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호지
작가 ; 시내암이 쓰고, 나관중이 완성한 소설
초판 ; 명나라 때
송나라의 시내암이 쓰고(1296?-1370) 명의 나관중이 손질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이야기의 바탕은 송나라의 역사에 바탕을 두었으나 재미있는 이야기를 덧붙여서 허구로 구성함으로 소설이 되었다.
필치는 거칠지만, 풍부한 색채와 어휘, 발랄한 표현으로 계급과 유형이 상이한 인물들을 그려내고, 이들 인물의 생활발전을 통하여 봉건통치 집단의 암흑성과 서민의 비참한 생활, 용감한 투쟁 사상 ·감정 등을 나타내었다. 《수호지》의 탁월한 인물묘사의 기교와 표현예술은 중국소설 중에서도 굴지의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수호지》의 줄거리는, 송(宋)·원(元) 무렵에 많은 민중 ·예능인 ·문인 등의 손으로 창조되었던 것을 시내암이 편집한 것인데, 송대의 《선화유사(宣和遺事)》에는 수호의 36명의 영웅 이야기가 있고, 《계신잡지(癸辛雜識)》에 의하면 송말의 공성여(벅聖與)가 36명의 화찬(畵讚)을 만들었다 하며, 《곡해총목제요(曲海總目提要)》에 의하면 송나라의 화가 이숭(李嵩)이 화상을 그렸다 한다.
이 작품은 12세기 초에 산적 송강과 그를 따르는 유협들의 이야기를 바탕에 두었다. 다소 느슨한 구성이지만 이야기는 이야기 꾼들의 입을 거쳐서 내려오는 동안에 새로운 사실들이 덧붙여서 16세기가 돠어야 오늘의 이야기로 완성되었다. 그 중에 가장 오래된 판본은 120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편찬 시기는 16세기 초로 보고 있다. 이런 이유로 텍스트가 전반적으로 일관성이 없는 약점을 지녔다. 정확한 작자를 말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 소설의 특징이라면 탁월한 인물 묘사와 표현 기법, 소설을 이끌고 나가는 기교가 뛰어나다
무능하고 나약한 군주로 인하여 백성은 불안한 하루하루를 보낸다. 조정의 부패와 탐관오리의 탐욕에 희생당한 호걸이 양산박에 모여든다. 수호지의 전반부에 108명의 협객이 양산박에 모여서 간신배의 농간으로 길을 잃은 황제에게 충성을 다진다. 부자의 재물을 강탈하여 가난한 사람에게 나누어 주는 일도 한다. 동지 사이에는 의리로 맺어져 있다. 이런 이야기는 민중들에게 통쾌감을 선사한다. 자기들을 핍박하는 관리를 쳐부수므로 대리만족을 느낀다.
후반부에는 황제의 사면을 받아서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이 펼쳐진다. 진압을 하는 동안에 주인공은 한 명, 한 명 사라진다. 전통문학에서는 담지 못하는 상상력과 중국식 과장이 심하지만 익살스런 표현으로 오락성을 제공한다.
호걸들의 영웅적인 기개 뿐 아니라 인간적인 모순도 그리고 있어서 인간 세상의 온갖 행태를 보여주는 창고이다.
현대의 기준으로 보면 지나치게 폭력적이고, 여성혐오적인 묘사를 한다. 그러나 다차원적인 인물 묘사를 하고, 생생하고 다채로운 언어를 구사하여 독자로 하여금 상상의 세계로 여행하게 한다.
첫댓글 수호지가 후대에 끼친 영향은 크다. 명, 청의 희곡 중에는 수호지에서 소재를 구한 것이 많다. 금병매는 수호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만들었다. ‘설악전전’에 나오는 일부의 인물은 수호지 영웅의 후손이다 (중국 텔레비전 연속극에 무송전이 나온다.)
서유기가 신마(神魔)를 다루었고, ‘외림유사’는 지식 계층을 다루었다. 홍루몽은 명문의 자제를 묘사하였다. 수호지는 신분이 낮은 정의의 협객, 지주 출신의 인물, 봉건 관료 출신 등 다양한 인물을 다루었다. 인물의 이미지가 다채롭다.
1919년 이후로는 농민 반란을 찬미하는 소재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는 권장 도서로 추천하였다. 특히 마오쩌동이 가장 좋아하는 책 중의 하나라고 하여 인기를 모았다.
배경 시대는 휘종 시대이다. 휘종은 북송의 마지막 황제로, 금에게 밀려서 남으로 쫓겨 온 황제이다. 시대가 매우 혼란하여 반란이 일어났고, 휘종은 예술활동과 유흥에 빠져서 좋은 황제는 결코 아니었다. 이런 시대 배경을 간신 때문이라고 설정하여 쓴 소설이다.
송강이 탐관오리를 미워하면서 사면을 바라고, 황제를 우러러 보는 충성심은 시대상황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이기도 하다.
수호지의 영웅들은 사정이야 어떠하든 간에 무고한 양민을 학살하는 등 목적을 위해서 잔혹
한 짓도 서슴치 않는다.
주인공 송강도 인정많고 의리는 지키지만 나약하고 고지식하여 지도자로서는 글쎄. 유비도 그렇고, 삼장법사도 그렇고, 중국 소설의 영웅 면모는 같은 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