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weed를 다시 읽었다.
- 12; 해조류는 17억년전 부터 화석이 발견된다. 크게 Macroalgae와 Microglae로 구분된다. 전자는 김/꼬시래기/한천/산호 등 전세계에 분포하는 홍조류, 다시마/미역/톳 등이 속하고 주로 짠물에 집중되있는 갈조류, 청각/파래 등 가장 진화하여 주로 민물에 서식하는 녹조류가 있다. 후자는 Diatom(Bacillariophyceae)가 포함되는데 단세포로 크기는 작지만 식물성 플랑크톤의 주류를 이루며 바다 바이오매스의 절반을 차지한다. 지구 대기에 가장 많은 산소를 생산하는 중요한 역활을 한다. 생선의 오메가3도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아니고 미세조류가 생산한 것이 먹이사슬을 따라 체내에 축적하는 것에 불과하다(Zwamborn, 2020).
- 123; 노리는 한국 김과 비슷하나 더 질겨서 안주로 활용한다. 홍조류를 말려서 제지와 유사한 방법으로 만드는데 웨일즈해변에도 서식한다. 그물에 붙어 자라며 파종후 45일정도면 수확이 가능하다. 보통 10일간격으로 수확을 여러번 한다. 대부분의 해초가 그러하듯 지역의 공해에 따라 중금속에 오염되있을 가능성이 있고 오오드함량이 높아 많이 먹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Zwamborn, 2020).
- 126 카라긴Irish moss (Chondrus crispus)은 대서양 해안의 암석지대에서 자라는 홍조류로 다당류 카라기닌으로 이루어진 점액질이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불리면 바다냄새가 나고 끓이면 젤리가 된다(Zwamborn, 2020).
랍스터가 한 때 가난한 사람들조차 꺼리던 음식에서 지금은 고급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지금과 같이 칼로리과다로 과체중이 문제시 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조류도 건강음식으로 각광받을 가능성이 크다. 해조류는 저칼로리에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고 거의 20배에 달하는 수분을 흡수하기에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을 가질 수있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최적이다(Zwamborn, 2020).
- 136; 시장가치가 큰 식용으로 찬물에서 서식하는 해조류는 아래와 같다(Zwamborn, 2020).
dulse (Palmaria palmata)는 홍조류로 대서양과 태평양의 북부해안에서 자란다. 6세기에 수사들이 스낵용으로 경작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오랬동안 식용으로 사용되왔다. 조간대에서 50센티까지 성장한다.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하며 단백질 함량도 높다. 가을에 썰물때를 기다려 손으로 따서 씻은후 바로 먹거나 건조시켜 두고두고 먹는다. bladder wrack (Fucus vesiculosus)는 북해, 발트해, 대서양과 태평양 연안 조간대에서 1.5미터까지 공기주머니를 가지고 자라는 해초로 식용은 물론 요오드결핍에 따른 갑상선치료에 활용한다.
- 139; sugar kelp (Saccharina latissima)는 말 그대로 설탕 다시마로 불리우는 갈조류로 북대서양, 북극해, 그리고 북태평양에 서식한다. 일본 요리에 많이 사용되며 5미터까지 자란다. 조간대에서 발견되며 서식지를 제공함은 물론 물고기, 조개 등의 먹이가 된다. 샐러드로 먹으며 스프나 육수를 만드는데도 활용된다.
- 142; oarweed (Laminaria digitata)는 북대서양 연안에서 서식하는 갈조류다. 3미터까지 자라고 질기고 가죽같다. 알긴산이나 화장품제조를 위해 수확된다. 말려서 간식으로 먹거나 스프에 넣어 먹는다.
- 144; Kombu는 많은 나라에서 식용으로 활용한다. 다시마는 건조해서 보관이 가능하게 되면서 해변을 떠나 내륙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육수를 만들 때 많이 사용하며 글루탐산이 감칠 맛을 낸다. 새콤달콤하게 절여서 먹기도하고 뜨거운 물에 우려 차로 마시기도 한다.
- 154; sea lettuce (Ulva lactuca)는 녹조류로 전세계에 분포한다. 30센티까지 자라고 식용으로 활용한다. 연안의 암석지대에 흔하며 질소가 풍부한 지역에 많이 발생한다. 스프와 샐러드로 먹으며 과도한 비료에 따라 너무 많아지면 썩어서 황화수소를 발생시켜 흡입한 사람이 사망하는 사고도 발생한다.
- 156; 뉴펀들랜드에도 서식할 가능성이 높은 해조류는 다음과 같다(Zwamborn, 2020).
peacock's tail (Padina pavonica)는 전세계에서 발견되는 갈조류로 10센티까지 성장한다. 주로 얕은 아조간대의 암석, 맹그로브, 산호초지역에 서식한다. 샐러드, 스프, 항암제로 사용한다.
- 164; toothed wrack (Fucus serratus)은 대서양에 서식하는 갈조류다. 배수가 느린 해안에서 주로 발견되며 샐러드나 화장품에 이용된다.
- 166; purple laver (Porphyra purpurea)는 대서양에 서식하는 홍조류로 50센티까지 자란다. 하와이에서는 고급음식으로 인정되며 영양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 170; common coral weed (Corallina officinalis)은 태평양과 대서양에 서식하는 홍조류다. 1.2미터까지 암석이 있는 해안에서 주로 자런다. 현재까지 알려진 독성분을 가진 해초는 없고 먹기 불편한 해초와 용이한 분류만 있는데 이 홍조류는 너무 딱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