지역 출입제한 표지판, 북한산국립공원 탐방안내도)---
###백운산장길(창릉천 상류길) : 백운봉암문---1300---하루재.
---백운봉암문(위문,716., 산악구급함, 산악구조대초소)------*****북한산역사관+문화관+특수산악구조대대기실(옛백운산장(640,쉼터))*****----화장실--인수암---북한산 경찰 산악구조대(470)---하루재(490,영봉-도선사주차장-인수암 갈림길 삼거리,쉼터)---
###백운산장의 역사
백운산장은 1924년 산장지기 이영구씨가 터를 잡은 뒤 지난 100년 가까이 수많은 등산 애호가들과 함께하며 북한산을 지켜온 산 증인이다. 1933년 석조 산장을 신축했고, 1942년 우물을 팠으며 1960년 단층 석조 건물로 확장 재건축했다.
1992년 화재로 지붕이 불탔으며, 1998년 통나무로 2층을 증축했다.
2019년12월2일 폐쇄되었다.
백운산장은 우리나라 1호 산장이자 국립공원 마지막 민간 산장이었다.
산장이 폐쇄된 이유는 1992년 지붕이 불탔을 때 1998년 2층을 통나무로 증축하며 기부채납을 조건으로 신축 허가를 받으면서 2017년이 되면 국가에 산장을 내놓는다는 약속을 했기 때문이다.
북한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측은 산장 폐쇄 후 구조 보강과 리모델링 작업후 새롭게 문을 연 시설에는 1층은 북한산 역사관·문화관, 2층은 특수 산악구조대 대기 장소로 운용되고 있다.
영원한 산장지기
지난 2017년 12월 31일 산장지기 이영구-김금자씨 부부 모습. 이영구씨는 2018년 세상을 떠났다.
###우이능선길 : 하루재---3150---육모정지킴터.
(하루재---350---영봉---1500---육모정고개---1300---육모정 지킴터.)
---하루재(490,쉼터,영봉-도선사주차장-인수암 갈림길 삼거리)---영봉(604)---
---503봉(503)---육모정 고개(390,쉼터,상장봉능선 입구초소)---*****깔딱샘(식수 보충,영봉방향 마지막 샘물)---용덕사(식수보충?)---신검사(식수보충?)---육모정 지킴터(130)---
-----(삼각산 날뫼)
###연결 구간 : 육모정 지킴터~~~1300~~~북한산우이역.
---육모정 지킴터---(삼양로179길)---<회전교차로>---*****<세븐일레븐편의점(우이유원지점,서울 강북구 삼양로685)>*****---1300---북한산우이역---
###작성자: 들뫼날뫼
======================================
======================================
#####종주 산행과 일주 산행의 다른 점
-들뫼날뫼(더불어걷는길,더불어함께,다물),2023.10.20
###종주 산행 : 산의 맥과 산의 능선으로 이어진 곳을 따라 걷는 장거리 산행을 말한다.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자연관중의 하나인-산자분수령(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는다.)-에 의하여 산행길이 강이나 하천 등의 흐르는 물에 의하여 끊기지 않고 연속으로 이어진 산의 능선길을 걷는 산행을 말한다.
예). 1대간 9정맥 162지맥 종주, 화대종주, 설악대종주, 육구종주...
### 일주 산행 : 산의 맥이 중간에 끊기는 장거리 산행을 이르는 명칭이다.
예). 불수사도북 일주(중랑천),삼관우청광 일주(양재천),동두천6산 일주(신천)...
***이에 따라서, 불수사도북 산행을 종주 산행이라 말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
불수사도북 산행은 수락산과 사패산 사이를 중랑천이라는 하천이 흘러 산의 맥이 이어지지 못하고 끊기므로, 종주 산행이 아니라 달리 일주 산행이라 부르는 것이 맞을 것이다.
### 사전에서의 정의
1). 종주
종주1 [縱走]단어장 저장
형태분석 [縱走]
명사
(1)
(기본의미) 능선(稜線)을 따라 산을 걸어, 많은 산봉우리를 넘어가는 일.
(2)
산맥 따위가 지형이 긴 쪽으로 또는 남북으로 길게 이어짐.
*출처-다음 국어사전
2). 일주
일주1 [一周]단어장 저장
형태분석 [一周]
명사
넓은 일정한 지역을 한 바퀴 돎.
*출처-다음 국어사전
3). 산자분수령(山自分水嶺) : “산은 스스로 물을 가른다”는 말로써 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으니 물줄기를 보고 산줄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산줄기를 보아 물줄기도 가늠할 수 있다는 말이다.
산자분수령은 우리 선조들의 전통의 자연관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