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 전주 외 모두 '소멸 위험'
2070년 인구 3800만명 그칠 듯
저출생 여파로 우리나라 인구는 최근 2년 연속 감소했다. 총인구는 2021년 사상 처음으로 줄었다. 지난해는 5169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 6000명(0.1%) 감소했다. 통계청은 2070년 우리나라 인구가 3800만명까지 쪼그라들 것으로 보고 있다.
인구 감소 충격은 지방이 더 심각하다. 2000년만 해도 전국 기초자치단체(시,군,자치구) 228곳 가운데 소멸 위험 지역은 한 곳도 없었다. 하지만 지금은 전체 기초자치단체의 절반 이상(51.8%)인 118곳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 전체의 5분의 1 이상(51곳)은 '소멸 고위험 지역'에 속한다. 전북은 기초자치단체 14곳 중 전주시를 제외한 13곳이 소멸 위험 지역이다. 강원(88.9%), 경북(87.0%),전남(81.8%), 충남(80.0%) 등은 산하 기초자치단체의 80% 이상이 소멸 위험지역이다.
지방대학들은 인구 감소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생존 위기에 몰려 있다. 2023학년도 전국 대학 188곳 중 정시 경쟁률이 3대 1을 밑도는 대학은 총 68곳 (36.2%)이었다. 정시는 군별로 3번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경쟁률이 3대1보다 낮으면 미달로 본다. 이 가운데 86%(59곳)가 지방대였다. 내년도 대입 정원은 47만여명이지만, 대학에 갈 수 있는 인구는 37만명 정도밖에 안 된다.
지방은 노동력 부족 문제도 심각한 수준이다. 2030년까지 경제활동이 가능한 국내 전체 생산연령인구 (만15세 이상~65세 이하)는 357만명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소멸 위기에 놓인 지방의 경우 일자리가 없어 사람들이 떠나고, 사람이 없어 일자리가 더 줄어드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역 전체 취업자 중 제조업 취업자 비율은 소멸 위험이 없는 지역에선 24.2%에 달하지만, 소멸 위험 진입 지역에선 17.5%, 소멸 고위험 지역에선 9.4%에 불과하다. 그 결과, 월평균 임금도 정상 지역은 316만원이지만 소멸 위험 진입 지역은 275만원, 소멸 고위험 지역은 이보다 낮은 249만원에 그친다.
출처 : 조선일보 23년 8월 17일 금요일 곽래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