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庸(중용)
/
過猶不及(과유불급) 지나치면 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고 한다
/
음식도 꽉 차고 실컷 배 터지게 먹는 것보다
약간 나쁜 듯(더 먹고 싶은 마음)하지만
정량의 80%만 먹는 게 건강에 좋다
과하면 비만 배탈등 건강을 해치며 사달 난다
산송이 버섯도 대가리 활짝 핀 만개보다
아직 대가리 피기 바로 직전 것이 최고며
상품가치가 높아 비싸게 팔린다
꽃도 피기직전 망우리 맺었을 때가 보기 좋다
/
황혼보다 결혼직전 청년 때가 좋고
소녀티 벗고 애송이 처녀 때가 좋고
쇠고기도 늙다리 보다 애송이 중간소
송아지를 갓 벗어난 어린 소 쇠고기를 선호하며
뭐든 완숙보다 피어나기 직전 영계가 좋다
/
완전히 완숙한 사람보다 어딘가 좀 부족하고
모자란 듯 어리숙한 자에게 친근감이 가고
사귀고 싶어 여유 만만하게 다가온다
그렇다고 머리 속까지 그런건(바보) 아니다
만점 보단 7-80점이 기대희망 바람이 있다
100점 다 알면 흥이 관심이 떨어지고
다음엔 낙하 내려갈 일만 남았다
/
만개 완벽 보단
좀 밑진 듯, 속은듯, 손해본듯
한발 물러서는 양보가 여유 있다
그러면 부딪끼고 다투고 싸울 일 없다
만개 100점 보단 항상 2% 부족한 게 좋다
그게 삶의 여유 운치며 낭만이다
//
子曰人皆曰予知로되 驅而納諸罟擭)
(자왈 인개왈 여지 구이납저 고확)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사람들이 모두 자신이 지혜롭다고 말하나
陷阱之中而莫之知辟也하며
(함정지중이막지지피야)
그물과 덪과 함정 가운데 몰아넣어도 피할줄 모르며
人皆曰予知로되 擇乎中庸而不能期 月守也니라
(인개왈 여지 택호중용이 불능기 월수야)
사람들이 모두 자신이 지혜롭다고 말하나 중용을 택하여 한달을 지키지 못한다.
出典 : 中庸(중용)
첫댓글 중용 정말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