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족(九族),삼족이란
육 친(六親)
육친이란 여섯 종의 친척이다. 육친에 관한 말을 역대로 같지 않았다.
1. 육친은 부자(父子), 형제(兄弟), 부부(夫婦)
2. 부모(父母), 형제(兄弟), 처자(妻子)
3. 부자(父子), 형제(兄弟), 종부형제(從父兄弟), 종조형제(從祖兄弟),
종증조부형제(從曾祖父兄弟), 동족형제(同族兄弟)
4. 조부모, 외조부모, 부모, 자매, 처형제의 자녀, 종부모형제의 자녀,
5. 현대의 보편적인 개념은 부모형제처자(父母兄弟妻子)이다.
구족(九族)이란 무엇인가?
봉건사회에서 잔혹한 연좌제를 실시했는데 일인이 범죄를 지으면 - 특히 큰 범죄일 때 - 왕왕 구족을 멸했다.
구족이 무엇인지는 여러 가지 관점이 있다.
1. 현손, 증손, 손자, 자, 자신, 부, 조부, 증조부, 고조부이다.
2. 부족사(父族四) - 고모의 자, 자매의 자(조카), 딸의 자(외손), 부모형제자매
모족삼(母族三) - 모의 부(외조부), 모의 모(외조모), 모의형제(이모, 외숙)
처족이(妻族二) - 장인, 장모
육친(六親) 부(父)·모(母)·형(兄)·제(弟)·처(妻)·자(子)의 총칭. 육척(六戚).
구족(九族)
①고조·증조·조부·부·자기·아들·손자·증손·현손의 직계친(直系親).
②외조부, 외조모, 이모의 자녀, 장인, 장모, 고모의 자녀, 자매의 자녀, 딸의 자녀 및 자기 동족
역적은 삼족을 멸했다는데
삼족이란 친가, 외가, 처가로 팔촌까지를 말합니다
중국에서는 구족을 멸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만,
실제로는 중국사에도 삼족을 멸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더더욱이 불가능합니다.
조선시대에도 중앙정계에서 어느 정도 활동하는 가문이면 인척관계로 얽히지 않은 집이 없습니다. 흔히 사림파나 지방 사족 출신들은 중소지주에다 빽도 없는 인물들로 훈구파와 대립했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내막을 들춰 보면 그렇지도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혼인관계가 출세에 대단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래서 지방사족의 출세경로를 살펴보면 실력으로 과거에 급제한다고 되는 게 아니고,
지방에서 실력을 키우면 중앙의 명문가와 혼인관계를 맺고,
이런 관계를 바탕으로 서울로 진출하고, 다시 잘난 자식을 두어 과거에 급제하고,
이를 발판으로 다시 명문가와 혼인관계를 맺으면서 성장해 갑니다.
그러니 삼족을 팔촌까지 멸했다간 한양에 사는 지배층을 몰살해야 할 것입니다.
중국에서는 가끔 숙청을 하거나 역적으로 몰아세울 때 일가의 가족과 노비까지 다 죽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중국에는 한 집에 수 백명이 사는 경우도 있어서 대학살이 일어나지요.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노비는 고사하고, 직계가족을 죽이는 경우도 극히 드뭅니다. 대역죄인일 경우 맏아들 정도나 연좌시키지요. 나머지 가족과 노비는 공신가에 분배해서 나누어 가집니다.
생명을 소중히 여겼기 때문인지 아주 실리적이었기 때문인지는 여러 분이 판단할 문제지만 더욱 근본적인 원인은 혼인관계, 친족관계로 워낙 얽혀 있었고, 이런 인연이 개인의 출세에 늘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