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발견된 바이러스만 20 종이 넘습니다. 다 알 필요가 없고 2014년 자료지만, 이 자료에 언급되는
바이러스가 모든 바이러스 자료에 다 나오므로 이 정도만 알아도 되겠습니다.
다음편에는 난황형성전구체(Vitellogenin)를 더 알아 보고 일체의 약제를 쓰지 않는 유기 양봉 공부를
마치고자 합니다.
Honey Bee Viruses, the Deadly Varroa Mite Associates
꿀벌 바이러스, 치명적인 바로아 응애 동료
If your bees have Varroa, your bees have viruses.
귀하의 벌에 바로아 응애가 있다면, 바이러스가 있다.
Authors: Philip A. Moore, Michael E. Wilson, and John A. Skinner
Department of Entomology and Plant Pathology, t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TN
Originally Published: August 21, 2014
저자: 필립 A. 무어, 마이클 E. 윌슨, and 존 A. 스키너
테네시 주 녹스빌, 테네시 주립대 곤충학 및 식물 병리학과
초판 발행 : 2014년 8월 21일
Introduction
서론
Varroa mites (Varroa spp.) are a ubiquitous parasite of honey bee (Apis spp.) colonies. They are common
nearly everywhere honey bees are found, and every beekeeper should assume they have a Varroa
infestation, if they are in a geographic area that has Varroa (Varroa mites are not established in Australia
as of spring 2014).
바로아 응에들 (Varroa 種)은 꿀벌 봉군의 기생충으로 어디에서나 있다. 응애는 벌이 있는 곳에 어디에서나
거의 흔하게 발견되고, 모든 양봉인은 바로아 응애가 있는 지리적인 지역에 있다면, 바로아 응애에 감염이
된다고 생각해 봐야 한다. (바로아 응애는 2014년 봄 현재 호주에서는 자리잡지 않았다)
Varroa mites were first introduced to the western honey bee (Apis mellifera) about 70 years ago after
bringing A. mellifera to the native range of the eastern honey bee (Apis cerana). Varroa mites (Varroa
jacobsoni) in eastern honey bee colonies cause little damage.
바로아 응애는 서양종 꿀벌을 동양종 꿀벌의 원래 분포지역으로 가지고 온 후, 약 70년전 서양종 꿀벌로
처음으로 전해졌다. 동양종 꿀벌 봉군에서는 바로아 응애가 거의 해를 주지 않는다.
But after switching hosts and being dispersed across the world through natural and commercial
transportation of honey bee colonies, Varroa has became a major western honey bee pest since the
1980’s.
Varroa mites (Varroa destructor) are now the most serious pest of western honey bee colonies
and one of the primary causes of honey bee decline (Dietemann et al. 2012). A western honey bee colony
with Varroa, that is not treated to kill the pest, will likely die within one to three years (Korpela et al. 1993
Fries et al. 2006).
그러나 숙주를 바꾸고 꿀벌 봉군의 자연적인 또는 상업적인 운송을 통해 전 세계로 퍼지게 되고, 바로아
응애는 1980년 이후 서양종 꿀벌의 주요한 해충이 되었다. 바로아 응애는 서양종 꿀벌 봉군의 지금 가장
심각한 해충이고, 최초의 해충으로 꿀벌 감소 원인의 한가지이다. (디에트만 외. 2012년) 응애 구제를 하지
않는 바로아 응애를 가진 서양종 꿀벌은 1년에서 3년 안에 죽을 것이다. (코펠라 외. 1993년; 프라이즈 외. 2006년)
Varroa Life History
바로아 응애 생활사
Varroa mites attack honey bee colonies as an external parasite of adult and developing bees, by feeding on
hemolymph (fluid of the circulatory system similar to blood), spreading disease, and reducing their lifespan.
Evidence suggests that Varroa and their vectored viruses affect the immune response of honey bees,
making them more susceptible to disease agents (Yang and Cox-Foster 2005).
바로아 응애는 성봉과 유충의 외부 기생충으로서 체액(피와 유사한 순환기 계통의 액체)을 빨아 먹음으로써,
질병을 퍼뜨리고, 벌의 수명을 단축시키면서 꿀벌 봉군을 공격한다.
바로아 응애와 그들이 매개한 바이러스는 꿀벌의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치므로, 질병 바이러스에 더 쉽게
감염되도록 한다고 증거는 시사하고 있다. (양 그리고 포스터 2005년)
For more information on this topic see here. Mature female Varroa mites survive on immature and adult
honey bees (worker, drone, and rarely queen), are reddish brown, and about the size of a pin head.
Male mites are a smaller size and tan color, do not feed on bees, and are only found inside brood cells
(Rosenkranz et al. 2010).
이 기사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볼려면 여기를 참조하라. 성숙한 암놈 바로아 응애는 미성숙한 꿀벌과 성봉에
붙어 (일벌, 수벌과 드물게 여왕벌) 생존하며, 적갈색이며, 핀의 머리 크기이다. 수놈 응애는 그 보다 작은 크기
이며 , 벌을 통해 먹이를 먹지 않고, 벌방 안쪽에서만 발견된다. (로젠크란쯔 외 2010)
Varroa have two life stages, phoretic and reproductive. The phoretic stage is when a mature Varroa mite is
attached to an adult bee and survives on the bee’s hemolymph. During this stage the mite may change
hosts often transmitting viruses by picking up the virus on one individual and injecting it to another during
feeding.
바로아 응애는 영동(phoretic) 과 번식의 두가지 일생 단계가 있다.
영동 단계는 성숙한 바로아 응애가 성봉 꿀벌에 달라 붙어 벌의 체액을 빨아 먹고 생존한다,
이 단계에서 체액을 빨아 먹는 동안 한 마리 벌에게서 바이러스를 끌어 모아 바이러스를 옮기고 또다른
벌에게 주입하면서 종종 숙주를 바꿀 것이다.
註) phoretic(영동) : 예를 들어, 진드기가 딱정벌레에 붙어 새로운 먹이 공급원으로 운반되는 경우와 같이 한 종이
다른 종을 운반하는 두 종 간의 연관성입니다. [새로운 라틴어 phorēsia, 그리스어 phorēsis에서 나르기; -영동
참조]
Phoretic mites may fall off the host, sometimes being bitten when bees groom each other, or it may die of
old age. Mites found on the bottom board of the hive or that fall though a screen bottom board are called
the “natural mite drop”. But these mites that fall off of bees represent a small portion of the total mite
population because the reproductive mites are hidden under cell cappings.
영동(Phoretic) 단계 응애들은 숙주에서 떨어져 나와 벌들이 서로 털을 고르는 몸단장을 할 때, 노쇠하여 죽을
때에 때때로 물어 뜯기기도 한다. 응애는 벌통 바닥에서 발견되고 또는 철망사 바닥을 통한 떨어지는 것을
“자연적인 응애 낙하” 라고 부른다. 그러나 번식하는 응애는 벌방 덮게 아래 숨어 있기 때문에, 벌로부터
떨어진 이 응애들은 전체 응애 개체수의 작은 부분으로 나타난다.
Image 1: Reproductive Varroa mite on a developing pupa (reddish oval) and two immature Varroa
(opaque ovals). Credit: Abdullah Ibrahim (arrows added for emphasis)
이미지 1 ; 성장하는 유충에 붙은 번식하는 바로아 응애와 두 마리의 미성숙한 바로아 응애 (흐릿한 타원형).
저작자 표시 : 아브둘라 이브라힘 (화살표는 강조를 위해 첨부함)
The reproductive life stage of Varroa begins when an adult female mite is ready to lay eggs and moves
from an adult bee into the cell of a developing larval bee. After the brood cell is capped and the larva
begins pupating, the mite begins to feed. After about three days from capping, the mite lays its eggs, one
unfertilized egg (male) and four to six fertilized (female) eggs (Rosenkranz et al. 2010).
바로아 응애의 번식하는 생활 단계는 성체 암컷 응애가 알을 낳을 준비가 되면 성봉에서 떨어져 나와 발달
중인 유충의 방으로 이동할 때 시작된다. 유충방이 덮게를 하고 유충이 번데기화 되기 시작하면, 응애는 먹이
활동을 시작한다. 덮게한 후 약 3일 뒤에, 알을 낳은데, 하나는 미수정란(수컷) 이고 4개에서 6개 까지
수정란이다.
(암컷) (로젠크란쯔 외 2010)
After the eggs hatch, the female mites feed on the pupa, mate with the male mite and the surviving
sexually mature female mites stay attached to the host bee when it emerges as an adult. It takes six to
seven days for a female mite to mature from egg to adult and it can live two to three months in the
summer and five to eight months in the fall.
알들이 부화한 후, 암컷 응애는 유충에게서 먹이를 먹고, 수컷 응애와 짝짓기를 하고, 살아 남아 있는 성적으로
성숙한 암컷 응애는 성봉으로 출현하는 숙주 벌에게 붙어 머문다. 암컷 응애가 알에서 성숙하는데 6일 ~ 7일
걸리고, 여름철에는 2개월 ~ 3개월, 겨울철에는 5개월 ~ 8개월간 살 수 있다.
Only mature female mites can survive outside of a brood cell (the phoretic stage), and on average a mite
will produce 1.2 viable mature female offspring per worker cell invaded (Schulz 1984; Fuchs & Langenbach
1989).
성숙한 암컷 응애만이 유충 벌방 밖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평균적으로 응애는 침입한 일벌방 당 생존 가능한
성숙한 암컷 새끼 1.2 마리를 생산한다 (슐츠 & 란젠바흐 1989년).
However, since the development time is longer for drone brood, the average viable offspring for a
mite in a drone cell increases to 2.2 per cell invaded (Schulz 1984; Fuchs & Langenbach 1989).
For more on Varroa life history see here.
그러나 수벌 유충이 진화하는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수벌방에서 응애의 평균 생존 가능한 새끼는 침입한
벌방 당 2.2로 증가합니다. 바로아 응애의 생활사를 더 원하면 여기를 보라.
Viruses
바이러스
One of the serious problems caused by Varroa is the transmission of viruses to honey bees which cause
deadly diseases. Viruses found in honey bees have been known to scientists for 50 years and were
generally considered harmless until the 1980’s when Varroa became a widespread problem.
바로아 응애로 인한 심각한 문제 중 하나는 꿀벌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전염이다.
꿀벌에서 발견된 바이러스는 50년 동안 과학자들이 알고 있어 왔으며 바로아 응애가 널리 퍼져 문제된
1980년대 까지는 일반적으로 무해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Since then, nearly twenty honey bee viruses have been discovered and the majority of them have an
association with Varroa mites, which act as a physical and or biological vector (Kevan et al. 2006).
그 이후로, 거의 20種의 꿀벌 바이러스가 발견되었고, 대부분은 자연적이고 생물적인 매개체로 역할을
하는 바로아 응애와 관련이 있다 (케번 외 2006).
Therefore controlling Varroa populations in a hive will often control the associated viruses and finding
symptoms of the viral diseases is indicative of a Varroa epidemic in the colony. Viruses are however, the
least understood of honey bee diseases. Emerging information of honey bee viruses continue to alter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viruses play in honey bee colonies (Genersch and Aubert 2010).
따라서 벌통안의 바로아 응애 개체수를 억제하는 것은 관련된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것이고,
바이러스 질병의 증상을 알아내는 것은 봉군에 바로아 응애가 만연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잘 알고 있지 않는 꿀벌 질병이다. 꿀벌 바이러스에 대한 새로운 정보는 꿀벌 봉군에서
바이러스의 역할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계속해서 바꾸고 있다 (Genersch and Aubert 2010).
Viral Life History
바이러스 생활사
Viruses are microscopic organisms that consist of genetic material (RNA or DNA) contained in a protein
coat. Viruses do not acquire their own nutrients or live independently, and can only multiply within living
cells of a host. An individual virus unit is called a virus particle or virion and the abundance of these
particles in a host is called the virus titer.
바이러스는 단백막(膜)에 포함된 유전 물질 (RNA 또는 DNA)로 구성된 미생물입니다. 바이러스는 자신의
영양분을 얻거나 독립적으로 살지 않고, 숙주의 살아있는 세포 안에서만 번식 할 수 있다. 개별 바이러스
단위를 바이러스 입자 또는 비리온(성숙한 바이러스 입자)이라고 하며 숙주에 있는 이러한 입자들의 양을
바이러스 역가(규정농도)라고 한다.
A virus particle injects itself in to a host cell and uses the cells’ organelles to make copies of itself.
This process will continue without obvious change to the cell, until the host cell becomes damaged or
dies, releasing large amounts of infective virus particles. All forms of life are attacked by viruses and
most are host specific.
바이러스 입자는 자신을 숙주 세포에 주입하고 세포의 세포기관을 사용하여 자신을 복제한다.
이 과정은 다량의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를 방출하여, 숙주 세포가 손상되거나 죽을 때까지, 세포에 명백한
변화없이 계속될 것이다. 모든 형태의 생명체는 바이러스의 공격을 받으며 대부분은 숙주마다 다르다.
Honey Bee Viruses
Viruses of the honey bee typically infect the larval or pupa stage, but the symptoms are often most
obvious in adult bees. Many of these viruses are consumed in pollen or the jelly produced by nurse
bees that are fed to developing bees. Many viruses are also transmitted by Varroa.
꿀벌의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유충 또는 번데기 단계를 감염 시키지만, 증상은 보통 성봉에서 가장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바이러스의 대부분은 진화하는 벌에게 먹이를 주는 내역봉이 생산한 화분
또는 젤리로 소비된다. 많은 바이러스가 바로아 응애에 의해 또한 전염된다.
Varroa, when feeding on the hemolymph transfer the viruses directly into the open circulatory system,
which reaches every cellin the insect body.
Honey bee viruses are not limited to honey bees. Honey bee viruses have been found in other non-Apis
bee species, other colony inhabitants like small hive beetle, and in pollen and nectar (Andersen 1991;
Bailey and Gibbs 1964; Genersch et al. 2006; Singh et al 2010). For more on honey bee pathogens found
in native bees see here.
바로아 응애는 혈강체액를 빨아 먹을 때, 바이러스를 곤충 몸의 모든 세포에 이르는 개방 순환계로 직접 전염
시킨다. 꿀벌 바이러스는 꿀벌에만 국한 되지 않는다.
꿀벌 바이러스는 다른 非 꿀벌 種인, 작은벌집 딱정벌레와 같은 봉군 서식곤충에서, 그리고 화분와 꽃꿀에서도
발견되었다. (앤더슨 1991년; 베일리 와 깁스 1964년: 제네르슈 외 2006년: 싱 외 2010년).
토종 꿀벌에서 발견되는 꿀벌 병원균에 대한 더 많은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라.
Transfer of honey bee viruses from infected colonies to non-infected individuals or colonies can occur
during foraging on common flowers or through robbing of weak or collapsed colonies (Singh et al 2010).
Identification of a virus is difficult due to the small size of particles. Expensive and often uncommon
laboratory equipment is required for accurate diagnosis.
감염된 봉군에서 비감염 개체군 또는 봉군으로 꿀벌 바이러스의 전염은 공통의 꽃에서 채분하는 동안
또는 약군의 도봉 또는 봉군 붕괴를 통해서 일어날 수 있다. (싱 외 2010년).
바이러스의 식별은 작은 입자 크기로 인해 어렵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비싸고 흔히 사용되지 않는
실험실 장비가 필요하다.
However, symptoms of some viral diseases are more visible, especially with overt infection. A lack of
symptoms does not rule out the presence of a virus.
Viruses can remain in a latent form within the host, acting as a reservoir of infection, complicating
diagnosis and control, and only becoming an outbreak when conditions are right.
그러나 일부 바이러스 질병의 증상은 특히 명백한 감염에서 두드러진다. 증상이 없다고 해서 바이러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바이러스는 숙주 내에서 잠재적인 형태로 남아, 감염의 저장소 역할을 하며, 진단과 억제를 복잡하게 하며,
환경이 적절할 때만 갑작스레 발생한다.
Viral Prevalence in the United States
미국에서 바이러스 유행
The USDA-APHIS National Honey Bee Pests and Diseases Survey has taken samples from honey bee
colonies in over 27 states since the year 2009.
USDA-APHIS의 국내 꿀벌 해충 및 질병 조사로 2009 년부터 27개 이상의 주에 있는 꿀벌 봉군에서 샘플을
채취하였다.
Data from these surveys and other data are complied into a database with the Bee Informed Partnership
and used to determine baseline disease level, determine the absence of exotic honey bee pests that have
not yet been found in America, and to gauge the overall health of U.S. honey bee colonies. Results of virus
presence from the 2013 survey are below (Figure 1).
이러한 설문 조사 및 기타 데이터는 Bee Informed Partnership의 데이터베이스에 통합되어 기준 질병 수준을
결정하고, 미국에서 아직 발견되지 않은 외국의 꿀벌 해충의 부재를 밝혀내고, 미국 꿀벌 봉군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2013년 설문 조사의 바이러스 존재 결과는 아래와 같다 (그림 1).
Deformed wing virus (DWV) and Black queen cell virus (BQCV) were present in over 80% of sampled
colonies. Other viruses were much less common, but still present in 10-20 percent of colonies sampled.
Of the viruses tested for presence, only slow bee paralysis virus (SBPV) was not found in the U.S
기형 날개 바이러스 (DWV) 및 검은 왕대 바이러스 (BQCV)는 샘플로 시험한 봉군의 80 % 이상에서 존재했다.
다른 바이러스는 훨씬 덜 흔했지만, 샘플로 시험한 봉군의 10-20 % 정도는 여전히 존재한다.
존재 여부를 테스트한 바이러스 중에서, 미국에서는 완만성 꿀벌 마비 바이러스 (SBPV) 만 발견되지 않았다.
Figure 1:
2013 USDA-APHIS National Honey Bee Pests and Diseases Survey
( 2013 USDA-APHIS의 국내 꿀벌 해충 및 질병 조사)
Virus Prevalence Results (바이러스 발병률 결과)
Virus abbreviations: 바이러스 약어
BQCV=Black queen cell virus; 검은 왕대 바이러스
DWV= Deformed wing virus; 기형 날개 바이러스
LSV2= Lake Sinai virus 2; 시나이 호수 바이러스
ABPV= Acute bee paralysis virus;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
KBV= Kashmir bee virus ; 캐시미어 벌 바이러스
IAPV= Israel acute paralysis virus;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
CBPV= Chronic bee paralysis virus; 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
SBPV= Slow bee paralysis virus ; 완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
Sacbrood
낭충병
Sacbrood, a disease cause by a virus, was the first honey bee virus to be discove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now has a recognized widespread distribution. It is perhaps the most common honey bee
virus (Shen et al. 2005). This disease has been found in adult, queen, egg, and larval bees, in all forms
of food, and in Varroa mites, suggesting a wide range of transmission routes.
낭충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되고, 1900년 초에 발견되어진 최초의 꿀벌 바이러스였고, 지금은 널리
알려지고 퍼져 있다. 그것은 아마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바이러스 때문이다 (센 외 2005년).
이 질병은 성봉, 여왕벌, 알, 그리고 유충, 모든 형태의 식품(꿀, 화분, 제리), 그리고 바로아 응애에서 발견
되어지고, 광범위한 전염의 경로를 암시한다.
Although it is commonly found without serious outbreak, sacbrood is more likely to cause disease when
the division of labor is less defined, in the early parts of the year before the nectar flow, or during prolong
dearth (Bailey 1981). It often goes unnoticed since it usually infects only a small portion of brood, and
adult bees will usually detect and remove infected larvae.
일반적으로 심각한 발병없이 발견되지만, 낭충병은 꽃꿀이 나오기 전 연초에, 또는 기근이 계속되는 동안
분업이 덜 정하여 졌을 때 질병이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베일리 1981년).
대개 유충의 작은 일부만 감염되기 때문에 흔히 알아채지 못한다, 그리고, 성봉은 일반적으로 감염된 유충을
감지하고 제거한다.
Image 2: Sacbrood infected pupa. Credit: Michael E. Wilson
사진 2 : 낭충병에 감염된 번데기. 저작자 : 마이클 E. 윌슨
The disease causes larvae to fail to shed their final skin prior to pupation, after the larva has spun its
cocoon. Infected larvae remain on their back with their head towards the cell capping.
이 질병은 번데기화 되기 전에 최종 피부를 벗겨 내지 못하고, 고치를 짓는다. 감염된 유충은 머리를 벌방
덮개로 향하고 등을 위로 한 상태이다.
Fluid accumulates in the body and the color will change from pearly white to pale yellow, with the head
changing color first. Then, after the larva dies, it becomes dark brown with the head black (Image 2).
Larvae that have ingested sufficient quantities of sacbrood in their food die after being sealed in their
comb.
체액이 체내에 축적되고 색이 펄 화이트에서 연한 노란색으로 변하고, 머리가 먼저 색이 변한다. 그리고 나서
유충이 죽으면, 유충은 짙은 갈색이 되고, 머리는 검은 색으로 된다 (그림 2).
자기의 식량에 들어 있는 충분한 양의 낭충병 바이러스를 섭취한 유충은 벌방에서 밀봉되어 죽는다.
Sacbrood multiplies in several body tissues of young larvae but these larvae appear normal until cell
capping. Each larva that dies from sacbrood contains enough virus particles to infect every larva in 1000
colonies (Bailey 1981). But in most instances, diseased larvae are quickly remov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disease by nurse bees.
낭충병은 어린 유충의 여러 신체 조직에서 증식하지만 이러한 유충은 벌방이 덮개할 때까지 정상적으로
보인다. 낭충병으로 죽은 각 유충은 1000 개의 봉군에 있는 모든 유충을 감염시킬 수 있는 충분한 바이러스
입자가 들어 있다(베일리 1981년).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병에 걸린 유충은 내역봉에 의해 질병의 초기 단계에서 신속하게 제거된다.
The cell cappings are first punctured to detect the disease, which a good sign of infection for the
beekeeper look for (Image 6). Then, young worker bees remove the diseased larvae from the colony.
Adult bees, although not susceptible to infection, become a harbor as the virus collects in the bee’s
hypopharyngeal glands, which are used to produce larval jelly (Bailey 1981).
그 질병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벌방 덮개를 먼저 구멍을 뚫는다, 그리고 양봉인에게 감염의 좋은 표시는
(그림 6)을 찾아 보는 것이다.
그런 다음, 유봉이 봉군에서 병에 걸린 유충을 제거한다. 성봉은 감염이 되기 쉽지 않지만, 유충 젤리를 생성
하는데 사용되는 꿀벌의 하인두선에 바이러스가 쌓이면 항구가 된다 (베일리 1981년)
These infected adult bees, however, cease to eat pollen and soon stop tending larvae. They will become
foragers more quickly in life than usual and tend to collect nectar instead of pollen (Bailey 1981). Nectar
that contains the virus becomes diluted in the colony when mixed with nectar from other foragers.
그런데 이 감염된 성봉은 화분을 먹지 않고, 즉시 애벌레를 돌보는 것도 중단한다. 그들은 평소 보다 일생에서
더 빨리 외역봉이 되고, 화분 대신에 꽃꿀을 수집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베일리 1981년).
바이러스가 들어 있는 꽃꿀은 다른 외역봉이 수집한 꽃꿀로 혼합될 때 봉군에서는 희석이 된다.
Whereas pollen, is collected and compacted into the “pollen basket” and deposited intact into a cell.
Dilute virus containing nectar is less likely to cause infection than when the virus is concentrated in a
pollen pellet. Therefore use caution when transferring frames with pollen among colonies.
반면에 화분은 수집하여 "화분 바구니(벌화분)"로 응축시켜 벌방에 변하지 않게 저장된다. 꽃꿀에 들어 있는
희석된 바이러스는 화분 알갱이에 농축되었을 때 보다 거의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봉군 간에
화분이 있는 벌집을 옮길 때 주의하라.
Little is known of the other transmission routes: through Varroa mites, between workers, from bee feces
or through transovarial transmission (from queen to egg). Sacbrood usually subsides in late spring when
the honey flow begins, but if symptoms persist, requeening with hygienic stock is recommended (Frazier
et al. 2011).
다른 전염 경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 바로아 응애를 통해, 일벌 사이의 꿀벌 배설물 또는 경란
전염(經卵傳染)을 통해서(여왕벌에서부터 알까지).
낭충병은 일반적으로 유밀되기 시작하는 늦봄에 가라 앉지만, 증상이 지속되면 위생적인 봉군으로 여왕벌을
갱신하는 것이 좋다.
Deformed Wing Virus (DWV)
기형 날개 바이러스
Deformed wing virus is common, widely distributed, and closely associated with Varroa mites. Both the
virus titers and prevalence of the virus in colonies are directly linked to Varroa infestations (Bowens-Walker
et al. 1999). In heavily Varroa infested colonies, nearly 100 percent of adult workers may be infected with
DWV and have high virus titers even without showing symptoms (de Miranda et al. 2012).
기형 날개 바이러스는 흔하고 널리 분포하며 바로아 응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봉군의 바이러스 역가(규정농도)
와 바이러스의 유병률은 모두 바로아 응애 만연과 직접 관련이 있다 (보웬스-워커 외 1999년).
바로아 응애가 심하게 감염된 봉군에서는, 거의 성봉 일벌의 100%가 기형날개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고,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바이러스 역가(규정농도)는 높다(데 미란다 외 2012년).
DWV is strongly associated with winter colony mortality (Highfield et al 2009; Genersch et al 2010). Control
of DWV is usually achieved by treatment against Varroa, After treatment a gradual decrease in virus titers
occurs as infected bees are replaced by healthy ones (Martin et al 2010). DWV can be found in all castes
and life stages of honey bees and will persist in adults without obvious symptoms. DWV is also transmitted
through food, feces, from queen to egg, and from drone to queen (de Miranda et al. 2012).
기형날개 바이러스는 겨울철 봉군 집단폐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이필드 외 2009년; 제네르슈 외
2010년).
기형날개 바이러스의 억제는 일반적으로 바로아 응애에 대한 처리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처리 후 감염된
꿀벌이 건강한 꿀벌로 대체됨에 따라 바이러스 규정농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마틴 외 2010년).
기형날개 바이러스는 꿀벌의 모든 카스트(계급형)와 생애 단계에서 발견 될 수 있으며, 명백한 증상없이 성봉
에서 지속된다. 기형날개 바이러스는 또한 식량, 배설물을 통해서 전염이 되며, 여왕벌에서 알로, 수벌에서
여왕벌로 전염된다(데 미란다 외 2012년).
Image 3: Adult bees with deformed wings resulting from DWV. Credit: Katherine Aronstein
사진 3 : 기형날개 바이러스로 인해 날개가 변형된 성봉. 저작자 : 캐더린 아론스타인
Acute infections of DWV are typically linked to high Varroa infestation levels (Martin et al 2010). Covert
infections (a detectable level of virus without damaging symptoms) can occur through transovarial
transmission (Chen et al. 2004), and through larval food (Chen et al. 2006).
기형날개 바이러스의 급성 감염은 일반적으로 높은 바로아 응애 만연 수준과 관련이 있다 (마틴 외 2010년).
은밀한 감염 (피해를 주는 증상이 없이 탐지 가능한 수준의 바이러스)은 경란전염(經卵傳染)을 통해서 (첸 외
2004년), 그리고 유충 식량을 통해서 발생할 수 있다 (첸 외 2006년).
Symptoms noted in acute infections include early death of pupae, deformed wings, shortened abdomen,
and cuticle discoloration in adult bees, which die within 3 days causing the colony to eventually collapse.
Not all mite infested pupae develop these symptoms, but all adult honey bees with symptoms develop
from parasitized pupae.
급성 감염에서 발견되는 증상으로는 번데기의 조기 사망, 기형의 날개, 짧아진 복부, 그리고 성봉의 표피 변색
이 있으며, 3일 이내에 죽어서 봉군은 결국 붕괴된다.
응애에 감염된 모든 번데기가 이러한 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증상이 있는 모든 성봉은 기생한
번데기에서 나타난다.
Bees infected as adults can have high virus titers but do not develop symptoms. DWV may also affect
aggression (Fujiyuki et al. 2004) and learning behaviors of adult bees (Iqbal and Muller 2007). DWV appears
to replicate in Varroa, making it a biological as well as physical vector. Infection of pupae may be
dependent on DWV replication in Varroa prior to transmission.
성봉으로서 감염된 꿀벌은 바이러스 역가(규정농도)가 높을 수 있지만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기형날개 바이러스는 또한 공격성 (후지유키 외. 2004년)과 성봉의 학습 행동 (이크발 과 뮬러 2007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자연법칙에 따른 매개체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病原 매개체로 만들면서, 기형날개
바이러스는 바로아 응애에서 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번데기의 감염은 전염되기 전에 바로아 응애에 있는 기형날개 바이러스 복제에 달려있을 수 있다.
Winter colony mortality is strongly associated with DWV presence, irrespective of Varroa infestation.
This suggests that Varroa infection should be reduced in a colony far in advance of producing
overwintering bees, to ensure reduction in DWV titers. DWV is closely related to Kakugo Virus and
Varroa destructor Virus 1, which together form the Deformed Wing Virus Complex (de Miranda
et al. 2012).
겨울철 봉군 집단폐사는 바로아 응애 만연과 관계없이, 기형 날개 바이러스 존재와 견고하게 관련이 있다.
이것은 기형날개 바이러스 역가(규정농도)의 감소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월동벌을 육성하는 사전 준비로
봉군에서 바로아 응애 감염을 훨씬 줄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기형날개 바이러스는 Kakugo 바이러스 및 바로아 응애 바이러스 1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함께 기형날개
바이러스 복합체를 형성한다(데 미란다 외 2012년).
Black Queen Cell Virus (BQCV)
검은 왕대 바이러스
Black queen cell virus is a widespread and common virus that persists as asymptomatic infections of worker
bees and brood. Although generally understood as being asymptomatic in adult bees, Shutler et al. (2014)
found BQCV to be associated with the symptom K-wing, where the wing pair is disjointed and more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검은 왕대 바이러스는 일벌과 유충의 무증상 감염으로 지속하는 널리 퍼져있는 일반적인 바이러스이다.
일반적으로 성봉에서는 증상이 없는 것으로 이해가 되지만, 2014년 샤틀러 外는 검은 왕대 바이러스가
K-날개 증상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날개 한쌍은 서로 탈구되어 있고 더 직각을 이룬다.
Queen pupae with symptoms display a pale yellow sac-like skin similar to sacbrood. The pupae rapidly
darken after death and turn the wall of the queen cell dark brown to black. Symptomatic drone pupae
have also been observed. Unlike other viruses that are associated with Varroa, BQCV is strongly associated
with Nosema apis and little evidence supports its co-occurrence with Varroa, although, BQCV has been
isolated from Varroa (Ribière et al. 2008).
증상이 있는 여왕벌 번데기는 낭충병과 유사한 옅은 노란색 주머니 모양의 피부를 나타낸다.
번데기는 죽은 후 빠르게 어두워지고 왕대의 벽은 암갈색에서 검은 색으로 변한다. 증상이 있는 수벌 번데기
도 또한 관측되었다. 바로아 응애와 관련된 다른 바이러스와 달리, 검은 왕대 바이러스는 노제마 아피스와
견고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바로아 응애와 동시 발생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거의 없지만, 검은 왕대 바이러스는
바로아 응애에서 분리되어 왔다(리비에레 외 2008년).
Nosema disease affects a bee’s mid gut, increasing susceptibility of the alimentary tract to infection by
BQCV. BQCV can be orally transmitted to adults only when Nosema has co-infected (Ribière et al. 2008).
It can also be transmitted by injection to pupae. BQCV has a seasonal relationship similar to Nosema, with
a strong peak in spring. Because of the seasonal occurrence with Nosema, queen rearing operations who
produce queens in the spring are susceptible to BQCV (Ribière et al. 2008).
노제마 질병은 검은 왕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소화관의 민감성을 상승시켜, 벌의 중간 창자에 영향을
준다. 검은 왕대 바이러스는 노제마와 공동 감염된 경우에만 성봉에게 구강으로 전염될 수 있다 (리비에레
외 2008년). 그것은 또한 주입을 통해 번데기에 전염이 될 수도 있다. 검은 왕대 바이러스는 노제마와 비슷한
계절적 관계를 가지며 봄에 강세를 보인다. 노제마의 계절적 발생으로 인해, 봄에 여왕벌을 생산하는
여왕벌 양성 작업은 검은 왕대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다.
Image 4: Dysentery on the front of a hive is a symptom but not indicative of Nosema disease.
Credit: Michael E. Wilson
그림 4 : 벌통 앞쪽의 설사는 증상이지만 노제마 질병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출처 : 마이클 E. 윌슨
Chronic Bee Paralysis Virus (CBPV)
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
Chronic bee paralysis virus was one of the first honey bee viruses to be isolated. It is unique among honey
bee viruses in that it has a distinct particle size and genome composition. It is also the only common
honey bee virus to have both visual behavior and physiological modifications resulting from infection.
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는 분리된 최초의 꿀벌 바이러스 중 하나이다. 그것은 독특한 입자 크기와 게놈 조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꿀벌 바이러스 중에서 유일무이하다.
또한 감염으로 인한 시각적 습성과 생리적 변형을 모두 갖는 유일한 일반적인 꿀벌 바이러스이다.
Symptoms of the disease are observed in adult bees displaying one of two sets of symptoms called
syndromes (Genersch & Aubert 2010).
질병의 증상은 증후군이라고 부르는 두 가지 증상 중 하나를 나타내는 성봉에서 관찰이 된다
(제네르슈 & 아우베르트 2010년).
Type 1
유형 1
symptoms include trembling motion of the wings and bodies of adult bees, who are unable to fly, and
crawl along the ground or up plant stems, often clustering together. The bees may also have a bloated
abdomen, causing dysentery and will die within a few days after displaying symptoms.
증상으로는 날 수가 없는 성봉의 날개와 몸을 떠는 동작, 지면을 따라 기어 다니거나 식물 줄기 위로 기어
오르며 종종 무리지어 함께 모여 있는 것을 포함한다.
벌은 또한 부풀은 복부를 가지고 있어 설사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증상이 나타난 후 며칠 내에 죽는다.
Type 2
유형 2
symptoms are greasy, hairless, black adult bees that can fly, but within a few days, become flightless,
trembling, and soon die (Image 5).
증상은 기름기가 많고 털이없고 검은 색으로 성봉은 날 수가 있지만, 며칠 내에 날지 못하고 몸을 떨면서
곧 죽는다 (그림 5).
Both of these syndromes can occur within the same colony. Severely affected colonies, often the strongest
in an apiary (Ribiere at al. 2010), quickly lose adult workers, causing collapse and often leaving few adult
bees with the queen on unattended comb (Bailey & Ball 1991).
이 두 증후군은 동일한 같은 봉군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항상 양봉장에서 가장 강한 강군인, 심각하게 영향을 받은 봉군은 (리비에레 외 2010년) 빠르게 성봉 일벌을
잃고 봉군 붕괴를 야기시키고 종종 빈 벌집에 여왕벌과 소수의 성봉을 남겨 두고 죽는다
(베일리 & 볼 1991년).
These symptoms, however, are similar and often confused with other honey bee maladies including
Nosema apis,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tracheal mites, chemical toxicity, and other viruses.
그러나 이러한 증상은 비슷하며 종종 노제마 아피스, 봉군 붕괴 현상(CCD), 기문응애, 화학살층제 독성
및 다른 바이러스 질환 포함하는 다른 꿀벌 질병과 혼동을 한다.
Image 5: Bees with CBPV type 2 symptoms: greasy and hairless.
Credit: The Food and Environment Research Agency (Fera), Crown Copyright
그림 5 : CBPV(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 2 형 증상이 있는 꿀벌 : 기름기가 많고 털이 없다.
출처 : 식품 및 환경 연구소 (Fera), Crown 저작권
Transmission of the virus primarily occurs through direct body contact, although oral transmission also
occurs but is much less virulent.
바이러스의 전염는 주로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통해 발생하고, 또한 구강 전염으로 발생하지만 점염성은 훨씬
덜하다.
Direct body transmission happens when bees are either crowded or confined within the hive fo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poor weather or during long-distance transportation) or when too many colonies
are foraging within a limited area, such as a monoculture of sunflower with high honey bee colony density
(Genersch & Aubert 2010).
직접 신체 전염은 벌들이 가득 차서 복잡하거나 벌집에 장시간 갇혀 있을 때 (악천후 때문이거나 장거리 운송
중에) 발생하고, 또는 꿀벌 봉군 밀집상태가 높은 해바라기의 단일 재배와 같이, 제한된 지역에서 너무 많은
봉군이 먹이를 찾고 있을 때도 발생한다 (제네루슈 & 아우베르트 2010년)
In both instances, small cuts from broken hairs on an adult bee’s cuticle and direct contact with infected
adult bees spreads the virus through their exposed pores; if this occurs rapidly and enough adult bees are
infected, an outbreak with colony mortality will occur.
두 경우 모두, 성봉의 표피에 있는 부러진(빠진) 털의 작은 상처와 감염된 성봉과의 직접적인 접촉은 노출된
모공을 통해 바이러스를 전파한다. 이것은 빠르게 발생하고 충분한 성봉이 감염이 된다면 봉군 집단폐사의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Feces from infected bees within a colony can also spread the disease, and other transmission routes are
still being investigated, including possible Varroa transmission. The virus is widespread and an outbreak
can occur at any time of year. Spring and summer are the most common seasons for mortality from the
virus, but it will persist in a colony year-round without displaying any overt symptoms (de Miranda et al.
2012).
봉군내에서 감염된 벌의 배설물도 질병을 퍼뜨릴 수 있으며, 바로아 응애 전파 가능성을 포함하여 다른 전염
경로가 여전히 조사되고 있다. 바이러스는 널리 퍼져 있으며 연중 언제든지 발병할 수 있다.
봄철과 여름철은 바이러스로부터 인한 집단폐사가 가장 흔히 일어나는 계절이지만, 명백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고 1년 내내 봉군에서 지속된다(데 미란다 외 2012년)
Two new viruses related to CBPV with no yet described symptoms are Lake Sinai virus 1 (LSV1) and
Lake Sinai virus 2 (LSV2) (Runckel et al. 2011). New molecular tools have allowed researchers to identify
the presence of these and other new viruses and their seasonality in test colonies. Little else is know of
the Lake Sinai viruses, including its pathogenic or epidemiological significance.
아직 증상을 기술되지 않은 CBPV(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와 관련된 두 가지 새로운 바이러스는 시나이 호수
바이러스 1형 및 시나이 호수 바이러스 2형이다 (룬켈 외 2011년).
새로운 분자 도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이 두 유형의 바이러스 및 기타 새로운 바이러스의 존재와 테스트
봉군에서 그들의 계절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바이러스의 병원성 또는 전염병학의 중요성을 포함
하여 시나이 호수 바이러스에 대해 아는 것은 거의 없다.
Other described honey bee viruses that were discovered before the advent of molecular techniques have
no genomic data to reference; therefore newly discovered viruses may in fact be the already discovered
viruses of the past such as Bee virus X and Y, Arkansas Bee Virus or Berkeley Bee Virus (Runckel et al.
2011).
분자 기술의 등장 이전에 발견한 또다른 기술된 꿀벌 바이러스들은 참조할 게놈 데이터가 없다. 따라서, 새로
발견된 바이러스는 실제로 벌 바이러스 X 및 Y, 아칸소스 벌 바이러스 또는 버클리 벌 바이러스와 같은 과거에
이미 발견된 바이러스일 수 있다(룬켈 외 2011년).
Acute Bee Paralysis Virus Complex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 복합체
Acute bee paralysis virus (ABPV), Kashmir bee virus (KBV), and Israel acute paralysis virus (IAPV) are
a complex of associated viruses with similar transmission routes and affect similar life stages. These viruses
are widespread at low titers and can quickly develop high titers due to extremely virulent pathology.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 캐시미르 벌 바이러스 및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는 유사한 전파 경로를
가진 관련 바이러스의 복합체이며 유사한 생활 단계에 영향을 미친다.
이 바이러스는 낮은 역가(규정농도)로 널리 퍼져 있으며 극단적으로 전염성이 강한 병리 때문에 높은 역가
로 빠르게 발전할 수 있다.
Frequently associated with colony loss, this virus complex is especially deadly when colonies are heavily
infested with Varroa mites. (Ball 1989; Genersch 2010, Genersh et al. 2010). These viruses have not been
shown to cause symptoms in larval life stages, but show quick mortality in pupae and adult bees.
흔히 봉군 손실과 연관되는 이 바이러스 복합체는 봉군이 바로아 응애로 심하게 감염 될 때 특히 치명적이다
(볼 1989년: 제네르슈 2010년. 제네르슈 외 2010년).
이 바이러스들은 유충의 생활 단계에서는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내지 않았지만, 번데기 및 성봉에서
급속한 집단사망을 보인다.
Acute Bee Paralysis Virus (ABPV)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
Acute bee paralysis virus was accidentally discovered when CBPV was first isolated. ABPV displays similar
symptoms as CBPV however the acute adjective describes a bees’ more rapid mortality compared to CBPV.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는 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CBPV)가 처음 분리되었을 때 우연히 발견되었다.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는 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급성의 종속적인
바이러스는 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에 비해 꿀벌의 더 빠른 집단페사를 묘사한다.
Unlike CBPV, ABPV virulence is directly related to Varroa infestation. APBV is transmitted in larval jelly from
asymptomatic infected adult bees to developing larva or when vectored by Varroa mites to larvae and
pupae.
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와 달리,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 발병력은 바로아 응애 만연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는 무증상의 감염된 성봉에서 진화중인 유충까지 유충 젤리를 통해서 전염이
되거나, 혹은, 바로아 응애가 유충과 번데기에 매개할 때도 전염이 된다.
ABPV is common and typically cause covert infections (no obvious symptoms) when transmitted orally from
adult to developing bee. It takes about one billion viral particles to cause death via ingestion, but when
vectored by Varroa and directly injected into the developing bee’s hemolymph, only 100 virus particles will
cause death (Genersch & Aubert 2010).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는 흔하게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성봉에서부터 진화중인 벌에게 까지 경구로 전염 될 때,
은밀한 감염 (명백한 증상 없음)을 일으킨다.
섭취를 통해 사망의 원인이 되는데는 약 10억 개의 바이러스 입자가 필요하지만, 바로아 응애에 의해 전염이
되어 진화중인 벌의 혈림프(혈강체액)로 직접 주입되면, 100개의 바이러스 입자 만으로 사망의 원인이 된다
(제네르슈 & 아우베르트 2010년).
When the virus is picked up by Varroa, the transmission rate to pupae is between 50 and 90 percent.
The longer the feeding period of Varroa, the greater the transmission rate will become. (Genersch &
Aubert 2010).
바로아 응애에 의해 바이러스를 옮겨지면, 번데기로의 전염율은 50 ~ 90 %이다.
바로아 응애의 먹이를 먹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전염률은 더 높아진다 (제네르슈 & 아우베르트 2010년).
Pupae infected with ABPV die before emerging, making the appearance of paralysis symptoms less obvious.
The decline in emerging bees causes a colony to dwindle towards collapse. A colony infected with an ABPV
epidemic will die within one season (Sumpter and Martin 2004).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에 감염된 번데기들은 출방하기 전에 죽어, 마비 증상의 징후를 덜 분명하게 만든다. 출방
하는 꿀벌의 감소로 인해 봉군은 붕괴로 점점 줄어든다.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 유행병으로 감염된 봉군는 한 시즌 내에 사망하게 된다 (숨프터 및 마틴 2004년).
Kashmir Bee Virus (KBV)
캐시미어 벌 바이러스
Kashmir bee virus has widespread distribution and is considered the most virulent of honey bee viruses
under laboratory condition (Allen and Ball 1996). When KBV is injected in to adult bee hemolymph, death
occurs in just 3 days (de Miranda et al. 2012).
캐시미어 바이러스는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실험실 조건에서 가장 전염성이 강한 꿀벌 바이러스로 간주된다
(알렌 및 볼 1996년). 성봉 혈림프(혈강체액)에 캐시미어 벌 바이러스를 주입하면 단 3일 만에 죽는다.
(데 미란다 외 2012년)
KBV does not cause infection when fed to developing bees, but does persist in adult and developing bees
without any obvious symptoms. When Varroa mites transmit the virus, it becomes deadly to all forms of
the bee lifecycle but displays no clearly defined symptoms.
캐시미어 벌 바이러스는 진화하는 벌에게 먹이를 주었을 때 감염을 일으키지 않지만, 뚜렷한 증상없이 성봉 및
진화중인 벌에게는 지속된다. 바로아 응애가 바이러스를 전염 시키면 모든 형태의 벌 생명주기에 치명적이게
되지만, 명확하게 정의된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Even with moderate levels of mite infestation, KBV, like ABPV, can kill colonies (Todd et al. 2007). Control of
Varroa mites is necessary to prevent colony losses from KBV.
중간 수준의 응애 만연이 있더라도,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와 같은 캐시미어 벌 바이러스는 봉군을 죽일 수 있다
(토드 외 2007년). 캐시미어 벌 바이러스로 부터 봉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바로아 응애의 억제가 필요하다.
Israeli Acute Paralysis Virus (IAPV)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
Symptoms of IAPV are similar to ABPV and CBPV including: shivering wings, darkened hairless abdomens
and thoraxes, progressing into paralysis and death. IAPV is found in all life stages and castes of bees.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의 증상은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 및 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와 유사하고
다음의 내용도 포함한다 : 떠는 날개, 거무스레한 털 없는 복부 및 흉부, 마비 와 죽음으로 진행.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는 꿀벌의 모든 일생 단계와 계급에서 발견된다.
IAPV and other viruses were found to be strongly associated with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in the
United States, but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viruses and CCD has yet been shown (Cox-Foster
et al. 2007). IAPV is extremely virulent at high titers, as when vectored by Varroa and is covert at low titers.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 및 다른 바이러스들은 미국에서 봉군 붕괴 현상 (CCD)과 견고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바이러스들과 CCD 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콕스-포스터 외 2007년).
이스라엘 급성마비 바이러스는 바로아 응애에 의해 전염이 될 때와 같이, 높은 역가(규정농도)에서 극도로
전염성이 강하며, 낮은 규정농도에서는 은밀하다.
Slow Bee Paralysis Virus
완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
In contrast to ABPV, which produces symptoms in a few days after infection, SBPV induces paralysis after
12 days, and only on the two fore (anterior) legs. SBPV persists as a covert infection and is transmitted by
Varroa to adults and pupae.
감염 후 며칠 내에 증상을 일으키는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와 대조적으로, 완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는
12일 후에 마비를 유발하는데, 앞다리 2개에서만 마비를 유발합니다.
완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는 은밀한 감염으로 지속되며 바로아 응애에 의해 성봉과 번데기에게 전염된다.
The disease will kill adult bees and eventually the entire colony (de Miranda et al. 2012). Prevalence of the
virus is limited. It has not been found in the U.S., but has been found in England, Switzerland, Fiji and
Western Samoa and only in Britain has SBPV been associated with colony deaths (Carreck et al. 2010).
이 질병은 성봉과 결국 전체 봉군을 죽일 것이다 (데 미란다 외 2012년).
바이러스의 유병률은 제한되어 있다. 미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영국, 스위스, 피지 및 서 사모아에서
발견되었으며, 영국에서만 완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가 봉군 사망과 관련이 있었다.
Summary
요약
Most pathogens invade the digestive system through oral ingestion of inoculated food. These pathogens
infect the mid gut epithelial cells, which are constantly being replaced and are protected by membranes
and filters which confine the pathogen to gut tissues.
대부분의 병원균은 병원균이 접종된 음식의 경구 섭취를 통하여 소화계에 침범한다. 이 병원균은 중간 창자
상피조직 세포를 감염시키고, 중간창자 상피조직은 지속적으로 교체되고 병원균을 창자 조직에 가두는 얇은
막과 필터에 의해서 보호를 받는다.
Parasites that infect gut tissue like Nosema apis and Nosema cerana can create lesions in the epithelium
that allow a virus like BQCV to pass into the hemolymph and infect other cells in the body.
In contrast the external parasite Varroa destructor feeds directly on bee hemolymph providing an opening
in the cuticle for viruses to enter.
노제마 아피스 및 노제마 세라나와 같은 창자 조직을 감염시키는 기생균은 상피에 병변을 생성하여 BQCV
(검은 왕대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가 혈강체액을 통과하게 하여, 신체의 다른 세포를 감염시킨다.
대조적으로, 외부 기생충 바로아 응애는 바이러스가 들어갈 수 있도록 피부층에 구멍이 생기게 하여 벌
혈강체액을 직접 빨아 먹는다.
Most virus infections rarely cause infection when ingested orally, but only a few virus particles are
necessary to cause infection when injected directly into the hemolymph. Many viruses can be directly
transmitted by Varroa mites, such as: DWV, those in the acute bee paralysis virus complex, and slow bee
paralysis virus.
대부분의 바이러스 감염은 경구 섭취시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드물지만, 직접 혈림프(혈강체액)에 주입할
경우 감염을 일으키는데는 소수의 바이러스 입자만 필요하다.
기형날개 바이러스(DWV), 급성 벌 마비 바이러스 복합체의 바이러스 및 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 같은
많은 바이러스들은 바로아 응애에 의해 직접 전염될 수 있다.
Other viruses, like sacbrood, have been detected in Varroa mites but Varroa has not been shown to
directly transmit the virus. Some viruses, like DWV, have been shown to directly multiply in Varroa mites,
however in most cases we don’t know the exact relationship of Varroa mites to viruses or enough about
how transmission occurs from mites to bees.
낭충병과 같은 다른 바이러스들은 바로아 응애에서 발견되었지만, 바로아 응애는 바이러스를 직접 전파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기형날개 바이러스(DWV)와 같은 다른 바이러스들은 바로아 응애에서 직접 증식하는
것으로 나타 났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바로아 응애와 바이러스와의 정확한 관계, 또는, 어떻게 응애로부터
벌로 전염이 발생하는지 대하여 충분히 알지 못한다,
Knowledge about the presence, role, and transmitting routes of these viruses in native bees, and other
potential non-Varroa transmission routes is also lacking in detail, complicating recommendations for
control. Research does show viruses clearly affect honey bee health and warrant attention from the
beekeeper and researcher alike.
토종 벌들에서 이러한 바이러스의 존재, 역할, 점염시키는 경로 및 다른 잠재적인 非-점염 경로에 관한 지식이
또한 세부적으로 부족하고, 억제에 대한 추천이 어렵다.
연구에 따르면 바이러스는 꿀벌 건강에 분명히 영향을 미치며, 양봉인과 연구원 모두에게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Control
억제
Viruses persist in normal, healthy colonies, only to explode during times of stress. Many viruses are only
damaging when in combination with another stressor like Varroa or Nosema. Active, integrated
management of Varroa and other stressors is essential to minimizing virus titers. To learn more about
reducing stressors with best management practices see here.
바이러스는 정상적이고, 건강한 봉군에서도 존속하지만,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많은 바이러스는 바로아 또는 노제마와 같은 다른 스트레스 요인과 결합 할 때만 손상을 입힌다.
바로아 및 기타 스트레스 요인의 능동적이고, 통합된 관리는 바이러스 역가(규정농도)를 최소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최상의 관리 습관으로 스트레스 요인을 줄이는 것에 대하여 더 많이 배우기 위해 자세한
여기를 참조하라.
Routinely inspect your colonies for possible disease. Have a thorough knowledge of symptoms and identify
when colonies are slow to build up or have sporadic brood patterns, indicating brood has been pulled out
and removed (Image 6). If you suspect you have a disease, take a sample and send it to be identified.
For more information on submitting a sample for diagnosis see here.
가능한 질병에 대해 당신의 봉군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라. 봉군의 증소가 늦다든지 유충을 빼내거나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여 산발적인 유충 형태일 때는 증상에 대한 철저한 지식과 확인을 가져라, (그림 6).
질병이 있는 것으로 의심이 되면, 샘플을 채취하여 확인을 위해 보내십시오. 진단용 샘플 제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라.
Image 6: Punctured cell cappings that indicate adult bees have detected a brood disease (note DWV
infected adult bee). Credit: The Food and Environment Research Agency (Fera), Crown Copyright (Arrows
added for emphasis)
그림 6)
성봉에 유충 질병을 발견되었을 때 나타내는 구멍이 뚫린 벌방 덮개 (주석 : 기형날개 바이러스 DWV에 감염된 성봉).
출처 : 식품 및 환경 연구소 (Fera), Crown 저작권 (강조를 위해 화살표 추가)
Other future avenues of control include breeding hygienic bee strains that detect brood diseases and
remove infected individuals from colonies or breeding of resistance to Varroa infestation.
다른 미래의 통제 수단으로는 유충 질병을 탐지하고 감염된 개체를 봉군에서 제거하는 위생적인 꿀벌 계통
육종 또는 바로아 응애 만연에 대한 저항성 있는 육종을 포함한다.
Specific resistance to viruses are not yet considered in most breeding programs. There is evidence of
specific viral resistance in honey bees, and there has been at least some attempt to breed resistance to
IAPV. For more on this topic see here.
바이러스에 대한 특별한 저항성은 아직 대부분의 육종 프로그램에서 고려되지 않고 있다.
꿀벌의 특정 바이러스 저항성에 대한 증거가 있으며,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IAPV)에 대한 내성을
육종하려는 시도가 적어도 몇 차례 있었다. 이 화제에 대한 더 많은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라.
Another promising research area for controlling honey bee viruses in the use of gene silencing called RNAi.
The private bee research company Beeologics, as well as public and private university researchers are
developing this method and a consumer product may be available in the near future as RNAi technology
continues to become more efficient and inexpensive. For more on this topic see here.
RNAi 부르는유전자 침묵을 사용하여 꿀벌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또 다른 유망한 연구 분야.
공립 및 사립 대학 연구자들 뿐만아니라, 사립 꿀벌 연구회사 비올로직스는 이 방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RNAi
기술이 계속해서 더 효율적이고 저렴해짐에 따라 가까운 장래에 소비자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화제에 대한 더 많은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꿀벌 사진>
첫댓글 참으로 감사합니다.
귀한 자료를 찾아 번역하시고 정성껏 올려주신 자료 참으로 귀합니다.
덕분에 유기양봉에 더욱 자신감을 갖게 되었으며
자연꿀동호회가 한국양봉산업에 소중하게 자리매김하였습니다.
부디 부디 건강하시고 자료 계속 올려주시기를 바랍니다.
우리 회원들 모두의 마음일 것입니다.
한국의 유기양봉 발전에 늘 힘쓰시고 또,부족한 사람을 격려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시간이 나면 참고 되는 자료를 계속 올리도록하겠습니다.
@꿀벌나라
첫 글자부터 심장 두두리는 형성 었네요,
왜~~~?
무엇 때문에 공부의 끝을 보려 하시는지 말입니다,
힘이 드시나요~~~?
알아 주는이가 없는가요~~~?
한결님께서 부탁하시니 계속 올린다는 답글보고 한시름 놓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읽었답니다,
사실 마지막은 힘들었답니다,
읽어보는것도 이리 힘들어 하는데
꿀벌나라님께선 오죽 하시겠는지요 ~~~ ㅠㅠ
귀한자료니 만큼
끝까지
읽고 또읽고~~~감사합니다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12.10 10:53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12.10 19:44
소중한 자료 감사히 보고갑니다
벌이게 응 애 는 모든병 의 근원 인것 같습니다 귀한 자료 올려 주셔 잘배웁니다. 수고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께 행운 이 함께 하세요.
덧글 주신 분께 감사드립니다. 일일이 인사 못드림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귀한자료 소중 하게 읽고 공부 하고 갑니다
질문올려봅니다
바로아응애보다 가시응애의 구제가어렵고 피해 더심각하다고 알고있습니다
겨울내 소방에서는 월동을 못하다고들 하시는분도있고 여러설이 있습니다 가시응애는 어떤방법으로 월동을하고 이듬해 봄에다시벌통내 기생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가시응애는 구제방법도 내성이잘생기기때문에 농약성분으로는 잡기가 쉽지않더군요 가장효과적인건 개미산처리방법이 좋다고 알고있습니다 개미산외 옥산살 처리방법은 어떠게처리하면 좋은지 궁금합니다
늦게 봤네요.답이 늦었습니다. 옥살산은 흘림 방식과 분무 방식이 있는데 흘림방식이 간편합니다. 분무방식은 일일이 벌집을 들어 소비면에 분무하므로 일도 많고 벌 또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다. 흘림은 봉판이 다 터져 나오는 시기에 하는데 11월 말 이후가되겠지요. 차가운 시기이므로 용액도 15도 로 데워서 사용하고 소비사이에 4-5CC 흘려 줍니다. 자세한 것이 옥살산 처리방법을 참고하시고 가시응애는 병충해방 응애코너 보시면 자료 있습니다.
@꿀벌나라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