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은 인종이나 문화에 관계없이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공통적으로
본능이나 유전적인 것처럼 전승되는
'집단 무의식'을 갖고 태어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 집단 무의식은 우리가 아는 것 너머의 미지의 정신세계이다. 집단 무의식은 '모든 인간이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보편적인 정신의 토대'를 의미한다.
인간의 집단 무의식은 여러 가지 '근원적 원형'들로 구성된다.
원형은 어떤 물질이나 관념이 아니라, 무의식을 전달하는 여러 가지 형식의 '그릇'이다. 아기가 알게 된 엄마에 대한 특정 지식이 '모성원형 그릇에 담긴다.
이 모성원형의 그릇은 아기의 개인적인 경험 밑에 경험 이전의 깊은 곳에, 이미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고 있었다
원형은 인류 역사를 통해
물려받은 정신적 소인의 원형이다.
원형은 형태를 가진 이미지나 심상이지 내용은 아니다.
상징은 원형의 내용이며 원형의 외적 표현
이다.
원형은 꿈, 신화, 동화, 예술 등 상징
을 통해서 표현된다.
융에 따르면
자연과 인간의 창조 · 기원 · 탄생은
어머니 원형과 관계된다.
이는 세상의 모든 모성적인 것의 기반으로 어머니 원형에는 신화 속의 여신과 어머니 여신이 포함된다. 인간이 자신의 어머니를 느끼는 것을 포함해 세상의 모든 존재가 모성을 경험할 수 있는 것도 어머니 원형 덕분이다. 그런데 모든 인간에게 어머니가 있으므로 모성을 느끼지만 그것을 느끼고 표현하는 방식은 문화에 따라 다르게 표출된다.
모성원형이란 모성적특질 , 구원적인 특성이 있는
상징적 이미지들, 장소등도 모성 원형에 속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융에 의하면 어린이가 지각하는 부모는 부모의 현실상이 신성으로 덧입혀진 상이다. 부모의 상은 어린이에게 있어 프로이드 이론같이 근친간적 환상의 대상이기보다 더 강렬한 내용을 포함한다. 융은 부모의 상을 종교적 표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부모의 상은 사랑의 관념뿐 아니라 신의 관념과 관련된다. "
이러한 부모에 대한 원형적 체험은 어린이가 성장
하고 의식이 강화됨에 따라 사라지면서 어린이는 현실적 부모상을 적지 않은 실망과 함께 원형적(이상적) 부모상으로부터 구별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원형적 부모상은 그대로 무의식에 남아 있어 부모 아닌 다른 이성에 투사되거나 또한 투사된 준비 태세를 간직한 채 있게 된다고 말했다.
이것은 인간의 종교적 표상으로서의 부모이고 부모의 이미지가 종교의 신성과 관련되어 있다.
남성 신성에 대한 문명이 수천년 이어져왔기때문에
여성을 대표한 신성은 드물고 따라서 여성, 어머니의 신상은 종교에 있어서 거의 희미해졌다고 본다.
<성경에 나타난 여성원형 연구>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