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본설명 3형식은 영어 문장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형태입니다. 대부분의 영어문장이 3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3형식은 다음과 같은 형식입니다.
3형식문장 ⇒ 주어 + 완전타동사 + 목적어 ‘3형식문장’은 ‘완전타동사(보어가 필요하지 않고 목적어가 필요함) + 목적어(~을, ~를)’의 구조를 갖춘 문장 형식입니다.
해석은 ‘(주어)가 (목적어)를 (동사)하다’로 합니다.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를 ‘타동사’라 합니다. 그리고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를 ‘자동사’라 합니다. 영어 사전에는 타동사를 ‘vt’, 자동사를 ‘vi’ 로 표시해 놓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무엇을’이란 말을 단어 앞에 넣어서 자연스럽게 해석이 되면 타동사로 생각하고, 부자연스럽게 해석되면 자동사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예컨대 ‘열다’는 ‘(무엇을) 열다’라고 자연스럽게 풀이되므로 타동사입니다. 반면에 ‘열리다’는 ‘(무엇을) 열리다’가 되어 부자연스럽죠? 이럴 경우 자동사입니다. 자동사는 ‘무엇이’를 넣고 풀이하면 자연스럽습니다. ‘(무엇이) 열리다.’ 훨씬 자연스럽죠? ‘열리다’는 자동사이기 때문입니다.
(예) Open the door! <open 열다, 열리다 door 문> <문을 열어라! 문 열어!>
“무엇을 열어?” “문을 열어!” 따라서 예문에서 ‘열다(open)’는 타동사이군요. 영어 사전에는 ‘vt’라고 표시되어 있을 겁니다.
The door opens inward. ( inward 안쪽으로) 문은 안쪽으로 열린다. ‘열리다’는 자동사입니다. ‘무엇을 열리다’하면 풀이가 다소 어색하죠? ‘열리다’가 자동사이기 때문입니다. 영어 사전에서는 ‘열리다’의 뜻일 때는 ‘vi’ 로 표시되어 있을 겁니다. 이처럼 하나의 동사가 자동사가 되기도 하고, 타동사가 되기도 합니다. 당황하거나 혼동하지 마 세요. 이제 본격적으로 3형식에 대해 공부합시다.
(예) I have a book. < 나는 한 권의 책을 가지고 있다. > 타동사 목적어
예문의 have 는 ‘~을 가지다’의 뜻입니다. ‘무엇을 가지다’라고 하면 풀이가 어색하지 않으므로 have 는 타동사이군요. ‘무엇을’에 해당하는 것, 즉 ‘~을, ~를’이 붙은 말은 a book 이네요(책 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a book 은 have 의 목적어입니다. 이처럼 ‘주어 + 완전타동사 + 목적어’꼴(주어는 ~을 ~하다)을 ‘3형식문장’이라 합니다. 3형식은 1형식(주어 + 완전자동사)이나 2형식(주어 + 불완전자동사 + 주격보어)에 비해 훨씬 쉽죠?
(예) I like coffee. < like ~을 좋아하다 coffee 커피 > 타동사 목적어 < 나는 커피를 좋아한다. >
like 은 ‘~을 좋아하다’의 뜻입니다. ‘무엇을 좋아하다’라고 하면 의미가 어색하지 않으므로 타동사이군요. ‘무엇을’에 해당하는 것, 즉 ‘~을, ~를’이 붙은 말은 coffee 네요. 때문에 coffee 는 목적어입니다. 이처럼 ‘주어 + 완전타동사 + 목적어’꼴(주어는 ~을 ~하다)을 3형식문장이라 합니다. 자, 3형식은 목적어가 추가되었습니다. 목적어가 있어야 하는 동사.. 그렇습니다. 타동사입니다. 3형식에 쓰이는 동사는 타동사입니다. 목적어는 어떻게 해석을 합니까? 단어 뒤에 ‘-를(을), -에게’를 붙이면 됩니다.
I think of you. / I love you. / He teaches English 나는 생각한다 너를 / 나는 사랑한다 너를 / 그는 가르친다 영어를
자.. 위에서 보듯이 세 문장 모두 목적어가 쓰였습니다. 이렇게 3형식은 동사 뒤에 목적어가 쓰인다는 거...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① 기본문형: 3형식의 기본 문형은 S(주어) + 동사(V) + 목적어(O)입니다. 3형식의 핵심적인 문법사항은 3형식을 구성하는 동사의 성질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3형식을 이루는 동사는 반드시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완전 타동사입니다. (우리말의 경우) 우리말의 경우 영어의 3형식 문장에 해당되는 문장들은 조사 “을/를”이 붙은 목적어를 수반하는 문장들은 대체로 3형식 문장이라고 보면 됩니다.
(예) ①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② 그는 우리를 싫어합니다.
(해설) ① -- ②문장에서 목적어(당신을/우리를)를 생략하면 문장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이처럼 반드시 목적어를 동반하는 동사를 완전타동사라고 부르며 문의 제 3형식을 구성하는 기본동사입니다. * 완전타동사: 완전타동사란 반드시 목적어를 필요로 하며, "주어 + 완전타동사"만으로는 문장이 형성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문장이 문의 제 3형식 구성을 하고 있으며 완전타동사가 온 다음 그 뒤에 목적어에 해당되는 명사가 오지 않는다면 그 문장은 틀린 문장입니다.
(예) I make coffee. (o) I make. (x)
많은 동사들이 자동사와 타동사를 겸하고 있지만, 타동사 기능만을 하는 동사들은 주의해서 숙지해 두어야 합니다. 영어 공부가 어렵다는 것은 문법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동사의 기능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예) 이하는 주의를 요하는 타동사들이면서, 시험에 자주 출제 됨.
ⓐ attend (--에 참석하다) He attended the meeting. (o) He attended to the meeting. (x) ⓑ reach (--에 도착하다) She reached her school yesterday. (o) She reached to her school yesterday. (x) ⓒ resemble (--를 닮다) You resemble your father. (o) You resemble with your father. (x) ⓓ survive (--에서 살아남다) They survived the plane crash. (o) They survived in the plane crash (x) ⓔ discuss (--을 논의하다) We discussed the project. (o) We discussed about the project. (x)
(해설) 대략 대표적이면서도 빈번하게 등장하는 5가지 정도의 예를 들었지만 더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동사들은 완전타동사로서 명사를 바로 직접적으로 목적어로 취하고 있습니다. 전치사는 필요치 않습니다. (전치사에 대한 설명은 차후 전치사 편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 목적어: 목적어는 동사의 대상 혹은 목적이 되는 것으로 반드시 명사만이 올 수 있습니다. 명사는 단순히 한 단어가 명사를 이루는 것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다는 것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명사의 형태) ⓐ 명사(원래 하나의 단어로 된 명사. 예: book, cake, horse 등) ⓑ 동명사(동사를 재료로 동사를 명사로 만든 것. 형태는 동사원형 + --ing. 예: watching, running, drinking 등) ⓒ 부정사(명사적 용법: “to + 동사원형”의 형태로 동사를 명사로 만든 것. 예: to live, to study, to run 등) ⓓ 명사절(주어, 동사를 갖춘 하나의 완전한 문장이 통째로 하나의 명사 기능을 하는 것. 예: That he stole the money was not true) ⓔ 명사구(하나의 문장 형식은 아니면서 2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명사기능을 하는 것. 예: Going to school with you is really good) (해설) 명사를 공부하면서 “추상명사” “가산명사” “불가산명사” 등은 사실 위의 ⓐ -- ⓔ에 해당되는 5가지 명사 형태에 대한 공부에 비교하면 덜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불가산 명사”를 “가산명사”로 사용했다고 해도 문장이 어색하지만 알아듣는 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그러나 위의 5가지 명사 형태를 모르면 문장을 만들 수도 알아들을 수도 없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나중에 명사 편 참조.) (당부의 말씀)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목적어가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인다고 생각 하면 문의 제 3형식도 만만해 보이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기초적인 개념을 이해하면 생각보다는 영문법은 상식적인 수준에서 움직입니다. 그리고 결국에는 자유자재로 작문과 회화가 가능해 집니다.
3형식 예문과 응용 1. 아래 문장들은 전형적인 3형식 문장들입니다. 잘 살펴보시고 어떻게 응용되는 지도 한번 공부해 보시기 바랍니다. ① I make chairs. (나는 의자를 만듭니다) ② I like to make chairs. (나는 의자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③ I like making chairs. (나는 의자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④ I explain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나는 내가 의자 만드는 것을 정말 좋아한다고 설명합니다)
2. 위의 ① -- ④ 문장 모두가 전형적인 “주어 + 동사 + 목적어” 구조를 이루는 3형식 문장들입니다. 아래 설명을 참조하면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① I make chairs. 주어는 “I”, 타동사는 “make”, 목적어는 “chairs”입니다. “make” 즉 “만들다”라는 동사의 목적이 바로 “의자”가 됩니다. ② I like to make chairs. 주어는 “I”가 되며 뒤에 오는 동사의 행동 주체(행동을 하는 사람)가 됩니다. 타동사는 “like”입니다. 뒤에 오는 목적어는 동사 “like”의 대상 혹은 목적이 됩니다. 목적어는 “to make chairs”전체가 되며 곧 명사구가 됩니다. 우리말로 하면 “의자를 만드는 것” 정도입니다. 이때 “to make”는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 됩니다. 즉 “to + 동사원형”의 형태를 이용해서 동사를 명사로 만드는 것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부정사 편에서 하겠습니다) ③ I like making chairs. - 주어는 “I”가 됩니다. - 동사는 “like”가 됩니다. - 목적어는 “making chairs”가 됩니다. 동사 like에 ing를 붙여 명사로 만든 즉 동명사로 만들어서 목적어로 삼았습니다. 결국 “making chairs” 전체가 하나의 명사 즉 명사구가 되어 타동사 “like”의 목적어가 됩니다. (동명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동명사편에서 하겠습니다) ④ I explain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 주어는 물론 explain 앞에 있는 “I”입니다. - “explain”는 “설명하다”라는 뜻의 타동사입니다. - 목적어는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전체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내가 의자 만들기를 정말로 좋아한다는 것” 정도입니다. that 뒤에 오는 “I really like to make chairs”는 완전한 문장입니다. 따라서 that이 하나의 완한 문장을 하나의 품사 즉 명사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즉 명사절이 됩니다. 명사절도 명사이기 때문에 전체가 타동사 “explain”의 목적어가 됩니다. (명사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명사 편에서 하겠습니다)
(당부의 말씀) 문의 제 3형식에 대한 핵심은 타동사를 파악하는데 있으며, 두 번째 핵심은 목적어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문의 제 3형식 구조 자체는 쉽지만, 동사의 성질과 목적어 즉 명사의 성질과 구성을 이해하기는 만만치 않습니다. 차후의 명사에 대한 설명을 명사편에서 꼼꼼히 읽어보시고 다시 여기로 돌아와서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주어+동사+목적어」 「주어+동사+목적어」의 3형식에 쓰인 동사는 완전타동사로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목적어 가 뒤따르게 된다. 목적어로는 명사나 대명사, 또는 명사 상당어구가 쓰인다.
I have a car. (나는 자동차를 가지고 있다.) ☞ 명사 a car가 목적어 We made a boat. (우리는 보트를 만들었다.) ☞ 명사 a boat가 목적어 I know how to use it. (나는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안다.) ☞ 명사구 how to use it이 목적어 He likes swimming. (그는 수영을 좋아한다.) ☞ 동명사 swimming이 목적어 My father loves me very much. (아버지는 나를 무척 사랑하신다.) ☞ 대명사 me가 목적어 Most people eat too much meat. (대부분의 사람들은 너무 많은 고기를 먹는다.) ☞ 명사 meat가 목적어 / too much는 meat를 수식 I want to drink some coffee. (나는 커피를 좀 마시고 싶다.) ☞ 명사구 to drink some coffee가 목적어 I cannot answer his question. (나는 그의 질문에 답을 할 수 없다.) ☞ 명사 his question이 목적어
보충 학습 : 목적어와 보어의 구별 보어는 주어와 동일인이거나 주어의 성질을 설명하지만 목적어는 주어와 이런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 She became a scientist. (그녀는 과학자가 되었다.) ☞ 주어 She = 보어 a scientist She loves the scientist. (그녀는 그 과학자를 사랑한다.) ☞ 주어 She ≠ 목적어 the scientist
(1) 기본설명 3형식은 영어 문장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형태입니다. 대부분의 영어문장이 3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3형식은 다음과 같은 형식입니다.
3형식문장 ⇒ 주어 + 완전타동사 + 목적어 ‘3형식문장’은 ‘완전타동사(보어가 필요하지 않고 목적어가 필요함) + 목적어(~을, ~를)’의 구조를 갖춘 문장 형식입니다.
해석은 ‘(주어)가 (목적어)를 (동사)하다’로 합니다.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를 ‘타동사’라 합니다. 그리고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를 ‘자동사’라 합니다. 영어 사전에는 타동사를 ‘vt’, 자동사를 ‘vi’ 로 표시해 놓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무엇을’이란 말을 단어 앞에 넣어서 자연스럽게 해석이 되면 타동사로 생각하고, 부자연스럽게 해석되면 자동사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예컨대 ‘열다’는 ‘(무엇을) 열다’라고 자연스럽게 풀이되므로 타동사입니다. 반면에 ‘열리다’는 ‘(무엇을) 열리다’가 되어 부자연스럽죠? 이럴 경우 자동사입니다. 자동사는 ‘무엇이’를 넣고 풀이하면 자연스럽습니다. ‘(무엇이) 열리다.’ 훨씬 자연스럽죠? ‘열리다’는 자동사이기 때문입니다.
(예) Open the door! <open 열다, 열리다 door 문> <문을 열어라! 문 열어!>
“무엇을 열어?” “문을 열어!” 따라서 예문에서 ‘열다(open)’는 타동사이군요. 영어 사전에는 ‘vt’라고 표시되어 있을 겁니다.
The door opens inward. ( inward 안쪽으로) 문은 안쪽으로 열린다. ‘열리다’는 자동사입니다. ‘무엇을 열리다’하면 풀이가 다소 어색하죠? ‘열리다’가 자동사이기 때문입니다. 영어 사전에서는 ‘열리다’의 뜻일 때는 ‘vi’ 로 표시되어 있을 겁니다. 이처럼 하나의 동사가 자동사가 되기도 하고, 타동사가 되기도 합니다. 당황하거나 혼동하지 마 세요. 이제 본격적으로 3형식에 대해 공부합시다.
(예) I have a book. < 나는 한 권의 책을 가지고 있다. > 타동사 목적어
예문의 have 는 ‘~을 가지다’의 뜻입니다. ‘무엇을 가지다’라고 하면 풀이가 어색하지 않으므로 have 는 타동사이군요. ‘무엇을’에 해당하는 것, 즉 ‘~을, ~를’이 붙은 말은 a book 이네요(책 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a book 은 have 의 목적어입니다. 이처럼 ‘주어 + 완전타동사 + 목적어’꼴(주어는 ~을 ~하다)을 ‘3형식문장’이라 합니다. 3형식은 1형식(주어 + 완전자동사)이나 2형식(주어 + 불완전자동사 + 주격보어)에 비해 훨씬 쉽죠?
(예) I like coffee. < like ~을 좋아하다 coffee 커피 > 타동사 목적어 < 나는 커피를 좋아한다. >
like 은 ‘~을 좋아하다’의 뜻입니다. ‘무엇을 좋아하다’라고 하면 의미가 어색하지 않으므로 타동사이군요. ‘무엇을’에 해당하는 것, 즉 ‘~을, ~를’이 붙은 말은 coffee 네요. 때문에 coffee 는 목적어입니다. 이처럼 ‘주어 + 완전타동사 + 목적어’꼴(주어는 ~을 ~하다)을 3형식문장이라 합니다. 자, 3형식은 목적어가 추가되었습니다. 목적어가 있어야 하는 동사.. 그렇습니다. 타동사입니다. 3형식에 쓰이는 동사는 타동사입니다. 목적어는 어떻게 해석을 합니까? 단어 뒤에 ‘-를(을), -에게’를 붙이면 됩니다.
I think of you. / I love you. / He teaches English 나는 생각한다 너를 / 나는 사랑한다 너를 / 그는 가르친다 영어를
자.. 위에서 보듯이 세 문장 모두 목적어가 쓰였습니다. 이렇게 3형식은 동사 뒤에 목적어가 쓰인다는 거...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① 기본문형: 3형식의 기본 문형은 S(주어) + 동사(V) + 목적어(O)입니다. 3형식의 핵심적인 문법사항은 3형식을 구성하는 동사의 성질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3형식을 이루는 동사는 반드시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완전 타동사입니다. (우리말의 경우) 우리말의 경우 영어의 3형식 문장에 해당되는 문장들은 조사 “을/를”이 붙은 목적어를 수반하는 문장들은 대체로 3형식 문장이라고 보면 됩니다.
(예) ①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② 그는 우리를 싫어합니다.
(해설) ① -- ②문장에서 목적어(당신을/우리를)를 생략하면 문장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이처럼 반드시 목적어를 동반하는 동사를 완전타동사라고 부르며 문의 제 3형식을 구성하는 기본동사입니다. * 완전타동사: 완전타동사란 반드시 목적어를 필요로 하며, "주어 + 완전타동사"만으로는 문장이 형성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문장이 문의 제 3형식 구성을 하고 있으며 완전타동사가 온 다음 그 뒤에 목적어에 해당되는 명사가 오지 않는다면 그 문장은 틀린 문장입니다.
(예) I make coffee. (o) I make. (x)
많은 동사들이 자동사와 타동사를 겸하고 있지만, 타동사 기능만을 하는 동사들은 주의해서 숙지해 두어야 합니다. 영어 공부가 어렵다는 것은 문법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동사의 기능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예) 이하는 주의를 요하는 타동사들이면서, 시험에 자주 출제 됨.
ⓐ attend (--에 참석하다) He attended the meeting. (o) He attended to the meeting. (x) ⓑ reach (--에 도착하다) She reached her school yesterday. (o) She reached to her school yesterday. (x) ⓒ resemble (--를 닮다) You resemble your father. (o) You resemble with your father. (x) ⓓ survive (--에서 살아남다) They survived the plane crash. (o) They survived in the plane crash (x) ⓔ discuss (--을 논의하다) We discussed the project. (o) We discussed about the project. (x)
(해설) 대략 대표적이면서도 빈번하게 등장하는 5가지 정도의 예를 들었지만 더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동사들은 완전타동사로서 명사를 바로 직접적으로 목적어로 취하고 있습니다. 전치사는 필요치 않습니다. (전치사에 대한 설명은 차후 전치사 편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 목적어: 목적어는 동사의 대상 혹은 목적이 되는 것으로 반드시 명사만이 올 수 있습니다. 명사는 단순히 한 단어가 명사를 이루는 것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다는 것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명사의 형태) ⓐ 명사(원래 하나의 단어로 된 명사. 예: book, cake, horse 등) ⓑ 동명사(동사를 재료로 동사를 명사로 만든 것. 형태는 동사원형 + --ing. 예: watching, running, drinking 등) ⓒ 부정사(명사적 용법: “to + 동사원형”의 형태로 동사를 명사로 만든 것. 예: to live, to study, to run 등) ⓓ 명사절(주어, 동사를 갖춘 하나의 완전한 문장이 통째로 하나의 명사 기능을 하는 것. 예: That he stole the money was not true) ⓔ 명사구(하나의 문장 형식은 아니면서 2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명사기능을 하는 것. 예: Going to school with you is really good) (해설) 명사를 공부하면서 “추상명사” “가산명사” “불가산명사” 등은 사실 위의 ⓐ -- ⓔ에 해당되는 5가지 명사 형태에 대한 공부에 비교하면 덜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불가산 명사”를 “가산명사”로 사용했다고 해도 문장이 어색하지만 알아듣는 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그러나 위의 5가지 명사 형태를 모르면 문장을 만들 수도 알아들을 수도 없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나중에 명사 편 참조.) (당부의 말씀)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목적어가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인다고 생각 하면 문의 제 3형식도 만만해 보이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기초적인 개념을 이해하면 생각보다는 영문법은 상식적인 수준에서 움직입니다. 그리고 결국에는 자유자재로 작문과 회화가 가능해 집니다.
3형식 예문과 응용 1. 아래 문장들은 전형적인 3형식 문장들입니다. 잘 살펴보시고 어떻게 응용되는 지도 한번 공부해 보시기 바랍니다. ① I make chairs. (나는 의자를 만듭니다) ② I like to make chairs. (나는 의자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③ I like making chairs. (나는 의자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④ I explain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나는 내가 의자 만드는 것을 정말 좋아한다고 설명합니다)
2. 위의 ① -- ④ 문장 모두가 전형적인 “주어 + 동사 + 목적어” 구조를 이루는 3형식 문장들입니다. 아래 설명을 참조하면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① I make chairs. 주어는 “I”, 타동사는 “make”, 목적어는 “chairs”입니다. “make” 즉 “만들다”라는 동사의 목적이 바로 “의자”가 됩니다. ② I like to make chairs. 주어는 “I”가 되며 뒤에 오는 동사의 행동 주체(행동을 하는 사람)가 됩니다. 타동사는 “like”입니다. 뒤에 오는 목적어는 동사 “like”의 대상 혹은 목적이 됩니다. 목적어는 “to make chairs”전체가 되며 곧 명사구가 됩니다. 우리말로 하면 “의자를 만드는 것” 정도입니다. 이때 “to make”는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 됩니다. 즉 “to + 동사원형”의 형태를 이용해서 동사를 명사로 만드는 것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부정사 편에서 하겠습니다) ③ I like making chairs. - 주어는 “I”가 됩니다. - 동사는 “like”가 됩니다. - 목적어는 “making chairs”가 됩니다. 동사 like에 ing를 붙여 명사로 만든 즉 동명사로 만들어서 목적어로 삼았습니다. 결국 “making chairs” 전체가 하나의 명사 즉 명사구가 되어 타동사 “like”의 목적어가 됩니다. (동명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동명사편에서 하겠습니다) ④ I explain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 주어는 물론 explain 앞에 있는 “I”입니다. - “explain”는 “설명하다”라는 뜻의 타동사입니다. - 목적어는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전체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내가 의자 만들기를 정말로 좋아한다는 것” 정도입니다. that 뒤에 오는 “I really like to make chairs”는 완전한 문장입니다. 따라서 that이 하나의 완한 문장을 하나의 품사 즉 명사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즉 명사절이 됩니다. 명사절도 명사이기 때문에 전체가 타동사 “explain”의 목적어가 됩니다. (명사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명사 편에서 하겠습니다)
(당부의 말씀) 문의 제 3형식에 대한 핵심은 타동사를 파악하는데 있으며, 두 번째 핵심은 목적어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문의 제 3형식 구조 자체는 쉽지만, 동사의 성질과 목적어 즉 명사의 성질과 구성을 이해하기는 만만치 않습니다. 차후의 명사에 대한 설명을 명사편에서 꼼꼼히 읽어보시고 다시 여기로 돌아와서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주어+동사+목적어」 「주어+동사+목적어」의 3형식에 쓰인 동사는 완전타동사로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목적어 가 뒤따르게 된다. 목적어로는 명사나 대명사, 또는 명사 상당어구가 쓰인다.
I have a car. (나는 자동차를 가지고 있다.) ☞ 명사 a car가 목적어 We made a boat. (우리는 보트를 만들었다.) ☞ 명사 a boat가 목적어 I know how to use it. (나는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안다.) ☞ 명사구 how to use it이 목적어 He likes swimming. (그는 수영을 좋아한다.) ☞ 동명사 swimming이 목적어 My father loves me very much. (아버지는 나를 무척 사랑하신다.) ☞ 대명사 me가 목적어 Most people eat too much meat. (대부분의 사람들은 너무 많은 고기를 먹는다.) ☞ 명사 meat가 목적어 / too much는 meat를 수식 I want to drink some coffee. (나는 커피를 좀 마시고 싶다.) ☞ 명사구 to drink some coffee가 목적어 I cannot answer his question. (나는 그의 질문에 답을 할 수 없다.) ☞ 명사 his question이 목적어
보충 학습 : 목적어와 보어의 구별 보어는 주어와 동일인이거나 주어의 성질을 설명하지만 목적어는 주어와 이런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 She became a scientist. (그녀는 과학자가 되었다.) ☞ 주어 She = 보어 a scientist She loves the scientist. (그녀는 그 과학자를 사랑한다.) ☞ 주어 She ≠ 목적어 the scient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