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의 의미와 기원
설은 묵은 해를 떨쳐버리고 새로 맞이하는 한 해의 첫머리이다. 따라서 설이라는 말은 <설다> <낯설다> 등의
<설>이라는 어근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새해에 대한 낯설음, 즉 새해라는 문화적인 시간인식 주기에 익숙하지 못한 속성을 가장 강하게 띠는 날이 바로 설날이기 때문이다. 설의 이러한 의미는 통과의례의 3단계라는 이론으로도 설명된다. 설은 묵은 해에서 분리되어 새해로 통합되어가는 전이과정으로서, 새해에 통합되기에는 익숙하지 못한 단계이다. 설이 <신일(愼日)>이라 하여 <삼가고 조심하는 날>로 기술된 것도 새해라는 시간질서에 통합되기 위해서는 조심하고 삼가야 된다는 뜻을 강조한 것으로 보이며, 이외에 세수(歲首)·세초(歲初)·연두(年頭)·연시(年始)라는 말에서도 나타난다. <설>이라는 말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알 수 없으나 이미 신라 때 민간에서 널리 사용되던 말이라고 짐작된다. 《삼국유사》에는 원효(元曉)의 이름에 대한 유래, 즉 <元曉亦是方言也 當時人皆以鄕 言稱之始旦也>라고 되어 있는데, 원효라는 말의 의미는 시단(始旦)이며 그것은 원단(元旦)을 뜻하는 것이므로 신라인들은 그것을 원단을 뜻하는 <설>로 발음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정월 초하루를 지칭하는 <설>이라는 말이 이미 고대로부터 널리 쓰여
왔고, 그것은 새롭게 출발한다는 의미로 전해져 왔음을 의미한다.
설의 민속
설의 민속은 한민족의 오래된 민속과 전래된 중국에서 전래된 민속이 동화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설날이 되면 남녀노소, 빈부귀천의 구분없이 일손을 놓고 객지에 살던
일가친척들이 고향으로 모여들어 어른들에게 세배를 하고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미리 마련해 놓은 새옷을 입는데, 이 새옷을 <설빔>이라고 한다. 설날의 제사는 차례(茶禮)와 성묘로 대별된다. 설날 아침 일찍 세찬(歲饌)과 세주(歲酒), 떡국을 마련하여 사당에 진설하고 제사지내는 것을 차례라고 한다. 차례는 자손들이 모두 장손집에 모여 함께 지내는데 단란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에게 새해 첫인사를 드리는 세배를 한다. 세배가 끝나면 성묘를 하는데, 성묘는 조상묘를 찾아가 간단한 세찬과 세주를 차려놓고 절을 한다.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했다는 인사를 조상에게 올리는 것이다. 요즘에는 주로 한식과 추석에 성묘를 하지만, 예전에는 생존한 어른에게 세배하듯이 돌아간 조상에게도 생존시처럼 성묘를 드렸다.
설의 놀이 본래 농사가 주생업인 한국의 사회에서는 농한기인 정초에는 한해 동안 농사가 잘되기를 기원하는 민속놀이들이 행해졌다. 대표적인 놀이로는 윷놀이·널뛰기·연날리기·돈치기·승경도(陞卿圖)놀이 등이 있다. 설에 가장 널리 성행하는 윷놀이는 정초뿐 아니라 가을걷이가 끝나고 타작을 마치면 시작된다. 놀이방법은 윷판을 놓고 쌍방이 각각 윷을 던져 나온 결과대로 4개의 말을 진행시켜 최종점을 먼저 통과하는 편이 이기는 것이다. 널뛰기는 정초 부녀자들 놀이의 대표적인 것으로 전국적으로 행해졌다. 옛날에 부녀자들은 주로 울 안에만 갇혀 살았기 때문에, 널을
뛰어 높이 올라갔을 때 담장 밖의 세상을 살폈다고 한다. 연날리기는 개인놀이의 하나로, 섣달부터 날리기도 하지만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까지가 본격적인 시기이며, 보름이 지나면 연을 날리지 않는다. 연에는 액(厄)자 한 자를 쓰거나 송액(送厄)또는 송액영복(迭厄迎福)
등의 글자를 쓰는데, 이것은 그 해의 재앙이나 못된 액을 연에 실어 날려보낸다는 의미를 지닌 풍속이다. 돈치기는 돈을 땅에 던져놓고 이것을 다른 돈으로 맞추는 내기로, 젊은 남자들이 하는 놀이이다. 정초에 부녀자나 소년·소녀들이 주로 하는 승경도놀이는 조선왕조의 관직명을 도시(圖示)한 지면(紙面;중앙에는 京官職을, 변두리에는 外職과 則罰을 배치하였다)을 놓고 주사위나 윷을 쳐서 나온 눈의 수대로 승진하게 하는 놀이이다.
설의 절식 설의 절식으로 일반적인 것은 떡국이다. 떡은 멥쌀을 가루내어 쪄서 떡판에 놓고 메로 찧은 다음에 적당한 굵기로 둥글고 길게 만들어 약간 굳었을 때 칼로 얇게 썬다. 이것으로 국을 끓이면 떡국이 된다. 떡국은 차례상에 오르며, 설날 아침에 이 떡국을 먹는다. 떡국은 쇠고기 또는 닭고기 국물을 넣어서 끓이지만 원래는 꿩고기국에 끓였다. 정초에 서로 만나면 <떡국 먹었느냐>고 묻는다. 이것은 <설 쇠었느냐> 또는 <몇 살 먹었느냐>는 물음으로서, 이때 떡국 먹는 것을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뜻으로 말하고 있다. 한국 북부지방에서는 만두국을 많이 먹는다. 세주(歲酒) 마시는 초백주(椒栢酒)·도소주(屠蘇酒)는 중국에서 유래한 세수로서, 정초에 마시면 괴질을 물리치고 1년중의 사귀(邪鬼)를 없애며 오래 살 수 있다고 한다. 초백주는 후추 7개와 측백나무의 동향한 잎 7개를 한 병 술에 담가서 우려낸 것으로 섣날 그믐날 밤에 담가 정초에 마시면 괴질을 물리친다고 한다. 도소주는 산초·방풍·백출·밀감피·육계피 등을 조합하여 만드는데, 이것을 마시면 1년의 사귀를 없애고 오래 살 수 있다고 한다. 한국의 세주로는 약주·청주 또는 탁주가 쓰이고, 혹은 소주에 약미(藥味)를 가미한 것이 일반적으로 많이 쓰였다.
음력설·양력설 설이 언제부터 한국의 명절이었는지 명확하게는 알 수 없으나, 기록에 의하면 신라인들은 원일(元日) 아침에 서로 하례하고 일월신을 배례한다고 되어 있다. 설은 고려시대에는 9대속절(九大俗節)의 하나로, 조선시대에는 4대명절의 하나로서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러다가 일제강점기에 강요에 의하여 양력을 기준력으로 한 양력설을 쇠게 되었고, 이는 광복 후에도 지속되어 왔다. 양력의 정초 3일간이 국가공휴일로 정해지고 음력설은 이중과세(二重過歲)라 하여 공휴일이 되지 않았다. 그 뒤 민의가 반영되어 1985년부터 <민속의 날>이라는 명칭으로 1일간 쉬게 되다가 89년 2월 1일 정부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을 고쳐 음력 1월 1일을 전후한 3일을 공휴일로 지정, 시행함에 따라 종래 양력설을 쇠던 사람들도 음력설로 되돌아오고 있으며, 양력설은 정부인사와 공직자들 중심의 관변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 타이완은 양력 1월 1일부터 3일까지를 개국기념일로 명명하고 모든 관공서가 쉬고 있다. 민간에서는 양력 정초보다 음력설이 훨씬 성대하여 음력 정초 3일이나 5일 정도를 쉬는 것은 보통이고, 예전에는 15일 또는 30일간도 쉬었다. 반면 중국은 1949년부터 양력 1월 1일을 신년 휴일로 하루 쉬고, 음력 1월 1일부터 4일까지를 춘절(春節)이라 하여 쉰다. 일본에서는 1872년 태양력을 채용한 이후 음력에서 양력으로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지금은 완전히 양력만으로 과세하고 모든 생업력도 양력에 따르고 있다. 그들은 양력 1월 1일부터 3일까지를 <국민의 축일>이라 하여 공휴일로 제정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