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제어기가 부착된 모델의 빈번한 심야보일러 고장 원인 및 조치 방법
빈번이 발생된 순서대로 나열 하였으므로 순서대로 조치해 나가면 해결 되리라 사료됩니다.

<심야보일러용 자동제어기(통전제어기)>
*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다.
1. 정전이거나 보일러 상시전원(AC 220v) 코드가 빠져있다.(코드의 접촉불량을 점검)
2. 보일러 메인 판넬 속에있는 제어용 차단기가 내려(off) 갔다. (순환펌프를 점검)
3. 차단기가 떨어져 있지 않으면 테스트 버턴을 눌러 보아 전원이 들어오는것을 확인한다.(차단기 불량)
4. 메인콘트롤 퓨즈가 떨어(Broken) 졌다. (순환펌프를 점검)

< 심야보일러 메인 판넬 >
*메인콘트롤이 작동되지 않는다.
1.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다” 항목을 먼저 점검
2. 조작버턴이 동작하지 않거나 표시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전원코드를 뺏다가 5분 정도 경과후 다시 꼽는다.
3. 발생된 에러를 조치후 정상으로 복구 하지 않을 경우에도 전원코드를 뺀후 제어기 하네스 콘넥타를 뺐다 다시 꼽는다.
4. 상기 원인 외에는 제어장치 불량이므로 콘트롤을 교체 해야 한다.

< 자동제어기 (콘트롤) 하네스 배선 >
* 심야보일러 축열이 안된다.
1. 심야계기함 내부 또는 보일러내부 차단기가 꺼져(off) 있다. (차단기를 켠다(on))
2. 콘트롤 전원이 꺼져 있다. 룸콘도 꺼져 있다. (전원코드, 제어용차단기, 콘트롤전원 등 모두켠다)
3. 실내조절기 룸콘에서 심야전원이 차단 되었다.(룸콘의 심야전원 스위치를 켠다)
4. 자동제어장치의 지연으로 인하여 통전이 늦어 지므로 제어장치를 초기화 해야 한다.(리셋)
5. 콘트롤 불량이다.(교체)
※ 3상 심야 전력의 경우:
3상중 1상(또는 2상)이 단전(끊어져)되어 일부 전력만 공급되는 경우 온수기는 작동되기도 하고(온수기는 단상 전원 이므로) 차단기가 테스트 하면 작동은 되는데(단상 작동 되므로) 실제 3상 전기는 공급이 안되는 경우도 빈번함
; 한전 123번에 심야전력 고장 신고를 하여 점검을 받는다. 인입선~심야 계기함~심야보일러의 메인 전기 까지 이상 유무를 무상 점검 확인하여 줍니다.
* 누전차단기가 떨어져(Trip 또는 off) 있다
1. 차단기를 내렸다가 다시 올린(on) 후 심야전기가 들어올때 다시 떨어지는지 확인.
2. 대부분의 고장원인은 히터가 절연이 파괴되어 불량임 (히터교체)
: 테스터기로 히터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50메가옴 이하로 나오면 히터 불량
3. 누전차단기가 오래되거나(10년 정도 수명) 열화되면 스스로 떨어지기도 함.(ELB교체)
4. 습기나 먼지로 인하여 마그네트(MS, MC : 전자접촉기)단자 일부가 소손되거나 단락되어 누전 되기도함 (마그네트 교체)
5. 배선 및 단자대 접촉불량으로 인하여 차단기가 떨어 지기도함 (단자대를 조이고 배선이 열먹은것은 교체)
* 과열 경고등(과열에라표시)이 표시된다.
1. 심야보일러 난방수 온도가 95도 이상이다.(보일러 축열 온도를 5~10도 정도 내린다. 대부분 펌프 연속 작동으로 온도가 내려가면 자동 복구된다.)
2. 보일러 최상단에 있는 과열 센서가 웰타입 삽입형인 경우 제대로 삽입이 안되고 빠져 있거나 부착형 일 경우 습기나 부식으로 인하여 오동작한 경우도 있다.(센서점검)
3. 과열센서 배선이 낡아서 끊어 지기도 한다. (배선 점검)
4. 희박하지만 제어기하네스 콘넥타가 접촉불량을 일으키기도 한다.(콘넥타 분해후 결합)
5. 제어장치 가 낙뢰 등으로 인하여 오작동을 일으키기도 한다.(제어기교체)
에러표시 | 에러내용 | 조치사항 |
Er 01 | 센서1(최상부센서) 단선, 누락 | 센서 연결전선 점검 및 센서 교환 |
FL 02 | 센서2 단선, 누락 | 센서 연결전선 점검 및 센서 교환 |
FL 03 | 센서3 단선, 누락 | 센서 연결전선 점검 및 센서 교환 |
FL 04 | 센서4 단선, 누락 | 센서 연결전선 점검 및 센서 교환 |
Er 04 | 저수위 | 보일러 저수위 검출부 확인 |
Er 05 | 최상부 센서 이상 | 최상부센서
온도가 평균온도보다 5도 이하 낮을 경우 |
Er 06 | 모드설정 DIP 스위치 이상 | DIP
스위치 접점 위치 확인 |
Er 07 | 온도제어용 센서 단선, 누락 | 센서 연결전선 점검 및 센서 교환 |
Er 08 | 히터 동작검출 이상 | 누전차단기 및 히터 검출선 검사
(제어기 불량) |
Er 09 | 과열 | 보일러온도 90도 이상시, 자동복귀 |
< 메인 콘트롤 (자동제어기) 의 에라 코드 >
*저수위 경고등(저수위에라표시)이 표시된다.
1. 상수가 단수 된지 오래 되었거나 누수 등으로 인하여 팽창탱크 보충수가 공급이 안되어 물 부족 이다.(보일러 내부에 보충수를 충만)
2. 저수위 센서 불량이거나 저수위 센서와 연결된 배선이 빠지거나 단선되기도 한다.(센서점검)
3. 저수위 센서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센서 감지를 방해 하기도 한다.(센서 청소)
* 보일러는 정상 가동되는데 난방이 불량이다.
1. 실내 온도 조절기가 실내 온도보다 높게 조절해야 한다. 시간 기능일 경우 타임이 “0”으로 되어 있다.(조절기 상태 점검)
2. 실내 온도조절기가 합선(응급운전)되면 온도표시도 안되며 펌프는 연속 가동되어 방이 뜨거워진다. (조절기 연결선 점검)
3. 순환펌프 휴즈가 끊어 졌다.(순환펌프 용량이 제어기 용량을 초과하여 설치 됬거나 펌프 고장 이다.(펌프 점검 교체)
4. 순환 펌프에 이물질이 끼거나 고착되어 난방을 하여도 난방수가 순환되지 않는다.(펌프 점검 교체)
5. 보일러에 난방 공급 및 환수 밸브가 잠기어 있거나 분배기 밸브가 잠기어 있다(밸브개방)
6. 겨울철 가동을 안하고 있다 가동하게 되면 난방 배관이 동결로 인하여 순환이 안된다.( 사용안 하더라도 보일러 온도를 최소40도정도 설정하고 실내 조절기는 외출로 해야 한다.)
7. 누수 또는 증발로 보충이 안되어 보일러가 만수위가 안되면 난방이 안된다.(보충수를 가득 채워 만수위 한다.)
8. 배관에 에어가 차 있다 (에어 작업 필요)

< 난방용 순환펌프 >
세부적인 내용은 FAQ 게시판에 별도 설명 되어 있으니 참조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