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포니안 허더 (Lapponian Herder)
► 이 명 : 라핀포로코이라(Lapinporokoira, 랩핀포로코이라), 피니시 레인디어 허더(Finnish Reindeer Herder), 베르지 핀노이즈 드 라포니에(Berger Finnois De Laponie), 라플란드 레인디어 도그(Lapland Reindeer dog), 랩스크 발훈트(lapsk vallhund), 라포니안 발훈트(Lapponian Vallhund), 피니스처 라플란드 텐훈트(Finnischer Lapplandhir Tenhund), 파스토르 핀란데스 드 라포니아(Pastor Finlandes de Laponia)
► 외 관 : 라포니안 허더의 크기는 체고가 수컷 48~54㎝, 암컷 43~49㎝, 체중 27~30kg 정도되는 중형견이다. 체고에 비하여 체장이 긴 근육질로 마스티프 타입의 중형견이다. 단단하며 튼튼한 인상을 주나 무거워 보이지 않는다. 이마의 주름과 눈썹이 명확하며 타원형의 눈은 예리해 보인다. 콧마루는 좋으며 주둥이는 코를 향하여 좁아진다. 곧게 선 중간 정도 크기의 귀는 귀뿌리 쪽의 폭이 넓으며, 안쪽은 털이 빽빽하다. 꼬리는 중간 정도의 길이로 쉴 때는 늘어뜨리고 있다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완만하게 구부러진다.
이 개는 꼬리를 세게 말 경우에는 등 위쪽이 아니라 옆구리 쪽으로 굽는다. 털은 추운 기후에 적합하며, 검은색과 회색이 들어간 갈색이나 암갈색이다. 때로 밝은 회색이나 갈색의 반점이 머리, 몸 아래쪽, 다리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겉털은 길고 곧으며, 가는 속털은 암회색 또는 암갈색을 띤다. 목 주변과 가슴, 넓적다리 위쪽의 털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풍성하다. 모색은 짙은 회색(Dark Grey), 암갈색(Dark Brown), 흑색&백색(Black & White), 흑색&탄(Black & Tan), 그리고 흑색(Black) 등이다.
► 설 명 : 주인에게 순종적이면서도 활동적이고 용감하여 맹수와 마주쳐도 주눅들지 않아 지금도 번견, 목축견으로 선호되며, 초기에는 순록몰이에 이용되기도 하였다. 영리하여 훈련이 쉽고 민첩하며 지구력이 강하다. 이 개는 주인에게 충실하고 조용하며 온순하고 우호적이다. 학습능력이 뛰어나서 훈련하기 쉽고, 일반 가정에서도 여러 가지 실용기술을 가르치면 도움이 될 것이다. 리더십 있는 주인의 지시에는 충실하게 따르고 너무 많다고 생각될 정도로 많은 일을 처리하는 능력이 있다.
지구력이 뛰어나서 매일 장시간 이동해도 전혀 힘들어하지 않는다. 운동이 부족하면 스트레스가 쌓여서 많이 짖는 신경질적인 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하루 2번, 1시간씩 산책을 시켜줘야 한다. 짖으면서 작업을 하는 특징이 있으며, 촘촘하게 자라는 털은 혹한의 추위에도 견딜 수 있지만, 고온다습한 환경에는 약하다. 운동량도 많고 맡겨진 일을 잘 해내는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도시에서 키우는 것보다 넓은 공간에서 마음껏 뛰어 놀게 해주는 것이 좋다. 평균 수명은 12~15년 정도이다.
► 주 의 : 일반적으로 수명이 길고 건강한 품종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유전적 질환인 고관절 이형성증이나 주관절 형성이상, 진행성 망막 위축증(PRA), 유전적 망막병에 취약하다는 특징이 있다.
식탐이 다소 많은 편이므로 적절한 식사량의 조절과 함께 충분한 운동을 시켜주어야 한다. 운동량이 매우 많은 견종이므로 매일 두 번 정도의 산책과 운동은 필수적이며, 운동량이 부족하거나 마음껏 활동을 하지 못할 경우에는 난폭해 지거나 땅을 심하게 파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털 빠짐이 많은 편이지만 수시로 빗질만 해 주어도 털은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실외에서 기를 경우에는 털이 아주 더러워지지 않는 한 목욕을 시켜주지 않는 것이 좋으며, 실내에서 기를 경우에도 잦은 목욕은 좋지 않다.
► 기 원 : 라포니안 허더(Lapponian Herder), 또는 라핀포로코이라(Lapinporokoira)의 원산국은 핀란드이다. 원산지는 북유럽 북쪽인 라플란드(Lapland)이며, 라플란드는 스칸디나비아반도와 핀란드의 북부, 러시아 콜라반도를 포함한 유럽 최북단 지역이다. ‘라포니안 허더’라는 견명의 유래는 ‘라플란드(Lapland)’라는 의미의 ‘라포니안(Lapponian)’과 가축 무리를 지키는 번견이라는 뜻의 ‘허더(Herder)’가 합쳐진 것이다. 그리고 ‘라핀포로코이라’의 ‘라핀’은 ‘라플란드’를, ‘포로’는 ‘순록’을, ‘코이라’는 ‘개’를 의미한다. 매우 부지런한 일꾼으로 순록의 무리를 짖어서 통제하는데, 이 개 한 마리가 사람 몇 명의 몫을 해낸다고 한다.
라포니안 허더(Lapponian Herder)는 스칸디나비아반도 북쪽의 원주민이 오랫동안 사육하던 종이라고 여겨지나,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확인이 어렵다. 순록을 몰거나 늑대나 곰 등의 맹수를 막는 역할을 하였으며, 때로 썰매를 끌기도 하였다. 1950년대 이전까지 독립견종으로 인정되지 않았으나, 1950년대 말과 1960년대 초 견종 표준이 마련되고, 1966년에서야 독자적인 견종으로 분리되었다. 이 개는 전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개이며, 주 분포지역은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와 덴마크이다.
라핀포로코이라(Lapinporokoira), 또는 라포니안 허더(Lapponian Herder)의 기원은 북유럽의 북부 즉, 노르웨이 북부, 스웨덴, 핀란드 그리고 러시아의 토착민인 사미족들이 순록의 사슴몰이에 이용하던 피니시 라프훈트로 거슬러 올라간다. 1960년대 핀란드 켄넬 클럽 회장이었던 올리 코호넨(Olli Korhonen)은 이 견종에 대한 기준 설정과 랩포니언(Lapponian) 목양견 번식기구의 창설에 앞장섰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능률적인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이후 현재의 스탠다드가 만들어졌다.
► 비 고 : 라포니언 허더는 1999년 3월 12일자로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5 스피츠 그리고 프리미티브 타입 섹션 3 북유럽 지역 경비견 그리고 목축 견 스탠다드 No. 284로 등록이 되었다. 이 외에도 영국켄넬클럽(UKC, 허딩 그룹[Herding Group, 목축견])을 비롯하여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각종 애견 단체에 대부분 등록이 되어 있다.
► 참 고 : 본래 이 개는 연중 밖에서 가축 떼를 모으고, 옆길로 빗나간 양들을 무리로 되돌려 보내는 일을 했다. 라핀포로코이라는 가끔 깊은 눈 속을 헤치며, 하루 60마일을 달린다. 1960년대에는 설상차가 목동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게 되어 거의 랩포니안 목양견의 멸종을 초래했다. 이 가계와 그 연료의 높은 단가로 랩족이 다시 예전의 목양견을 찾게 되기까지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최근에는 기계화로 일거리가 줄어들어 이 종의 수도 크게 감소하였지만, 기름값이 오르면서 이 종의 가치가 다시 평가되고 있다. 본업은 순록 관리이지만, 간혹 도그 쇼에 참가하기도 하고, 일반 반려견으로도 키운다.
이 개는 혹독한 기후에서 스피츠 종의 회복력과 셰퍼드 종의 동물몰이 능력을 섞어 놓은 견종이다. 스노모빌이 들어오기 전까지 사미족들은 이 개만을 유일한 순록몰이에 이용하였다. 기름값 폭등으로 그들은 다시 이 개를 유용하게 쓰기 시작했다. 핀란드에는 잘 조직된 개량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어 이 튼튼하고 믿음직스러운 개의 일하는 능력을 계속 유지시켜 왔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라포니언 허더의 크기는 체고 43 ~ 54㎝, 체중 27 ~ 30kg 정도되는 중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조금 더 큰 편이다. 외모는 목축에 활용된 중형 스피츠로 체고보다 체장이 확연히 더 길고, 뼈와 근육이 튼튼하게 발달되어 있는 등 전체적으로 근육질 몸매를 가지고 있지만 육중해 보이지는 않으며, 피모에서는 북극 지역의 기후에 적합한 특징을 나타낸다. 신체비율은 체장이 체고보다 10% 더 길고, 몸통의 세로길이는 체고의 절반 정도에 해당한다.
► 머리 : 머리는 길쭉한 편이고, 주둥이가 머리 길이보다 약간 짧아 보인다. 두개골은 아주 살짝 불룩한 형태를 보이며, 스톱은 적당히 비스듬하다. 미간 주변이 활처럼 휘어져 보인다.
• 코 : 코는 주로 검은색이지만 모색과 잘 어울리는 색을 가지고 있다면 허용이 된다.
• 입 : 주둥이는 위에서 내려다보거나 측면에서 보면 코로 갈수록 일정한 폭으로 가늘어지고, 콧등은 곧게 뻗어 있다. 입술은 팽팽하고, 이빨은 협상교합이다. 볼의 광대뼈가 드러나 있다는 것이 본종의 특징이다.
• 눈 : 눈은 타원형이고, 예리한 눈빛이 느껴지며, 눈에서는 생동감도 느낄 수 있다. 미간은 다소 멀게 보이고, 색은 짙은 색이 적절하나 모색과 잘 어울리면 다른 색도 허용된다.
• 귀 : 귀는 쫑긋 세운 형태로 길이는 중간 정도이고, 양쪽 귀가 멀찍이 떨어져서 위치하며, 뿌리 부분이 넓적하게 보인다. 귀 안쪽은 풍성한 털로 덮여 있다.
► 목 : 목은 탄탄하며, 길이는 중간 정도로 어깨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고, 살이 처진 부분도 없는 편이다.
► 몸통 : 기갑의 윤곽이 뚜렷하고, 등은 탄탄한 근육질이며, 허리는 짧은 편이고 근육질이다. 엉덩이는 긴 편이고, 약간 비스듬하게 보이며, 가슴은 깊고 길며 내부 공간이 넓지만 과도하게 넓적하지는 않다. 늑골은 뚜렷하게 아치형으로 휘어져 있고, 복부는 적당히 홀쭉한 편이다.
► 꼬리 : 꼬리는 길이가 중간 정도이고 엉덩이에서 낮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털이 풍성하게 덮여 있다. 쉬고 있을 때는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다가 움직이면 완만한 곡선을 그리고 있기도 하고 둥글게 말기도 한다. 하지만 등 위로 들어 올리지는 않아야 한다.
► 사지 : 앞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전체적으로 힘이 느껴지고, 탄탄한 근육을 통해 몸통과 이어지고 편안하게 움직이며,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고, 각 부분이 충분히 굽어 있다. 정면에서 보면 두 다리가 평행하며, 곧게 뻗어 있고, 어깨는 비스듬히 젖혀져 있고 근육질이다. 무릎은 방향이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았고, 몸통과 가까이에 위치하며, 일직선 방향으로 뒤를 향하고 있다. 전완은 바닥과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발목은 측면에서 보면 앞으로 약간 비스듬하게 기울어 있어서 유연하게 움직인다. 앞발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이며, 발바닥에는 털이 촘촘하게 덮여 있고, 발가락은 위로 볼록하고 패드가 두툼하지만 유연하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각 부분이 충분히 굽어 있고, 뒤에서 보면 두 다리가 평행하며, 곧게 뻗어 있다. 허벅지 상부는 길고 넓적한 편이며, 근육이 상당히 잘 발달되어 있다. 무릎은 정면을 향하고 있고, 관절이 굽은 형태가 뚜렷하게 드러나며, 비절은 바닥 쪽으로 낮게 자리하고 있으며 굽은 형태가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 발목은 다소 짧은 편이고 바닥과 수직을 이루며, 양쪽 발목은 서로 평행하다. 뒷발은 앞발과 동일하고, 며느리발톱은 없는 것이 적절하다.
► 털과 색 : 피부는 전체적으로 팽팽하며, 주름이 없다.
털은 이중모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겉 털은 길이가 중간 정도이거나 긴 편이며, 뻣뻣하게 쭉 뻗은 직모로 구성되어 있고, 속 털은 가느다란 털이 촘촘하게 자란다. 목, 가슴, 허벅지 뒷부분에는 다른 곳보다 더 긴 털이 풍성하게 덮인 경우가 많다. 이중모 구조를 가진 견종들은 털 빠짐이 대체로 많은 편이다.
모색은 다양한 색조의 검은색(black)이며, 회색 빛이 돌거나(grayish), 진한 갈색(dark brown)의 털에 바탕색보다 밝은 색조의 털이 섞이는 경우도 있으며, 회색이나 갈색 빛이 도는 무늬가 머리, 몸 아랫부분, 다리에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목과 가슴, 다리에 형성된 흰색 반점은 허용된다. 하모(배 부분)는 검은색이거나 회색 계통, 갈색 계통의 색을 주로 가지고 있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는 상당히 자연스럽고 유연한 편이며, 크게 힘을 들이지 않고도 곧게 걷는다. 속보로 걸을 때도 지치지 않고, 속보보다 걷는 속도가 빨라지면 네 발이 일직선상에서 걷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