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나라 되찾은 광복절에 펼쳐진 기막힌 풍경들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광복회 등 주최로 열린 광복절 제79주년 기념식에서 이종찬 광복회장이 입장하며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등 야권 지도부와 인사하고 있다. 광복회는 김형석 신임 독립기념관장이 '친일 뉴라이트 인사'라고 반발하면서 정부 주최 광복절 경축식에 불참했다. 한편 같은 시각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대강당에선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공식 광복절 경축식이 열렸다. /이덕훈 기자 올해 8·15 광복절 경축식이 정부와 광복회 두 쪽으로 갈라져 따로 치러졌다. 해방 후 79년 동안 처음 있는 일이다. 신임 독립기념관장 인사에 ‘친일’이라고 반발해 온 광복회는 정부 주최 경축식에 참석하지 않고 별도 기념행사를 열었다. 여기엔 민주당 지도부 등 야권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고, “윤석열 대통령 퇴진” 요구 등이 나왔다. 이념·정파 구분 없이 국민 통합과 경축의 장이었던 광복절이 난데없는 친일 공방으로 얼룩지며 국론 분열로 이어지는 기막힌 상황이 됐다. 윤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통일 독트린’을 발표하며 진정한 광복을 향해 나아가자고 했다. 같은 시각 이종찬 광복회장은 “친일 사관에 물든 저열한 역사 인식이 판치고, 독립운동을 폄훼하며 건국절을 들먹이는 이들이 보수를 참칭하고 있다”고 했다. 일부 참석자는 윤 대통령을 향해 “물러나라”고 했고 “타도 윤석열” 구호도 나왔다. 광복절 경축이라는 본연의 의미가 사라지고 정치적 색채의 집회로 변질돼 버렸다. 광복회는 당초 ‘정치인 참석 불가’라고 했지만 야당 지도부를 내빈으로 맞아 맨 앞줄에 앉혔다. 민주당은 “정신적 내선일체 윤 정권의 역사 쿠데타” “광복절을 친일 부활절로 만든 최악의 매국 정권”이라며 범국민 저항운동에 나서겠다고 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는 “윤 대통령은 조선총독부 10대 총독이자 왕초 밀정”이라며 막말에 가까운 비난을 쏟아냈다. 이종찬 회장은 ‘건국절 추진’을 문제 삼았지만 윤 대통령은 거듭 추진 의사가 없다고 했다. 광복회는 ‘이승만을 건국 대통령이라고 하면 친일파’라고 했다. 하지만 상하이 임시정부와 대한민국 정부의 초대 대통령을 지내고 ‘뼛속까지 반일’이었던 이승만을 어떻게 친일로 몰 수 있나. 이 회장이 독립기념관장으로 민 인사가 탈락하자 이러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대통령실과 정부는 인사 논란을 조기에 진화하지 못하고 끌려다니다 사태를 더욱 키웠다. 윤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현 야권과 좌파 진영을 겨냥, “허위 선동과 사이비 논리로 국민을 현혹해 자유 사회의 가치와 질서를 부수는 반자유 세력과 반통일 세력에 휘둘리면 안 된다”고 했다. 상대방 비판보다는 통합의 메시지를 내는 것이 나았을 것이다. 해방된 지 8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는데 아직도 ‘친일’ 프레임이 판치는 현실은 참담하다. 문재인 정부 때 김원웅 당시 광복회장은 “대한민국은 반민족 친일”이라고 매도해 광복절을 두 쪽 냈고, 문 당시 대통령은 이를 방조하며 박수까지 쳤다. 그러던 민주당이 또다시 ‘친일’ 이슈를 들고나와 정권 공격의 소재로 쓰고 광복절을 망치고 있다. 나라가 거꾸로 가고 있다. 우리는 작년 1인당 국민소득이 일본을 넘어섰고, 올 상반기 수출액은 일본 턱밑까지 올라갔다. 제조업, 영화, 엔터테인먼트 등 많은 분야에서 일본을 따라잡았거나 추월한 나라가 됐다. 일본 편에 붙어 나라를 팔아먹고 국익을 훼손하는 매국 친일파가 지금 대한민국에 어디 있단 말인가. 있지도 않은 친일파 몰이로 정치적 이득을 취하려는 세력만 존재할 뿐이다.
손상대 손상대 TV 대표
80년간 암약한 친중 좌파/간첩, 이종찬
중국간첩, 공산당 이종찬, 중국으로 추방하라
1. 이종찬은, 중국 상해에서 태어 났고, 조부인 이회영/이시영과 집안은 대부분 좌파 공산주의자 였고, 1919년 세워져 이종찬이 자란 상해 임시정부 또한 김구를 비롯해 구성원 대부분 공산주의자들이 장악하고 있었으며,
이종찬은 1945년 광복과 함께 김구등 중국 상해 공산주의 좌파들 틈에 끼여 대한민국에 들어왔고 1960년 육사에 입학하였고 1980년대초 전두환정권 출범에 참여하였다.
전두환/노태우/민정당 우파정권에서 온갖 권력과 단맛을 다 보고 수많은 좌파들의 처벌을 못하게 도움을 주었고 1997년 김대중과 손을 잡고 좌파 간첩 본색을 드러낸뒤 김대중정부 초대 국정원장을 하며 대한민국 북파 정보원들을 전부 북한에 처형당하게 북한에 정보를 주어 휴민트 3000명을 몰살시켰다 하며
이후 대한민국체제 전복을 위해서 좌파로서 살아오다
윤석열대통령과 개인적 연분으로 광복회장을 하고 대한민국에 좌파공작하기 위해 광복회를 기반으로 지속적 도발을 하고 있어,
국민들은 이번 기회에 들고일어나 이종찬 비리들을 전부 조사/폭로하고 이종찬 가족의 전재산을 몰수하고 간첩/이적죄/내란죄가 드러나면 사형에 처하고 기족들은 전부 중국이나 북한 아오지탄광으로 추방하라.
2. 이종찬 외모를 보면 작고 동그랗고 찌그러진 얼굴과 작은 키는 남방계 중국인들의 대표적 외모 특징중 하나로
언굴이 긴 이종찬 조부 이회영/이시영이나 이종찬 집안의 다른 사람들과도 확연히 다른 외모를 갖고 있어
이종찬이 진짜 한국핏줄인지 부터 의심이 든다. 한국이고 중국이고 모두 일본침략에 조선도 청나라도 망하고 이종찬은 중국에 태어났는데,
이자가 그동안 대한민국에서 살았고 했던 인생 자체가 트로이목마의 간첩 같은 생각이 든다.
2-1 중국서 태어나서 공산주의자들 사이에 자라나 대한민국에 입국하였고 그동안 전두환/노태우/육사/대한민국 군대에 칼을 꼽고
김대중/민주당/좌파들과 함께 대한민국을 공산당 좌파화 하기 위해 살아왔던 것은 모두 알고 있으며,
그런데 88살 나이에 광복회장이 되어 대한민국 건국절까지 북한/중공 공산당 입장을 대변하고 대한민국 역사/체제/뿌리를 흔들려는 괴력을 발휘하고 있어,
국민들이 이종찬을 다시 세밀히 살펴 볼 것을 제안한다. 집안 사람들과 유전자검사도 해봐야 한다
2-2 ★이종찬 외모, 남방계 중국인 같지 않습니까? 중국 어딘가에서 주어 온 중국인인지 광복후 입국 때 중공과 공산당이 심어 논 것인지, 조사해 봐야합니다. 중국 어디/누구 손에 태어 낳고, 그리고 출생신고등
★이종찬 살아온 삶, 대한민국과 국민들을 배신한 삶, 중국/북한/공산당 간첩 같지 않습니까?
★이종찬 사고방식,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사고 방식인가요, 아니면 말도안되는 건국일 억지로 1919년 상해임시정부를 정통으로 정하여 중국이 공작하는 뿌리부터 대한민국의 친중 종속국가로 만들려는 빌미를 만들어 주려는,
중공/공산당 간첩이 아니면 하기 힘든 간첩/공산당/중국인 언행 같은가요?
3. 외모, 출생 의혹, 삶, 사고방식, 건국절 논쟁,
4. 지금 대한민국에 중국산 신분세탁해 수십년간 암약해온 중국 간첩이 대한민국과 국민들을 상대로, 대한민국 건국일을 중국산/공산당 원조로 바꾸자고 깽판을 치고 있습니다.
5. 윤석열 대통령께서는 조속히 모든 수단 동원해 정리하십시요, 대한민국에 그렇게 인재가 없어 대한민국 부정하는 88세 공산당을 회장으로 앉혔는가요?
이참에 말많은 광복회 해체하고, 가짜 유공자/공산당 유공자 많은, 광복회 유공자 대우도 폐지도 고려합시다.
6. 윤석열 대통령께서는 이종찬부자/문죄인 좌파들과의 인연이 있다면 이제는 정리하시고,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남은 3년 임해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7. 대한민국 국민/단체들은 중국 공산당 간첩, 중국산 빨갱이 원조
이종찬을 이번 기회에 퇴출시키고 공개처형하거나 중국/북한 탄광으로 가족까지 추방합시다.
8. 건국절,
대한민국 건국은 1945년 광복후 1948년 이승만 정부에서 시작됨.
그런데 이종찬 말처럼 1919년이 되면 대한민국 정부가 1919년 중국 상해 공산당부터 시작된 것으로, 중국간첩/북한간첩/빨갱이/공산당 아니면 감히 이런 주장을 할 수 없음.
좀더 생각하면 북한은 소련 공산당, 남한은 미국/서방 민주주의체제하에 독립국가를 세운 것까지, 남북한 모두 공산국가다라고 억지 주장/궤변을 늘어 놓고 있는 것이다.
9. 이래도 이종찬이 중국간첩, 공산당 간첩 아닌가요?
생김새는 한국 사람, 이씨 집안 사람 같은가요?
아니면 광복후 중국공산당이 양자로 집어 넣었을까요?
2024. 8. 14
▲ 이종찬 광복회장이 12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관에서 열린 제79주년 광복절 기념 독립유공자 후손 대한민국 국적증서 수여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