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 시냅스 새로운 특성 발견, 뇌질환 치료의 초석 다진다
우리 뇌의 주요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도파민 시냅스의 새로운 특성이 밝혀졌다. 도파민 관련 뇌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생명과학과 김재익 교수팀은 도파민 시냅스가 도파민뿐 아니라 신경세포가 과하게 흥분하는 것을 막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GABA(γ-aminobutyric acid)’를 전달할 수 있으며, 억제성 시냅스와 유사한 특성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런 특성은 도파민 시냅스의 유지와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도파민은 우리 뇌에서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다. 도파민은 도파민 시냅스를 통해 뇌의 다양한 신경세포들에 전달되며, 이는 각종 행동 조절과 인지 기능 등에 관여한다. 도파민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파킨슨병,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그리고 조현병 등이 발병하게 된다.
뇌가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은 시냅스 영역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 간 신호 전달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이런 관점에서 파킨슨병과 같은 뇌질환은 도파민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변화와 밀접한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팀은 도파민 시냅스가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를 함께 전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시냅스 앞뒤에 붙어있는 시냅스 분자들을 분석했을 때 도파민 시냅스가 억제성 시냅스의 속성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억제성 시냅스를 생성하고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cell adhesion molecule)인 NL2(neuroligin-2)를 인위적으로 제거했을 때, 도파민 시냅스의 수가 감소하는 것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파킨슨병이 실험적으로 유도된 동물을 연구했다. 도파민 시냅스에서 전달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GABA가 파킨슨병의 초기 단계에서 빠르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도파민 시냅스에서 GABA의 전달이 감소하면 도파민 시냅스의 사멸이 촉진된다. 따라서 줄어든 GABA를 보충해 주면 파킨슨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제 1저자 김현진 연구원은 “기존의 연구들은 실험 방법의 한계로 도파민 시냅스의 구체적인 구조와 기능을 규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도파민, GABA와 같은 신경전달물질들의 측정 및 고해상도 시냅스 이미징 방법의 개선을 통해 도파민 시냅스의 새로운 생리적 속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생명과학과 김재익 교수는 “도파민 시냅스에 함께 존재하는 억제성 시냅스의 속성이 도파민 시냅스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밝혔다”며 “앞으로 도파민 시냅스의 새로운 속성에 관한 추가 연구를 통해 파킨슨병 등 도파민 관련 뇌질환의 조기 발견 및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생명과학분야 주요 학술지인 ‘Cell Reports’에 10월 31일 자로 공개됐다. 연구수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 중견연구, 뇌기능규명조절기술개발사업, 그리고 포스코청암재단 포스코청암 사이언스 펠로십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논문명: GABAergic-like dopamine synapses in the brain)
연구 결과 개요
1. 연구배경
도파민은 중추신경계에서 수의운동, 보상행동, 동기 부여 등 중요한 뇌기능들을 담당하는 조절성 신경전달물질이다. 또한, 도파민 신경세포와 도파민 시냅스로 구성된 도파민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파킨슨병이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그리고 조현병 등이 발병하게 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뇌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도파민 시냅스의 구조와 생리적 기능, 그리고 뇌 영역별 도파민 시냅스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오랫동안 도파민은 시냅스에서 시간상 느리게 전달되고 공간상 시냅스 영역을 넘어서 넓게 퍼지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도파민 시냅스를 통한 신호 전달이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빠르고, 좁은 시냅스 영역에 국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보고가 알려지면서, 도파민 시냅스에서의 신호 전달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복잡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 뇌에는 흥분성 시냅스(excitatory synapse), 억제성 시냅스(inhibitory synapse), 그리고 도파민 시냅스와 같은 조절성 시냅스(modulatory synapse)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부 도파민 축삭 말단에 흥분성이나 억제성 시냅스 축삭 말단에서 보이는 활성 영역이 존재하며, 도파민 축삭 말단에서 GABA와 같은 억제성, 그리고 글루탐산(glutamate)과 같은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이 도파민과 함께 분비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도파민 시냅스의 구조와 그 생리적 기능을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도파민 시냅스의 시냅스 특이적 분자들과 그 생리적 기능을 조사했다. 본 연구팀은 먼저 생쥐의 뇌 전체에 걸쳐 도파민 시냅스에서의 도파민 신호 전달과 GABA의 신호 전달 사이에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도파민 시냅스를 구성하는 시냅스 분자를 조사하는 연구를 통해서는, 도파민 시냅스의 상당수가 억제성 시냅스(GABA 시냅스)의 분자적 속성도 함께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이러한 억제성 시냅스의 속성을 지닌 도파민 시냅스는 선조체(striatum)의 중간 가시 신경세포(medium spiny neuron)의 수상돌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도파민 시냅스에서 이루어지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GABA의 신호 전달은 일반적인 억제성 시냅스와 비교했을 때 특수한 생리적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처음 발견한 흥미로운 결과 중 하나는, 도파민 시냅스에서 억제성 시냅스의 시냅스 접착 단백질로 잘 알려진 NL2(neuroligin-2)의 발현을 억제했을 때 단기적으로는 도파민 시냅스에서의 GABA 신호 전달이 강화되었으며, 장기적으로는 GABA 신호 전달이 매우 감소했다. 또한, 도파민 시냅스에서 NL2가 장기적으로 결핍되었을 때에는 많은 도파민 시냅스가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파민 시냅스에서 NL2와 같은 억제성 시냅스 분자, 그리고 도파민과 함께 전달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GABA가 도파민 시냅스의 생존 및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파킨슨병 동물모델을 활용한 연구에서는 병의 진행과 함께 나타나는 도파민 신호 전달의 감소에 앞서 도파민 시냅스에서의 GABA 신호 전달의 약화가 먼저 발생하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도파민 시냅스가 억제성 시냅스의 속성을 함께 가지고 있음을 처음으로 밝혔다. 또한, 도파민 시냅스에 존재하는 억제성 시냅스의 속성이 건강과 질병(파킨슨병)에서 도파민 시냅스 자체의 생존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3. 기대효과
도파민은 우리 뇌에서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이다. 하지만 도파민의 중요성이 알려진 기간을 고려했을 때, 실제로 도파민이 뇌에 작용할 수 있는 생물학적 핵심 장소인 도파민 시냅스의 정확한 구조와 이를 구성하는 시냅스 분자, 그리고 도파민 시냅스의 생리적 기능을 밝히는 연구는 생각보다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밝힌 도파민 시냅스의 새로운 속성은 도파민 시냅스가 우리 뇌에서 수행하는 여러 뇌기능들의 생물학적 작동원리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게 만드는 중요한 결과라 생각하며, 앞으로 도파민과 관련된 신경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치리라 예상한다. 파킨슨병은 도파민 신경세포의 기능 이상 및 사멸로 인해 일어나는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이다. 또한, 도파민 신경세포의 경우 도파민 시냅스와 축삭 말단에서부터 세포 사멸이 일어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파킨슨병과 같이 치료가 어려운 퇴행성 뇌질환은 다양한 생물학적 원리에 바탕을 둔 치료기술의 신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본 연구의 결과는 파킨슨병에서 나타나는 도파민 시냅스의 이른 사멸을 발견할 수 있는 빠른 진단기법과 새로운 생물학적 원리에 기반해서 도파민 시냅스의 생존에 도움을 주는 치료기술 개발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BRIC (ibric.org) Bio통신원(UNIST) 등록일2023.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