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초열매는 초록빛이 도는 갈색이나 익으면 벌어져 검은색 씨들이 밖으로 나온다.
봄에 새잎을 국에 넣어 먹기도 하며, 씨를 빻아서
민물고기국의 향미료로 쓴다.
특히 추어탕에 넣어 먹으며, 열매는 초피나무의
열매와 같이 약으로 쓰기도 한다.
초피나무 열매를 "산초"라고 하며, 산초나무 열매는 "분디" 또는 "분지"라고 한다.
⊙ 민간요법(동의보감)
▶ 산초기름을 장기간 복용하면 심한 기침에 특효가 있고, 구충작용과 살균작용이 탁월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 천식과 기침 ♥
▶ 천식이 멎지 않는 데는 산초열매를 매우 보드랍게 가루내어 쓰는데 한번에 4~8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으면 멎는다.
▶ 멎은 뒤에 담(痰)으로 천식이 생겼을 때에는 담을 치료해야하고 화(火)로 천식이 생겼을 때에는 화를 치료해야 한다. 허약한 데는 쓰지 말아야 한다.
◈치통◈
▶ 산초열매, 말벌집(노봉방): 각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한숟가락을 넣고 물에 달여 하루 5-6번 입가심한다. 이 약은 진통작용과 소염작용을 한다.
◈벌레에게 물렸을 때◈
▶ 벌레에게 물렸을 때는 산초의 잎이나 열매를 소금으로 비벼서 물린 곳에 붙인다.
◈잇몸염증◈
▶ 잇몸에 염증이 생기면 소금이나 산초를 식초에 달여 마신다.
▶ 산초는 위를 건강하게 하고 장을 정화 시키는 효능이 있다.
▶ 특히 장의 기능을 자극하여 식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산초 2g, 말린생강 5g, 당근 3g, 물엿 2g 을 함께 섞어 달여서 먹으면 쇠약해진 체력을 개선하고 위장의 허약과 냉증, 또는 복통 등의 증상에 모두 효과가 있다.
▶ 술마신 다음날 아침, 아침밥을 못먹을 만큼 속이 쓰리거나, 밥을 먹고 소화가 되지 않아서 소화제를 달고 살거나, 그래서 밥 먹기가 두려워서 아침에 죽을 끓여먹을 만큼 위장의 소화력이 떨어진 사람들은 아침먹기전 공복에 산초기름 한스푼씩만 먹으면 금방 좋아진다.
[구전 민간요법]
▶ 산후풍(아이 낳고 바람들었을 때) :
공복에 하루 두스푼씩 복용하면 2홉이면 충분하다.
▶ 콧속이 헐었을 때 :
한방울씩 콧속에 넣고 자면 3일이면 낫는다고 한다.
▶ 안검연축(눈을 깜박거리는 증세) :
산초주를 담아서 수시로 먹는다. 2회정도 담가서 먹으면 낫는다.
▶ 어린애가 경끼할 때 :
꿀을 적당량 섞은다음 작은 티스푼으로 하루에 2회씩 꾸준히 먹이면 평생동안 경끼를 안한다.
▶ 기관지 천식 :
껍질을 벗기고 뼈를 고른 명태 40g과 산초기름10g의 비율로 섞어서 2~3개월간 두었다가 밥먹을 때 밑반찬으로 먹는데 한달정도 먹으면 충분한 효과가 있다.
소의 허파를 산초기름에 샤브샤브 해서 먹는다.
▶ 열이날 때 :
산초기름을 소량씩 먹인다.
▶ 뱀에 물렸을 때 :
산초기름을 바른다. 산초잎을 찧어서 환부에 붙이는데 물린곳에서 피를 빨아내고 붙이면 더욱 효과적이다.
▶ 변비 :
산초기름은 위장을 자극해서 신진대사 기능을 촉진하는 생리적 기능을 같고 있기 때문에 변비에 탁월하다.
▶ 위 염 :
공복에 한 두스푼씩 아침 저녁으로 먹거나 식사할때 밥에 비벼서 먹는다.
▶ 소화불량 :
산초주를 담아서 먹는다.
▶ 아토피피부염 :
잠자기 전에 소량씩 환부에 바른다.
가려움은 바로 가라앉으나, 마르는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5~10분 후에는 닦아낸다. 보름이상 꾸준히 바른다.
▶ 비 염 :
잠잘 때 콧속에 한두방울 떨어드린다.
▶ 치 질 :
(열매, 잎, 나무껍질) 달인 즙으로 씻어주면 잘 낫는다.
[대한개원 한의사 협의회]
▶ 두통/기침 :
(열매, 잎, 나무껍질)을 달인물을 마신다/ 산초기름을 한수저 먹는다.
▶ 치 통 :
산초와 말벌집(노봉방)을 각각, 같은양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한숟가락을 넣고 물에 달여 하루 5~6번 입가심한다.
이때 진통작용과 소염작용을 동시에 한다.
▶ 결 막 염 :
말린 산초열매를 하루 20개 정도씩 3번 복용한다.
▶ 옻이 올랐을때 :
산초잎 달인물로 목욕을 하면 잘 낫는다고 전해진다.
▶ 기 생 충 :
말린 산초 2g에 200cc의 물에 달여 마시거나 말린것을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 눈 다래끼 :
익은 산초열매를 햇볕에 바싹 말려두었다가 하루에
3번 20알 정도 먹는다. 으깬 밥으로 덜 익은 산초를 싸서 따뜻한 물과 먹는다.
▶ 생리불순 :
산초열매 5g에 물 세컵을 붓고 달인다음 마시면 된다.
▶ 딸 국 질 :
뿌리 껍질을 76% 알콜에 48시간 우려내어 딸꾹질이 날때 2~4 ml씩 먹는다/10회 정도 반복하면 낫는다.
▶ 음낭이 붓고 아프면서 가려울때 :
열매(약간볶은것)40g, 다시마20g를 가루내어 술로 쑨풀에 반죽하여 한알의 질량이 0.15g 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0알씩 하루 세번 더운물로 먹는다.
▶ 십이지장충 :
매화열매(오매)와 산초를 각각,15g 을 부드럽게 가루내어 쌀가루를 적당량 넣어 반죽한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 견비통(어깨가 결리는 통증) :
산초를 가루로 만들어 밀가루와 갠 다음 환부에 붙이는데 하루에 두번 갈아 붙이면 효과가 좋다.
▶ 급성 위염 :
보리길금 200g, 산초열매400g, 건강120g을 함께 가루내어 한번에 6~8g씩 하루 3~4번 끼니뒤에 미음에 타서 먹는다.
음식을 먹고 바로 자거나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어서 소화가 안되고 헛배가 부르며 아프고 팔 다리가 나른하며 숨이 가쁜데 사용한다.
♡ 산초나무와 재피(초피)나무 구별하기 ♡
재피(초피)나무
산초나무
㊙️ 나무에 붙어있는 가시가 줄기를 사이에 두고
마주나 있으면 초피나무, 어긋나게 달려 있으면 산초나무입니다.
초피나무의 경우에는 열매껍질을 가루로 만들어
향신료로 이용하고, 산초나무는 주로 씨앗을 채취해 기름을 내어 사용합니다
또한 산초나무 열매는 갈색이고, 초피나무 열매는
붉은색입니다.
산초나무열매
초피나무열매
🅾산초술 담그는 법
산초술 담그는 재료는 산초의 가지, 잎, 꽃, 열매
적당량과 소주는 재료의 3배를 준비합니다.
1. 잔가지는 3cm 정도로 자르고, 두꺼운 가지는
껍질을 벗겨 껍질을 잘게 썹니다(두꺼운 가지가 약효가 더 큽니다).
2. 꽃과 잎은 살짝 물에 헹구어 물기를 뺍니다.
열매는 그대로 사용합니다.
3. 재료를 용기에 넣고 그 양의 3배 정도의 소주를
부어 밀봉한 다음 시원한 곳에 보관합니다.
4. 3개월 정도 지나면 특유의 향내가 강한 호박색의 약술이 완성됩니다.
※ 열매는 그대로 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오리지날산약초학교
첫댓글 우와
산초 열매가 다양하게 쓰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