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강의(經史講義) 38 ○ 역(易) 1 계묘년(1783, 정조7)에 선발된 이현도(李顯道)ㆍ조제로(趙濟魯)ㆍ이면긍(李勉兢)ㆍ김계락(金啓洛)ㆍ김희조(金煕朝)ㆍ이곤수(李崑秀)ㆍ윤행임(尹行恁)ㆍ성종인(成種仁)ㆍ이청(李晴)ㆍ이익진(李翼晉)ㆍ심진현(沈晉賢)ㆍ신복(申馥)ㆍ강세륜(姜世綸) 등이 답변한 것이다
[태괘(泰卦)]
태괘(泰卦) 육사(六四)에 대해서 《정전(程傳)》이나 《본의(本義)》에서는 모두 그 효를 가지고 소인(小人)이 다시 올 조짐으로 여겼다. 그러나 여러 학자의 말에 의하면, 혹은 “세 양효(陽爻)가 이미 나아가서 기꺼이 어진 이와 함께한다.”고 하였고, 혹은 “오(五)를 따르고 어진 이에게 낮추니 그 마음이 아름답다.”고 하였고, 혹은 “아래에서는 강직함으로 윗사람을 섬기고 위에서는 겸허함으로 아랫사람을 접한다.”고 하였다. 이 몇 가지 학설은 비교적 의미가 있는 것 같은데, 《정전》과 《본의》의 미비한 점이 보완되었다고 할 수 있겠는가?
[신복이 대답하였다.]
《역경》의 효사(爻辭)에서 취한 뜻은 그 큰 것만을 들어서 말한 것입니다. 태괘의 구성은 세 양효는 아래에 있고 세 음효는 위에 있는데, 양이 극도로 성(盛)한 것은 음이 이르는 징후가 됩니다. 따라서 태(泰)가 형통한 뒤에는 반드시 비색(否塞)한 상징을 이룹니다. 육사(六四)의 한 효는 음유(陰柔)한 바탕으로 중(中)을 지난 시기에 처하였는데, 바탕이 이미 음유하니 그 조짐이 소인이 되며 태가 이미 중을 지났으니 그 상징은 비색함이 되려는 것이므로, 《정전》과 《본의》에서 육사 효를 소인으로 결론지었습니다. 그러나 역(易)의 이치는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는 것입니다. 옛날에 건괘(乾卦) 구사(九四)를 가지고 “태자(太子)이다.”라고 하는 이가 있었는데, 이천(伊川)이 이를 그르다고 하면서 “만약에 그렇게 본다면 역은 384건의 일이 될 뿐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저 사효(四爻)는 임금 가까이 있는 자리이고 태(泰)로서 형통한 시기에 처하였으니, 위로 유순한 임금의 뜻을 받들고 아래로 무리 지어 오는 어진 이를 인도해 주면 겸손함을 펴는 덕을 굳이 겸괘(謙卦) 육사(六四)에게 많이 양보할 것이 없을 것이며 혼인을 청하는 좋은 일도 둔괘(屯卦)의 육사처럼 아름다워질 것입니다. 이렇게 보면 무슨 불가함이 있겠습니까. 선대 학자의 말도 아마 이렇게 본 것일 것이고, 《정전》과 《본의》의 뜻과 함께 행해져도 어긋남이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양이 극에 달하면 음이 이르고 태가 극에 달하면 비색함이 오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니, 반드시 정자와 주자의 말대로 보아야 주공(周公)의 본뜻에 맞을 것입니다.
단전(彖傳)에서 “안은 군자(君子)이고 밖은 소인(小人)이다.”라고 한 것은 착하고 간사한 자에 대한 구분을 엄격히 한 것인데, 구이(九二)에서 “못마땅한 자도 포용한다.[包荒]”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초구(初九)에서는 “띠 뿌리를 뽑으면 서로 연결된 것처럼 그 무리로 간다.”고 하였으니 이렇게 보면 벗들의 응원을 중하게 여긴 것인데, 구이에서 반대로 말한 것은 어째서인가?
[이곤수가 대답하였다.]
태괘의 의의는 크고 넉넉한 것입니다. 하늘과 땅의 기운이 통하여 태평하게 되어서 만물이 모두 무성하며 군자의 도는 자라나고 소인의 도는 소멸되니, 이는 바로 임금과 신하와 위아래 사람이 마음을 함께하고 힘을 모아 하늘을 대신해서 일을 해 나갈 때입니다. 어진 이가 나오고 간사한 자가 물러가는 계기와 양이 올라가고 음이 내려오는 구분이 여기에 달려 있습니다. 그런데 성인이 어찌하여 세도(世道)가 낮아지고 높아지는 즈음에 대하여 정성스러운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초구에서는 “띠 뿌리를 뽑으면 서로 연결된 것처럼 그 무리로 간다.”고 하였고 구이에서는 “못마땅한 자도 포용하고 붕당을 없애야 한다.[包荒朋亡]”고 하여 앞뒤의 뜻이 모순된 것 같은데, 그 의의를 가만히 궁구해 보면 매우 깊은 뜻이 있습니다. 그 “못마땅한 자도 포용한다.”고 한 것은 착하고 간사한 자를 구별하는 데 소홀히 하여 너그럽게 참는 기풍을 지나치게 쓰라는 것이 아닙니다. 태평하게 다스려지는 시대에 위아래가 뜻을 같이해야 하는데, 만약에 널리 포용하는 아량을 가지고 여유롭고 느긋함을 베풀지 않는다면 위에 있는 자는 그 속이 넓음을 보여 줄 수 없고 아래에 있는 자는 그 재능을 펼칠 수 없을 것입니다. 그 “붕당을 없애야 한다.”고 한 것은 고립시키고 내버려 둔 채 착한 이들을 이끌어 주지 않으려는 것이 아닙니다. 군자는 나오게 하고 소인은 물러가게 하여 지초와 난초가 향기를 같이하듯이 착한 선비가 모두 나오게 해야 하는데, 만약 그 사심을 끊지 못하고 크게 공정한 마음으로 단정을 내리지 않으면 이는 “무리로 가는 것이 길하다.”고 한 뜻이 아닙니다. 그래서 또다시 “붕당을 없애야 한다.[朋亡]”는 것으로써 상효(上爻)의 뜻을 밝힌 것입니다. 구양수(歐陽脩)가 “군자의 진실한 벗은 나오게 하고 소인의 진실치 못한 벗은 물리친다.”고 한 말이 이 뜻을 밝힌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은 태괘(泰卦)이다. < 출전 : 한국고전번역원 >
[泰]
泰之六四。傳義皆以此爻爲小人復來之幾。然諸儒之說則或云三陽旣進。樂與賢共。或云從五下賢。其心休休。或言下以剛直事乎上。上以謙虛接乎下。凡此數段。較似有味。可以有補於傳義之闕歟。馥對。易爻之取義。只擧其大者而言耳。泰之爲卦。三陽在下。三陰居上。陽盛之極。是爲陰至之候。泰通之餘。必致否塞之象。而六四一爻。以陰柔之質。居過中之時。質旣陰柔則其占爲小人。泰旣過中則其象爲將否。此傳義之以六四爻歸之小人者也。然而易之道。不可以一槩言也。昔人有以乾之九四爲太子者。伊川非之曰若果如此則易只做三百八十四件事。夫四。近君之位也。處乎泰通之時。能上承柔順之君。下引彙征之賢。則撝謙之德。未必多讓於謙之六四。求婚之吉。亦將竝美於屯之六四矣。如是看。亦何不可之有哉。先儒之說。蓋亦有見於此。而其於傳義之旨。可謂竝行而不悖也。雖然陽極而陰至。泰極而否來。理之常也。必如程朱之說。然後可得周公之本旨矣。彖傳云內君子外小人。則未嘗不致嚴於淑慝之分。而九二之却言包荒何也。初九云拔茅茹以其彙。則未嘗不歸重於朋類之援。而九二之反言何也。崑秀對。泰之義。優優大哉。天地通泰。萬物交茂。君子則道長。小人則道消。此正君臣上下同心協力。代天理工之日也。賢邪進退之機。陰陽升降之分。於是係焉。則聖人曷不慥慥於世道汙隆之會乎。然而初九則曰拔茅茹彙征。九二則曰包荒朋亡。前後旨義。似若矛盾。徐究其義。槩有深意。其曰包荒云者。非忽於淑慝 之別。而過用濡忍之風也。泰治之世。上下同志。苟無含弘之量。優游而寬假。則在上者無以示其廣。爲下者無以布其才矣。其曰朋亡云者。非謂孤立寡與。不欲引進善類也。君子則進之。小人則退之。芝蘭同臭。吉士咸征。而若不絶去其私。斷以大公。則非所謂彙征之吉也。故又以朋亡二字。以明上爻之旨。若歐陽脩所云進君子之良朋。退小人之僞朋者。可以發揮斯義矣。以上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