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위도식(無爲徒食)으로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한 대신을 비꼬아 말함. 중국 당나라 6대 황제 현종(玄宗)은 정권 탈취의 음모를 꾸미고 있던 태평공주(太平公主:측천무후의 딸)와 그 일파를 제거하고 연호도 개원(開元)이라 바꾸었다. 개원 2년(713), 현종은 과감한 개혁을 실시하였다. 문무 백관의 호사스러운 관복을 불살라 사치를 금하고, 조세와 부역을 줄여 백성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형벌제도를 바로잡고, 부역을 면하기 위해 승적(僧籍)에 오른 자를 환속시키는 등 민생안정에 주력하였다. 대외적으로는 이민족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변방에 절도사 10명을 배치하였다. 이와 같은 현종의 치세가 성공할 수 있던 것은 요숭(姚崇)과 송경(宋璟)의 충실한 보좌 덕분이었다. 요숭이 재상에 재임하였을 때 노회신(盧懷愼)도 함께 재상의 자리에 있었다. 노회신은 청렴결백하고 검소하며, 근면한 인물이었다. 그가 재상에 있었을 당시 재산을 늘릴 생각은 조금도 하지 않고 어려운 사람들에게 아낌없이 나누어주어 오히려 식솔들은 살기가 어려울 정도였다. 어느 날 요숭이 10일 동안 휴가를 떠나 노회신이 정사를 대행하게 되었다. 노회신은 어떻게 할 줄을 몰라 쩔쩔매어 일거리는 날마다 산더미처럼 쌓여만 갔다. 휴가를 마치고 돌아온 요숭은 노회신이 처리하지 못한 정사를 신속하고 깔끔하게 처리하였다. 이때 노회신은 자신의 능력이 요숭에 미치지 못함을 알자 이후 거의 모든 일을 요숭과 일일이 상의한 다음 처리하였다. 이리하여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상반대신(相伴大臣:재상 옆에 있는 대신)이라는 뜻으로 반식재상(伴食宰相)이라 조롱하였다. 능력이나 전문지식과는 관계없이 학연, 혈연, 지연에 따라 인사가 이루어지는, 즉 다른 사람 덕분으로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현실을 생각하게 하는 고사성어이다. 상반대신 또는 반식대신(伴食大臣)이라고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