룸 메이드(Room Maid)
이를 다른 말로 챔버 메이드(chamber maid)라고도 부른다. 글자 그대로 룸 메이드는 여자의 직종으로서 대개 35세에서 40세까지의 여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강하고 정직 한사람이어야 하겠다. 아는 주로 객실의 청소와 관리를 담당하나 소규모의 호텔에서는 욕실과 공유지역에까지 청소 관리를 담당하여야 한다.
룸 메이드는 신속한 동작으로 작업에 임하여야 할 것이며, 객실을 재판매하여 판매율의 회전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빠른 동작으로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 보통 이들 의 작업량을 1일 8시간으로 표준 하여 12실내지 14실 정도이면 가장 합리적인 배정일 것이다.
객실청소는 무엇보다는 방금 출숙한 방(check-out room)을 우선적으로 하고, 다음에 손님이 사용 중인 방(bed-used room)을 청소한 후(공실(vacant room)을 다시 손질하여 판매에 차질이 없도록 할 것이다. 손님이 초과 투숙(over booking)되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겠지만, 빈 객실이 남아돌아 갈 경우에는 객실을 회전시켜 사용토록 하여야만 한다. 왜냐하면 한 객실을 계속 쓰지 않는다면 객실의 감가상각이 가중된다는 사실이다. 룸 메이드가 청소를 시작하면서 끝날 때까지의 작업상의 주의할 점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청소도구 및 객실용품의 준비
(2) 창문을 열고 객실비품 및 소모품의 점검과 파악․보고
(3) 분실물의 확인과 보고
(4) 리닌(linen)의 교체 및 고객의 세탁물(laundry) 수합
(5) 청소 및 정리(bed making 포함)
(6) 용품조달
(7) 완전정리 후 프런트에 보고(또는 하우스 키퍼)
<<객실의 청소>>
룸 메이드는 정확한 시간에 출근하여 옷을 갈아입고 하우스 키퍼에게 작업의 분배와 그날의 특수한 유의할 점에 대해서 지시받아 작업도구를 갖춘다.
1 청소기구의 준비
객실청소 기구는 값비싸고 다루기가 어려운 것들이 있으므로, 이를 취급하는데 잘 훈련된 종업원이 주의깊게 다루지 않으면 아니되며, 객실 청소용 장비는 잘 보관되어야 한다, 그리고 기계의 사용은 내용을 잘 알고 간단한 관리를 할 줄 알아야 하겠고, 반드시 책임자의 지시에 응하여야 한다. 그리고 장비 재고명세의 구입일자, 구입처, 부속품과 안내서를 포함하여 잘 보관되어야 한다. 수선한 날짜와 수선비 역시 기재해야 하는데, 이것은 그 기계가 제대로 성능을 발휘했는지 그리고 재 구입을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1)기계장비(Machine)
객실 기계장비에는 다른 것보다 Floor Machine의 숫자가 휠씬 많다. 객실용으로는 주로 Tank Vacuum Cleaner를 사용하고, 복도 같은 곳에는 Upright Vacuum Cleaner 같은 카페트 청소기(sweeping machine, wall washer, shampooing machine)등의 여러 가지가 있다.
2)재료장비(Material Equipment)
메이드나 하우스 맨이 모든 청소 용구를 싣고 끌고 다닐 수 있는 수레(cart)가 있다. 여기에는 많은 짐이 실리므로 크고 가볍고 잘 구르는 것이어야 한다. 요즈음에는 카트에 모든 청소용구는 물론, 크리닝 백(cleaning bag)이 달려 많은 짐을 싣고 다닐 수 있도록 다목적용으로 고안된 것이 사용하기에 편리할 것이다. 또한 폐물처리 장비가 따로 갖춰지지 않으면 아니 된다.
3) 청소용구
대개 객실 청소는 기계와 화학약픔을 사용하게 되므로 빗자루(broom)와 마포(map)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양동이 같은 것은 필요로 한다. 그 이외에도 가구를 닦을 수 있는 젖은 걸레와 마른 걸레, 그리고 욕실용의 걸레(cloth)와 브러쉬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4) 객실용품
이는 앞에서도 설명되었듯이 세탁한 린넨과 타월을 비롯하여 비누, 휴지, 런드리 백, 휴지통, 재떨이, 구두 및 옷솔, 문구로, 슬리퍼, 성냥, 각종 선전물 등을 점검하여 더러워진 것은 교체하고 모자라는 것은 보충하여야 한다.
2 청소의 방법
1)실내에 들어갈 때
객실손님이 들을 수 있도록 반드시 노크(knock)를 하여 양해를 얻고 들어간다. 만약 출입금지(Do not disturb)의 표찰이 걸려 있을 경우에는 노크하지 않고 후에 들어간다. 객실에 들어가면 문을 열어 도어 스톱(door stop)장치로 고정시키고, 인디케이터(indicator)로 작업중임을 키퍼에게 알린다.
2)모든 전등을 켜 놓는다.
먼저 끊어진 전구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 때에는 보고하고, 역시 파손된 가구가 없나 점검 하여 보고한다.
3)창문과 커튼을 활짝 열어 놓고 실내를 다시 살펴본다.
출숙(check out)한 객실에는 분실물의 유무를 확인하고 잃어버린 물건이 있다면 즉시 관계자에게 보고하고 찾아주도록 노력한다. 잠시 온도조절기(thermostat)를 끄고 실내공기를 환기시킨다. 물론 나갈 때는 창문을 닫고 실내온도를 복귀시킨다.
4)고객의 의복 등의 정리
침대 위에 흩어진 옷은 정리하여 옷장 속에 넣고, 문구류의 정리, 쓰레기통 및 재떨이는 화재의 위험을 점검한 후 처리한다.
5)더러워진 린넨의 관리
고객이 사용한 시트, 타월, 모포 및 베갯잇은 세탁물 함(laundry chute)에 넣어 세탁소에 보내고 새 것으로 교체한다. 린넨을 걷을 때에는 털어서 분실물이 없나 살펴보고 있을 때는 보고․처리한다.
6) 바닥 및 가구의 청소
실내 청소는 가능한 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청소는 될 수 있 는 한 위에서 밑으로, 시계 도는 방향으로 질서 있게 행한다. 카페트는 진공소제기(vacuum cleaner)를 사용하여 먼지를 제거시키고 특별히 더러워진 오점들은 화학제품으로 제거한다. 가구는 마른 걸레와 왁스로 사용하여 닦는다.
7)쓰레기통의 처리
쓰레기통은 신문지를 깔아 놓고 쏟아 혹 귀중한 물건이 없나 보고, 면도날은 따로 처리한다. 휴지들은 처리한 후 통을 깨끗이 닦아 제자리에 놓는다.
8)침대꾸미기
침대꾸미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으로, 즉 시계 도는 방향으로 작업을 한다던가, 밑에서 위로 해나가는 방법 등이 있을 것이다.
9)욕실의 청소
대규모의 호텔에는 욕실 청소만을 전담하는 배스 메이드(bath maid)가 독립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룸 메이드가 객실과 욕실을 함께 청소한다. 욕실은 특히 물과 습기가 항상 차 있으므로 위생처리와 함께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세척제의 선택은 하우스 키퍼의 지시에 응하고, 특별한 고장이나 하수구의 오물처리는 관계 부서에 연락하여 곧 수리토록 협조를 의뢰한다.
10)정리정돈
청소가 끝나면 고객의 물건은 잘 정돈하여 제자리에 넣고, 객실 비품과 용품의 정리가 무엇 보다도 중요하다. 파손된 것은 곧 교체하여 놓고, 모자라는 것은 즉시 보충하여 놓는다.
11)최종점검
객실을 나오기 전에 창문을 닫고 커튼을 바르게 치고 온도조절 장치를 실내 온도에 맞춰놓고 최종적으로 객실을 살펴보고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