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환 시집 {시간은 기억의 수레를 끌고} 보도자료
배기환 시인은 경남 하동에서 태어났고, 1997년 월간『詩文學』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는 {전생을 굽다 1}, ≪전생을 굽다 2≫, ≪바람의 화석≫, ≪견고한 생각≫, ≪젊음의 징비록≫ 등이 있고, 2010년 한국해양문학상 수상집 ≪불멸의 바다 詩篇≫과 2019년 한국해양문학상 수상시집 ≪윤슬의 푸른 수평선≫을 출간한 바가 있고, 계간『시와 사상』편집 동인을 거쳐서, 부산문인협회 시분과 위원장과 부산시문학시인회 회장 등을 역임한 바가 있으며, {시간은 기억의 수레를 끌고}는 그의 여섯 번째 시집이 된다.
시간은 서서히 기억의 수레를 끌고 가파른 언덕길을 오른다/ 과속방지턱을 겨우 넘어선 내 우주선 솔롱고스호*는 지금 광대무변한 블랙홀의 난간이 열리기를 기대하며 시동을 걸지만 시야가 그렇게 밝지 못하다/ 소란스럽던 바람이 우주의 문을 활짝 연다/ 우주 속에 펼쳐진 사막에서 낙타가/ 지평선을 물고 달려온다/ 이래도 괜찮은 것일까?/ 아무래도 세상일들이 석연치가 않다/ 영혼과 영혼끼리 친숙하게 교미하여/ 수정된 광입자가 은밀하게 숨어서/ 지평선을 바라본다/ 가장 튼튼하고 건강한 지구와 가장 아름다운 별들을 사주하여 또 다른 우주 하나를 만들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그 우주 때문에 거대한 지진과 쓰나미를 동반한 천지개벽이 도래해 올지도 모르면서,
*필자의 iD
----배기환, [시간은 기억의 수례를 끌고] 전문
천지창조자, 또는 최초의 우주창시자는 배기환 시인의 [시간은 기억의 수레를 끌고]에서처럼 “거대한 지진과 쓰나미를 동반한 천지개벽”을 창출해내지 않으면 안 된다. “시간은 서서히 기억의 수레를 끌고 가파른 언덕길을 오른다”는 것은 역사와 전통을 중요시 한다는 것이고, “과속방지턱을 겨우 넘어선 내 우주선 솔롱고스호는 지금 광대무변한 블랙홀의 난간이 열리기를 기대하며 시동을 걸지만 시야가 그렇게 밝지 못하다”는 것은 그 우주창시자의 앞에는 매우 어렵고 힘든 고통의 가시밭길이 준비되어 있다는 것을 뜻한다. 과거의 역사와 전통을 중요시하며 머나먼 미래의 앞날을 향해 전진하는 자는 천하무적의 용기로 무장하지 않으면 안 되고, 그 무엇보다도 한없이 나약하고 두려움에 벌벌벌, 떨고 있는 자기 자신부터 베어버리지 않으면 안 된다.
배기환 시인의 표제시인 [시간은 기억의 수레를 끌고]는 새로운 우주를 창출해내는 시이며, 이 도전적이고 야심만만한 과제를 영혼과 영혼을 교미시키고, 수많은 광립자와 광립자들을 결합시켜 수행하고 있는 시라고 할 수가 있다. “가장 튼튼하고 건강한 지구와 가장 아름다운 별들을 사주하여 또 다른 우주 하나를 만들지도 모르겠다”라는 시구가 그것이 아니라면 무엇이란 말인가? 배기환 시인은 더없이 호탕하고 천하무적의 용기를 지녔으며, “거대한 지진과 쓰나미를 동반한 천지개벽”으로 새로운 우주를 창출해내고 있는 것이다.
어찌 된 일인지 갑자기 귀가 먹먹하다/ 약간의 통증과 함께 말이 잘 들리지 않는다”, “이비인후과에 갔더니 의사는 내시경으로 귀속을 이리저리 살피더니 별것 아니라며 지금 양쪽 귓속에 가시 돋친 말들이 꽉 차 있단다”, “가-시-돋-친-말// 그놈들이 달팽이관을 콕콕 찔러대서/ 귀가 먹먹해지고 말이 잘 들리지 않는단다”, “언어에 매달려 있는 뾰족하고 날카로운 가시들, 나는 그 길로 돌아와 양쪽 귀에 수북이 쌓여있는 그 가시들을 면봉으로 후벼 파내었다.
---[가시 돋친 말] 전문
배기환 시인의 [가시 돋친 말]은 언어의 사제답게 최고급의 풍자와 해학의 진수이며, 현대사회의 세태풍조를 가장 날카롭고 예리하게 비판하고 있는 시라고 할 수가 있다. “한때 민주주의를 발가벗겨 거꾸로 매달아 놓고 물고문을” 가하던 [잡목들의 항변], “국제 질병분류표에도 색인되지 않는다는/ 지독한 역질과 미스터 트롯에/ 지금 세상은 몹시 시달리는 중”이라는 [벽 속으로 들어간 풍문들], “콘크리트 괴물들이/ 서로 얼굴을 마주 보며 깔깔깔 웃고” 있는 [고공의 도시], “복개천 속으로 은밀하게 쌓여가는 비위와 적폐”([아스팔트를 뜯어먹고 사는 저 은행나무의 혈액형은 무엇일까]), “장기 매매, 라는 스티커가 붙어있는 소변기 앞”([지하도 풍경]), “자식이 부모에게 덤벼들고 제자가 스승을 해害하고 누군가의 뒤통수”를 치는 [구부정한 세상] 등은 배기환 시인이 듣고 있는 ‘가시 돋친 말’의 진원지이며, 다른 한편, 그 반대방향에서 그가 그의 ‘풍자와 해학’을 통해서 그들에게 또다른 방법으로 되돌려주는 ‘가시 돋친 말’이라고 할 수가 있다. 말은 칼이면서도 흉기이고, 말은 약이면서도 독약이다.
배기환 시인의 [가시 돋친 말]은 아픈 말이며, 타인의 마음과 몸에 상처를 입히는 말이지만, 그러나 이 가시 돋친 말은 그가 그의 ‘풍자와 해학’---반어, 기지, 유머, 험담, 부정, 비판 등----으로 아주 유효 적절하게 매우 잘 사용하고 있는 말이기도 한 것이다. 사랑스러운 말의 이면에는 혐오의 말이 있고, 혐오스러운 말의 이면에는 사랑스러운 말이 있다. 듣기 좋은 말의 이면에는 가시 돋친 말이 있고, 가시 돋친 말의 이면에는 듣기 좋은 말이 있다. 이익과 손해, 사랑과 혐오, 듣기 좋은 말과 가시 돋친 말은 이 세상의 삶의 밧줄에 묶여져 있으며, 이 줄타기를 거부하면 우리 인간들의 삶이 없게 된다. 비록, 듣기 싫은 말, 가시 돋친 말들이 “달팽이관을 콕콕 찔러대고 귀가 먹먹해지고 말이 잘 들리지 않는”다고 해서, 그 가시 돋친 말들을 발본색원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소위 혁명을 완성하고도 혁명의 과업은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듯이, 또는 독재자와 싸우면서 독재자와 똑같이 닮아가듯이, 오히려, 거꾸로 배기환 시인이 그 [가시 돋친 말]을 가장 잘 사용하는 ‘풍자와 해학의 대가’가 되어 있는 것이다.
만일, 그렇다면 배기환 시인의 [가시 돋친 말]을 어떻게 해야 한단 말인가? 그것은 더없이 따뜻하고 부드러운 말과 함께, 그 말들을 사용하며, 그 조화를 이룩해내지 않으면 안 된다. 칭찬을 들으면 칭찬으로 돌려주고, 험담을 들으면 험담으로 돌려주고, 아니, 때로는 칭찬을 험담으로 배신도 하고, 험담을 칭찬으로 더욱더 크고 폭넓게 감싸주기도 하면서----. 요컨대 배기환 시인의 [가시 돋친 말]의 그 해학과 풍자, 그 방법적인 부정정신과 그 비판철학을 더욱더 깊이 있고 심오하게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우리 시인들의 사명과 의무이기도 할 것이다.
하얀 눈을 걷으니 그 속에 숨겨진/ 장미의 알몸에선 붉은 향기가 흐르고/ 목련의 알몸에선 흰 숨결이 흐른다./ 그래 장미야, 그리고 목련아/ 겨우내 칼날 같은 그 추위 견디며/ 얼마나 마음 시려했느냐?// 살갗이 찢어지는 세찬 폭풍우에 아픔을 겪고서야 비로소 움트기 시작하는 저 꽃망울들, 그렇다 장미꽃 한 송이 한 송이는 아름다운 아픔 한 송이나 마찬가지다./ 그동안 소식이 두절되었던 그에게 빨간 향기 그윽한 아픔 한 송이를 전하기로 하였다. // 잠시 침묵을 뛰어넘고 꽃대 속에서/ 은은하게 귀에 익은 소리가 들려온다/ 그 소리는 분명 티베트의 어느 사찰에선가/은은하게 들려왔던 싱잉볼 소리 같다./ 나는 읽던 성경을 덮고 그 음악에 취해/ 또 그에게 시 한 편을 쓴다.
----[한 편의 시를 쓴다] 전문
시는 행복한 삶의 한 양식이자 낙천주의를 양식화시킨 것이다. 배기환 시인의 [한 편의 시를 쓴다]는 그의 현실주의의 소산이자 예술지상주의자의 소산이며, 궁극적으로는 그의 행복론, 즉, 낙천주의를 양식화시킨 것이다. “하얀 눈을 걷으니 그 속에 숨겨진/ 장미의 알몸에선 붉은 향기가 흐르고/ 목련의 알몸에선 흰 숨결이 흐른다”는 것은 장미와 목련이 고통의 가시밭길을 걷고 있다는 것을 뜻하고, “그래 장미야, 그리고 목련아/ 겨우내 칼날 같은 그 추위 견디며/ 얼마나 마음 시려했느냐?”는 측은지심을 넘어선 더없이 따뜻하고 부드러운 사랑의 말을 뜻한다. “살갗이 찢어지는 세찬 폭풍우” 앞에서도 꽃을 피우는 것이고, 시는 고통을 미화하고 성화시키는 것이다. “장미꽃 한 송이 한 송이도 아름다운 아픔 한 송이나 마찬가지”이고, “목련꽃 한 송이 한 송이도 아름다운 아픔 한 송이나 마찬가지”이다. 시는 사상의 꽃이고 사상은 시의 열매이다. 시는 사상의 꽃이고 경전이며, 이 경전 속에는 “잠시 침묵을 뛰어넘고 꽃대 속에서/ 은은하게 귀에 익은 소리가 들려온다/ 그 소리는 분명 티베트의 어느 사찰에선가/ 은은하게 들려왔던 싱잉볼 소리 같다”라는 시구에서처럼, 모든 사람들을 구원해줄 수 있는 말씀들이 살고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배기환 시인의 [한 편의 시를 쓴다]는 그가 그의 우주선인 ‘솔롱고스호’를 타고 가 창출해낸 새로운 우주라고 할 수가 있다. 즉, 그의 우주에는 ‘가시 돋친 말’의 반대편에서, 이 세상의 삶을 찬양하고 옹호하는 시들이 너무나도 많다고 할 수가 있다. “천관 사지와 고운孤雲이 기거했다는 상서장 거쳐 헌강왕릉에 이르니 은은하게 처용가가 울려 퍼지고 개운포로 가는 길 일러준다/ 도솔천 먼 길 향해 끈을 졸라매던 내 등산화 잠시 마애불 앞에 무릎 꿇고 앉자 명상에 든다”의 [서라벌의 숨결]도 있고, “긴 강을 끌고 온 청둥오리와 도요새들의 유영/ 그렇다, 강물에 붉은 노을이 출렁이는/ 낙동강 하구의 가을 풍경은/ 샤갈이 그려놓은 한 폭의 풍경화다”라는 [을숙도 풍경 1]도 있다. “거센 파도의 허리춤을 꽉 붙들고 있는 방파제 위에 포세이돈 신전처럼 우두커니 서서 몰운대를 응시하고 있는 빨간 등대에 묻는다/ 지난밤 얼마나 많은 불씨를 파도 속에 은밀히 숨겨 두었느냐?”라는 [몰운대 등대]도 있고, “저 새벽 바다의 봉인을 제일 먼저 뜯는 것은 시베리아 빙산에서 달려온 된바람도 아니고 바다의 막장까지 긁는 트롤선 엔진 소리도 아니며”라는 제주해녀의 [숨비소리]도 있다.
---배기환 시집 {시간은 기억의 수레를 끌고}, 도서출판 지혜, 값 1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