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경기 위축 여파…건설기업·비은행권 부실위험 증가 추세
계속된 부동산 시장의 경기 위축에 미분양주택이 점차 쌓이는 등 건설업 영업환경이 악화하자 일부 건설기업의 부실 위험이 커진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은행은 23일 공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이같이 진단하며 건설기업을 비롯, 비은행권 위험 관리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은이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비금융 상장기업 2392개 가운데 건설업 72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상장 건설기업은 작년 1∼3분기 가운데 상환능력, 유동성, 안정성이 악화했다.
한은에 따르면 영업이익만으로 이자 비용 등을 감당하지 못하는 취약계층의 기업 비중은 작년 9월 기준 36.1%로 재작년 말(28.9%)보다 높아졌다.
동일 기간 유동성 우려 기업 비중도 13.3%에서 18.1%로 증가했다. 유동성 우려 기업은 1년 이내에 상환 만기가 돌아오는 유동부채가 1년 이내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자산보다 많은, 유동비율 100% 미만 기업을 뜻한다.
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은 작년 9월 말 107.9%로, 재작년 말(97.4%)보다 올랐다. 단 부채가 자기자본의 200%를 넘는 과다부채기업 비중은 19.4%로 재작년 말(27.7%)보다 하락했다.
건설기업의 중위 부실 위험(기업이 1년 후 부도 상태로 전환될 확률)은 0.613%로 재작년 말(0.603%) 대비 다소 올랐으며, 부실 위험기업(부실위험 5% 초과) 비중은 2.8%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었다.
한은에 따르면 일부 건설기업의 경우 상당 규모의 부동산 PF 관련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어 우발채무가 현실화할 경우 부실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 상장 건설기업 가운데 32개 기업이 PF대출·유동화증권에 관한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자기자본의 두 배를 넘는 PF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었다.
중도금 대출 보증 등 기타 채무보증을 전부 포함하면 44개 기업이 부동산 관련 우발채무를 가지고 있으며 10분의 1 정도는 우발채무 규모가 자기자본의 다섯 배를 넘어섰다.
한은에 따르면 지방 중소 건설기업은 대기업·수도권 소재 중소 건설기업에 비해 한계기업·부실 위험기업 비중이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은에 따르면 비은행권 전반에서 부동산 PF 익스포저 규모가 늘어난 가운데 PF대출 연체율이 증가하는 등 부실 위험이 높아졌다
비은행권 전체의 작년 9월 말 기준 부동산 PF 익스포저 규모는 115조5000억원으로, 대출이 91조2000억원, 유동화증권 채무보증이 24조3000억원에 달한다.
PF대출 상환 리스크도 커졌다. 부동산 PF대출의 자산건전성이 대부분 업권에서 악화했으며, 더욱이 증권사 PF대출 연체율은 재작년 말 3.7%에서 지난 9월 말 8.2%까지 오르기도 했다.
한은이 사업장별 주요 지표를 점검한 결과, 비은행권이 참여한 PF 사업장의 리스크 수준은 2020년 말 이후부터 커진 것으로 풀이됐다.
종합 리스크 평균 점수는 2020년 말 53.7%, 재작년 말 58.0%, 작년 9월 67.0%로 올랐다.
한은이 PF 사업장 부실화에 의한 비은행금융기관 복원력 저하 정도를 점검한 결과, 비은행금융기관 전반의 자본 비율은 규제 비율을 상회하는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글로벌경제신문, 이승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