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리그의 시즌 운영에 대해 질문이 의외로 많이 올라와서...
저도 리그 입문한 지 이제 3년차밖에 안되는 팬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그분들 입장에서 설명하려 합니다..
K리그 클래식의 시즌운영 및, 그것으로 따라오는 결과 등...
(시즌운영 방식)
케이리그 클래식은 12개 팀으로 운영됩니다.
그리고 프리스플릿 시즌-스플릿 시즌으로 나뉘며, 합쳐서 팀당 총 38경기를 치르게 되는데,
이 시즌의 구성을 설명드리면,
-정규(프리스플릿) 시즌: 3~9월경, 팀당 33경기-
정식명칭은 정규시즌이지만,
스플릿라운드 이전에 치르는 시즌이라 하여 '프리스플릿' 시즌이라고도 합니다.
케이리그 클래식은 12개팀이니, 본인 팀을 제외한 11개 팀과 총 3경기씩 하게 되며,
고로 팀당 11*3=33경기를 치르게 되는 거죠.
이 결과를 그대로 안고 '스플릿' 시즌으로 가게 됩니다.
-스플릿시즌: 10~11월경, 팀당 5경기-
'스플릿'은 영어로 '나눈다'는 뜻,
즉 정규시즌의 성적에 따라서 1~6위, 7~12위가 별도의 리그를 치르게 되는 거죠.
맞는 개념은 아니지만 야구 농구 등 미국의 타종목들 보시다가 입문하신 분들은 일종의 '양대리그'를 치른다 생각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학교의 '우열반'을 생각하셔도 될것 같고요(다만 학교 우열반은 바꿀 수 있는 기회가 있는 반면 스플릿은 그 해 중에는 안 바뀌고 마무리된다는 차이)
1~6등팀들은 스플릿 A,
7~12위팀들은 스플릿 B라 해서 별도의 리그를 진행합니다.
이 때는 각 스플릿에 6개 팀이 있는데, 자기팀을 제외한 팀들과 1경기씩을 치르므로,
1*5=5경기를 치릅니다.
위에도 설명드렸지만 정규시즌 성적을 안고 가기는 하되,
스플릿 B팀이 스플릿 A팀보다 순위가 높아져도 스플릿이 바뀌지는 않습니다.
다시 말해 스플릿 A팀은 남은 5경기 다 져도 7위 이하로 떨어질 일 없고,
스플릿 B팀은 남은 5경기 다 이겨도 6위 이상은 못 올라간다는 것이죠.
각 스플릿이 가지는 의미는 좀 다른데,
이는 조금 있다가 의의 분야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시즌성적의 의의)
케이리그 클래식에는 일단 타종목마냥 시즌이 끝난 후 다시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시즌은 따로 없습니다.(있었던 적도 있지만)
그냥 정규리그 33-스플릿리그 5 총 38경기를 거친 순위가 최종순위가 되는 건데요.
일단 우승팀에게는 5억원, 준우승팀에게는 2억원의 상금 및 우승팀-준우승팀이라는 타이틀이 주어집니다.
다만 그러면 우승팀 외에는 아무 의미가 없는 거 아니냐?
물론 아닙니다. 그렇다면 나머지 11개팀에게는 정말 노잼인 리그가 되어 버리겠죠.
오히려 케이리그 클래식이 타종목들보다 더 매력적일 수 있는 분야,
상위팀(포스트시즌 진출팀) 아니면 김빠진 콜라가 되어버릴 수 있는 타종목들의 순위경쟁과 달리, 케이리그는 상하위팀 모두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습니다.
-상위팀: 아시아 챔피언스리그(약칭 '아챔') 진출권-
일단 상위팀은 어찌 되느냐?
바로 아시아 대표 클럽팀으로 인정받아 차기연도 '아시아 챔피언스리그(보통 아챔 또는 ACL이라 합니다. 앞으론 편의상 '아챔'이라 하겠습니다)'에 초대받게 됩니다. 타종목으로 치면 포스트시즌 진출권 획득에 상응하는 위상을 얻게 되는 거죠(딱 맞는 설명은 아닙니다만 쉬운 이해를 위해).
그러면 몇 팀이 초대받을 수 있느냐? 그리고 어떻게하면 초대받을 수 있느냐?
몇팀이 초대받을 수 있냐?의 답부터 말씀드리면 '4팀'입니다.
그럼 어떻게하면 초대받을 수 있느냐?
이건 원칙과 예외가 있는데
<원칙>
시즌 1,2위팀, 그리고 축협주관 토너먼트인 'FA컵' 우승자는(클래식 순위와는 무관, 챌린지팀도 우승하면 진출 가능합니다) 자동적으로 아챔에 나가게 되며, 시즌 3위팀은 '아챔 플레이오프'라 해서 타국 와일드카드 팀과 겨룬 후(보통 2월경) ACL 진출 여부가 결정됩니다.
<예외>
예외 케이스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시즌 1~3위팀과 FA컵 우승팀이 겹치는 경우. 이 때는 차순위 팀(그러니까 4위) 팀에게 '아챔 플레이오프' 진출권이 넘어갑니다.
2) 시즌 1~3위팀 또는 FA컵 우승팀 중 군경팀(상주상무, 아산무궁화) 또는 비프로팀(그러니까 내서널리그 또는 K3팀 등이 FA컵 우승하는 경우를 이야기합니다)이 있을 경우. 이 때에도 역시 차순위팀에게 '아챔 플레이오프' 진출권이 넘어갑니다.
여기서 위와 달리 굳이 4위라 하지 않은 이유는, 이론상으로는 군경 두 팀이 1~3위팀 안에 들고, 비프로팀이 FA컵 우승하는 경우도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자면,
시즌순위
1. 상주상무 2. 아산무궁화 3. 전북현대 4. 울산현대 5. FC서울 6. 전남드래곤즈
그리고 FA컵 우승팀이 내셔널팀인 목포시청일 경우,
상주와 아산이 빠지므로 아챔진출권 계산에 있어서는 전북현대~전남드래곤즈를 각 1~4위로 칩니다.
그런데 FA컵 우승팀인 목포시청 역시 아챔 자격이 없으므로, 이 경우에는
아챔 진출: 전북현대 울산현대 FC서울
아플 진출: 전남드래곤즈
가 되는 것이죠.
한마디로 이론상 6위까지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물론 아산은 지금 챌린지팀이지만 이론설명을 위해 클래식팀이라 간주했습니다)
참고로 저 경우에도 아챔을 못 나갈 뿐 상주상무, 아산무궁화의 시즌 우승-준우승까지 박탈되는 것은 아닙니다.
3) 심판매수 등 중대한 해악으로 인한 진출권 박탈.
다만 이 경우는 당연박탈은 아니고 아챔을 관장하는 AFC의 재결이 필요합니다.
지난해 전북은 2위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심판매수로 인하여 올해 아챔을 박탈당한 케이스가 있죠.
-하위팀: 강등을 피하기 위한 투쟁(승강제)-
그러면 하위권팀들은 어찌 되느냐?
케이리그에는 국내 타종목에는 없는 1부-2부리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부리그는 클래식, 2부리그는 챌린지라 하는데요.
이 글은 클래식만 다루는 글이니 챌린지에 대한 설명은 필요 부분만 하겠으며, 초심자들을 위한 글이므로 클래식, 챌린지 대신 1부, 2부리그라 쓰겠습니다.
그러면 몇 팀이, 그리고 어떤 팀이 올라가고 내려가느냐?
일단 두 팀이 내려갑니다.
자세히 설명드리면,
케이리그 1부리그 꼴찌, 즉 12위팀은 무조건 그 다음시즌 2부리그로 가게 됩니다.
반면 케이리그 2부리그 1위팀은 무조건 그 다음시즌 1부리그로 가게 됩니다(물론 작년같은 예외적인 케이스도 있기는 했지만 설명이 너무 길어지니 여기선 생략하겠습니다)
그리고 케이리그 1부리그 11위팀은 '2부리그 플레이오프'를 통과한 팀과 홈앤 어웨이 2경기를 치른 후, 거기서 이기면 잔류하게 되고, 지면 2부리그 플레이오프팀과 자리를 바꾸게 됩니다.
여기까지 읽어보시고 감이 오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스플릿 A는 리그 우승 및 타종목의 포스트시즌의 위상을 가진 아챔 진출권,
스플릿 B는 1부리그에 남기 위한
싸움을 하게 되는 것이죠.
(스플릿의 맹점)
물론 스플릿시스템도 완벽한 시스템은 아니라,
6-7위 승점차가 커서 A-B스플릿이 빨리 갈려버리는 경우(올해가 그런 케이스),
1-2위 승차가 너무 많이 나서 우승결정이 빨리 나버리는 경우(2014,15년이 그런 케이스)
3-4위 또는 4-5위 승점차가 커서 아챔 진출팀이 뻔해져버린 케이스(아직까지는 없음),
10위와 11-12위가 스플릿 들어가기도 전에 승점이 너무 차이나서 강등싸움이 의미없게 된 케이스(2015년이 그런 케이스)는 노잼이 될 우려도 있죠.
(마치며)
어쨌든 간단하게 쓰려 했는데,
제가 정리능력이 떨어져서 생각보다 길어지게 됐네요.
그래도 저 역시 초보입장에서 써본 설명이니,
케이리그를 즐기시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들 즐케 하시길...
아 다른 베테랑 유저분들의 보충설명도 환영입니다
첫댓글 https://youtu.be/F_-HrqOHj90
PLAY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정독했네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아플은 '아챔 플레이오프'를 줄인 겁니다
정리 ㅎㄷㄷ하네요
와 이런거 너무 좋아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프리스플릿은 홈 16 원정 17, 또는 홈 17 원정 16이 되게 합니다.. 스플릿시즌의 경우는 홈-원정을 총 19-19가 되게 맞추는 게 원칙이지만 하필이면 같은 스플릿팀들과의 프리스플릿경기가 홈 또는 원정에 몰빵되어버려서 20-18이 나오는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2015 제주가 대표적인 예)
@시연 프리스플릿에서는 무조건 16-17 또는 17-16이 되게 짜지만, 스플릿라운드까지 합하면 물론 대부분은 19-19로 끝나지만(홈이 17이었던 구단은 원정, 원정이 17이었던 구단은 홈을 더 많이 배정하는 식으로) 말씀처럼 손해보는 구단이 가끔 나오기도 합니다...
저번에 아챔플옵진출 관련해서 이런질문 한적있었는데 한방에 정리되네요!!! 굳입니다 굳굳굳
늦게 봤지만 감사합니다. 혼란스러웠는데 좋은 정리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