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밀치고 동료끼리 다독이며, 벌겋게 익은 얼굴로 포효한다. 최초의 여자 축구 예능프로그램 SBS <골 때리는 그녀들>이 예능적인 재미와 다채로운 쾌감을 선사하며 인기를 모으고 있다. SBS 제공
가만히 있어도 비지땀이 쏟아진다. 이럴 때는 월드스타 비가 아니더라도 ‘태양을 피하는 방법’ 정도는 숙지해야 할 것 같다. 특히나 여자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노화와 그을음의 원인인 자외선을 차단해야 한다. 그런데 누구보다 ‘비주얼’에 민감할 여자 연예인들이 그늘 한 점 없는 뙤약볕 아래에서 종횡무진 달린다. 서로 밀치고, 동료끼리 다독이며, 벌겋게 익은 얼굴로 포효한다. SBS 수요 예능 <골 때리는 그녀들>의 한 장면이다.
설 특집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편성되어 인기를 끌었던 <골 때리는 그녀들>이 정규로 편성되었다. 최초의 여자축구 예능이다. FC국대패밀리(국가대표 선수 출신이거나 축구 선수의 가족으로 구성), FC개벤져스(개그우먼으로 구성), FC구척장신(모델들로 구성), FC 불나방(파일럿 당시 <불타는 청춘> 출연자 중심) 4개였던 팀은 FC월드클라쓰(외국인 방송인으로 구성), FC액셔니스타(배우들로 구성) 두 구단이 신설되어 총 6개로 늘어났다. 파일럿 방송 당시 “남자축구를 보는 줄 알았다” “(헤딩이) 핀 꽂은 자리에 맞았다” 같은 해설과 흥밋거리를 보는 듯한 태도를 두고 황진미 대중문화평론가는 “무례한 제작진이 만든 ‘여혐사회 축소판’”이라고 비판했다.
FC국대패밀리는 파일럿 방송 당시 유니폼에 ‘○○○의 아내’ 같은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 정규 방송에서는 오롯이 선수의 이름과 등번호만 남겼다. FC국대패밀리가 입장할 때 뜨는 소개 자막은 그래서 상징적이다. “그 누구를 대신해서가 아니라 나를 대표하는 나만의 축구.” 출연자들은 축구를 통해 새로운 자신과 만난다. 여전히 FC월드클라쓰의 외국인 선수와 최진철 감독의 관계를 ‘딸’과 ‘대디’로 프레이밍하는 등 고질적인 한국 예능의 병폐가 있다. 그러나 화면 가득 넘실대는 선수들의 파이팅은 몇몇 탐탁잖은 요소를 간단히 파묻어버릴 만큼 매력적이다.
서로 밀치고 동료끼리 다독이며, 벌겋게 익은 얼굴로 포효한다. 최초의 여자 축구 예능프로그램 SBS <골 때리는 그녀들>이 예능적인 재미와 다채로운 쾌감을 선사하며 인기를 모으고 있다. SBS 제공
여성 스포츠를 향한 갈망이 높아진 가운데, <골 때리는 그녀들>은 예능적인 재미와 다채로운 쾌감을 선사한다. 각 선수의 서사와 경기 내용을 교차해서 보여주는 편집이나, 파일럿 방송에서 우승한 FC불나방을 디펜딩 챔피언으로 설정하고 꼴찌였던 FC구척장신의 성장을 조명하는 구성은 축구를 모르는 시청자도 쉽게 끌어당긴다.FC개벤져스의 김민경은 몸집이 큰 여성에게 지금껏 주어지지 않았던 강점을 아낌없이 발휘하며 촘촘한 수비를 타고난 피지컬로 뚫어버린다. 아무도 억지로 웃지 않고 마음껏 인상 쓰며, 분해서 울음을 터뜨린다. 움츠러들지 않는 몸의 질주를 보는 시각적 쾌감이 어마어마하다. 여성들이 몸을 부대끼고 경쟁하고 또 단합하는 장면이 그동안 미디어에서 얼마나 드물었는지 새삼 실감한다. 한혜진은 <골 때리는 그녀들> 제작발표회에서 “평소 각개전투식으로 활동하던 모델들이 서로의 이름을 연호하고, 화내고, 원망하는 모습을 보며 신선한 충격에 빠졌다”고 말했다. 신봉선은 7일 방송된 SBS 파워FM <두 시 탈출 컬투쇼>에서 “축구하시면 사고방식이 달라진다. 아이들도 시켜야 한다”며 축구를 추천했다. 특히 “왜 이 좋은 걸 여자아이들은 안 했는지 모르겠다”고 말할 때, 지금껏 ‘이 좋은 것’(비단 축구만이 아닌)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배제당해온 여성들은 그 진한 안타까움을 본능적으로 알아챌 수 있었다.
어설프지만 성장의 열정과 파이팅 여성 스포츠 갈망 채워 쾌감 선사
‘원래 안 좋아한다’는 편견의 문턱 어릴 때부터 운동 접할 기회 뺏어
‘축구하면 사고방식이 달라진다’ ‘골 때리는’ 그 선수들이 즐길수록 특별함이 일상의 모습으로 바뀔 것
.
.
.
중략
.
.
.
생각해보면 어렸을 때 드리블도 배웠다. 그런데 운동장에서 축구를 할 만한 공간을 차지하고 인원을 모으기가 쉽지 않았다. 남자아이들과 섞여서 축구를 할 만큼 튀고 싶지도 않았다. 굳이…? 소설 원작의 드라마 <보건교사 안은영>(넷플릭스, 2020)에서 사고를 일으키는 여학생 허완수(심달기)의 캐릭터를 선명하게 드러내는 장면 중 하나가 교복 치마를 입은 채 남자아이들과 뒤섞여 축구를 하는 것이다. 남자아이는 고개만 돌려도 공 찰 기회가 널렸지만, 여자아이는 ‘남다른’ 혹은 ‘별난’ 애 정도는 되어야 축구를 한다. ‘나’를 환영하지 않는 운동장에서, 여자아이는 한쪽에 앉아 있거나 피구나 하면서(그놈의 피구피구피구! 피구왕 통키로부터 ‘뒷광고’라도 받은 것인지?!) 체육시간을 보내게 된다. 모두가 균질한 교육을 받아야 하는 공교육 현장에서, “원래 안 좋아한다”는 정당화는 얼마나 비겁하고 부당한가? 여학생 대상으로 교육 성실도를 따진다면, 전국의 많은 체육교사는 근무 태만 의혹을 피하지 못할 것이다.
첫댓글 나도 축구한지 4개월짼데 진짜 너무 재밌음 ㅠㅠ 이 재밌는걸 남자놈들만 했다는게 너무 억울해
나도 축구해보니까 이렇게 재밌는걸 남자들만 해왔다고??????? 왜 여자들은 경험조차 해보지 못했을까
아 운동장은 남학생들의 전유물이었으니까^^ 이 사회가 개탄스러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