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20년대 이래 일제가 실시한 산미증식계획에 의해 초래된 농업구조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조선농업의 생산구조를 미곡 단작형으로 정착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2)조선 쌀의 생산량 증가 비율보다 일본에 대한 수출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3)일본의 신품종이 거의 모든 논에 식부되고 비료투입량도 급격히 늘어났다.
(4)일본인 대지주가 성장한 반면 조선인 대지주와 중소토지 소유자는 몰락하였다.
답이 (3)번인거 같은데여..농민이 비료값도 이중고를 겪었잖아여..
근데 (4)번도 틀리지 않나여??조선인 대지주도 성장한거 아닌가여??
(4)의 내용 일본인 대지주와 조선인 대지주는 성장하고 일부 농민은 소작농으로 전락한거는 1910년 토지조사에 대한 내용인가여??(4)도 좀 틀린거 같아서여..
자세히 설명좀 부탁할게여..
2.조선의 과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문과를 보기위해서는 반드시 소과를 거쳐야했다
(2)5품이하의 관리를 등용하는데 인사의 공정을 위해 서경권을 행사했다
(3)천거제도도 있었다.
답이 (1)번이라는데 문과를 보기위해서는 소과를 거쳐야하지않나여??반드시라고 해서 틀린건가여??그럼 소과거치지 않고 문과를 보는건 머가 있었죠??문음제(2품이상)를 얘기하는건가여??이것도 아시는분 자세한 설명좀 부탁합니다 ^^
1번은 4번이 답인거 같은데요. 2번은 정원 미달 시에는 사학생도중에서 성균관생도를 보충했었거든요(소과를 합격해야만 입학할 수 있었 던 것이 아니었음) 성균관생들은 문과를 볼 수 있었으니까 1번은 틀린거 같은데요..제 국사 점수 따져봤더니..이렇게가 답이 듯 하네요..정확하진 않구요^^
첫댓글 . 일제의 적극적인 지주 육성 정책에 힘입어 성장한 조선인 지주들은 식민지 지배 체제의 담당자로 편입되어 식민지 지배를 위한 사회적 기반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보다 정확한 근거를 위해서, 이리 옮겨봅니다.)
1번은 4번이 답인거 같은데요. 2번은 정원 미달 시에는 사학생도중에서 성균관생도를 보충했었거든요(소과를 합격해야만 입학할 수 있었 던 것이 아니었음) 성균관생들은 문과를 볼 수 있었으니까 1번은 틀린거 같은데요..제 국사 점수 따져봤더니..이렇게가 답이 듯 하네요..정확하진 않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