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해 보이는 이론도 파고들면 복잡합니다.
맛있어 보이는 과일도 꼭 맛있는 게 아니고
친절해 보이는 사람도 꼭 그렇지만 않습니다.
결론은 세상만사 외관과 실체가
항상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대 모습을 거울에 비쳐보면,
나이들고 주름져 실망할 때가 많겠지만
그동안 살아오며 얻은 크고 작은 깨달음을
보석처럼 간직해
깨달음을 얻은 날부터 죽는 날까지
전과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않는다면
그대는 거울에 비쳐진 그대 모습보다
훨씬 더 건강하게 행복과 장수를 누릴 것이고
이웃들에게도 행복과 장수를 전파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삶에서 얻는 깨달음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사람은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들보다 훨씬 건강하고 보람찬 삶을
살다갈 수 있다는 사실은 옛 현인들이 입증한 바 있습니다.
A seemingly simple job turns out hard
when you go at it;
A seemingly simple theory turns out complicated
when you dig into it.
A delicious-lookg fruit does not always taste delicious;
A kind-looking man is not always kind.
The conclusion is that everything under the sun often
has discrepancy between its appearance and substance.
If you look at yourself in the mirror,
you will be often disappointed at your old wrinkled image in it,
but treasure your big or small enlightenment you have so far found,
repeating no more fault from the day of enlightenment until you die,
and you will enjoy happiness, longevity and much better health
than your image in the mirror hints at,
being able to spread happiness and longevity to your neighbors, too.
Old sages proved that, he who finds enlightenment in his life
to actively practise it lives a much healthier and more fulfilling life
than those who fail to do so.
2. 성공과 실패, 그리고 사람의 일생
전장터에서 패한 후
다시 일어서는 사람만이
영웅이 아닙니다.
자신의 잘못으로 야기된
실패를 딛고
다시 일어서는 사람도
영웅입니다.
실패는 성공을 향해가는
과정의 일부일 뿐입니다.
삶에 승리하려면
이처럼 생각해야함에도
삶에 실패하는 자는
실패에서 경험과 지혜를 얻는 대신
과거의 실패를
끊임없이 되새김질 하거나
자신의 잘못을 돋보기에 대고
필요이상 확대해서 바라봅니다.
현자(賢者)는 성공할 때는 겸손하고
실패할 때는 실패로부터
획득한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전진해 나갑니다.
현자는 성공하면
성공에 도움을 준
조력자들에게 공을 돌리고
실패하면 혼자 책임지되
마음의 상처를 최소화하고
재기의 기회를 노립니다.
평범한 사람일지라도
이와 같은 마음가짐으로
달팽이 걸음으로라도
묵묵히 전진해나간다면
장차 세상사람들에게
현자로 기억될 것입니다.
지구는 태양의 주위를
끝없이 돌지만
사람의 삶은 끝없이
앞으로 전진해야합니다.
자신의 삶을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인생의 행, 불행이 결정되고
살면서 겪는 크고 작은
성공과 실패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사람의 일생이 결정됩니다.
He who rises again from his defeat on battlefield
is not the only hero there is.
He who makes a comeback from his failure
caused by his own fault is a hero, too.
Failure is just a part of process needed for success.
To be a winner in life, one should think like this
but a loser ruminates on bygone things endlessly
or sees his fault as bigger than necessary
through a magnifying glass.
A wise man humbles himself when he succeeds,
and advances using the experience and wisdom
he gains from his failure.
He attributes his success to his helpers
taking responsible for his failure alone
minimizing wound to his heart
and seeks a chance to make a comeback.
Even an ordinary man will be remembered as a sage,
if he quietly advances even at a snail's pace
with such an attitude of mind.
The earth revolves around the sun endlessly
but man should advance forward endlessly.
Happiness and unhappiness depends on man's thought;
and his life depends on
how he copes with success and failure, big or small
that he encounters while alive.
3. 살아생전 천국에 살다가려면
죽어서 천국에 가려하지 말고
살아생전 천국에 사십시요
천국에 살려면 그대 자신이
천국이 돼야합니다.
그대가 사랑하거나
그대가 사랑할 이유를 가진
모든 사람들에게
그대 자신이 천국이 돼야합니다.
그대 이기심의 가장 작은 가지라도
잘라내고
그들에게 진심으로 봉사함으로써
그들을 행복하게 해 준다면
그대는 그들에게 천국같은 존재가 됩니다.
그들을 행복하게 해 주는 것이
그대 자신의 행복이 되고
그대 인생의 최우선 목표가 된다면
그대는 살아생전 천국에 살게 되니까
사후천국을 찾을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Don't try to go to heaven after death,
but live in heaven while alive.
To live in heaven, you should be heaven itself.
You should be heaven to your loved ones
and to those who deserve your love.
If you make them happy
by cutting off the smallest twig of selfishness
serving them wiith your heart and soul,
you will be heaven to them.
If your making them happy becomes your own happiness
and the foremost goal of your life,
you won't need to expect heaven after your death,
for you will live in heaven while alive on earth.
4. 낭비하지 않는 삶
낭비하지 않는 삶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생존에 알맞게 자신을 바꿔나가면서
세상이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세상이 원하거나 필요로하는 일과는 상관없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 즐거울 수 있겠지만
고난의 행군을 각오해야한다.
어영부영하는 삶, 방황하는 삶,
이것저것 잠깐씩 해보다 그만두는 삶은
아무런 결실 없이 끝난다.
짧은 삶에서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게 무언지,
가장 잘 할 수 있는 게 무언지를 찾은 다음
그 한가지를 붙들고 세상이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맞춰나가려
노력하면 낭비하지 않는 삶을 살 수 있다.
사람의 삶은 사람 하기에 달려있고
천국과 지옥도 사후에 오는 게 아니고
살아 생전 사람자신이 만들기도하고 부수기도 한다.
What is an unwasted life?
It is the one of changing yourself continuously
to fit for survival, doing what the world wants or needs.
If man does what he wants
without caring what the world wants or needs,
he can do it joyfully
but must prepare for an arduous march.
A life of idling time away, a life of wandering,
a life of dabbling in many things, all end up in vain.
To avoid wasting your life,
seize just one job and devote yourself to it for long
doing your best to tune into the world's wants or needs,
after finding what you really want to do and can do best.
Your life depends on your doing;
and heaven and hell do not exist after your death;
You yourself create or destroy them while you live.
5. 노예 창조경영의 아이콘이자 내가 닮고싶어했던 산 모델이 실제로는 성의 노예였다는 것은 얼마나 큰 충격인가!
누군가 말한 것처럼 여자는 음식의 노예, 남자는 성의 노예인 것일까?
위대한 업적을 이룬 많은 남자들이 왜 알콜의 노예, 도박의 노예, 또는 성의 노예로 전락하는 것일까?
업적을 이루는 과정에서 받는 스트레스와 업적을 이룬 후의 허탈감을 달래기 위해 부정적인 방법을 선택한 결과가 아니겠는가? 나는 이렇다할 업적을 이루지 못한 사람으로서 내가 무언가 긍정적인 걸 좋아하게 된다면 내 자신을 허용하겠지만 천국 가는 데 팔다리가 방해가 되면 과감히 잘라내라는 성경의 가르침을 따라
내가 무언가 부정적인 걸 좋아하게 된다면 내 자신을 단호하게 통제하리라. 그리하여 조각가가 거친 대리석을 깍고 다듬어 아름다운 예술품을 만들듯
나는 고난에 찬 나의 삶을 깍고 다듬어 의미있고 아름다운 삶, 나의 후손들이 자랑스러워할 삶을 만드리라. What a shock it is to find that an icon of creative management and living model I wished to emulate was in fact a slave to sex! Is woman a slave to food and man a slave to sex as someone said? Why do many men who have achieved a lot become a slave to alchohol, gamble or sex? Isn't it because they chose a negative way of relieving the stress they receive from their work and despondency they face after their success? As a man of no mentionable success, I will allow myself if anything positive appeals to me, but I will resolutely control myself if anything negative appeals to me, following the teaching of Bible, "If your four limbs get in your way to heaven, cut them off resolutely". Thus I will cut and trim my life full of trouble into a meaningul and beautiful one that my posterity can be proud of, just like a sculptor trims and cuts raw marble into a beautiful work of art. 6. 행복 그대가 지금 행복함을 못 느낀다면 그것은 그대가 지금 가진 것들에 대해 감사하고 있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대가 지금까지 운이 없었다 느낀다면 그것은 그대가 삶의 고비를 여러번 넘어왔다는 사실을 일시적으로 잊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대가 지금 외로움을 느낀다면 그것은 그대가 마땅히 사랑해야할 사람들을 충분히 사랑하고 있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대가 지금 미래에 대해 두려움이 생긴다면 그것은 미래의 변화에 대처할 그대의 잠재력을 과소평가하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대가 지금 이순간 살아 숨쉬고 있는 것만으로도 후회할 필요가 없는 삶을 살고있다고 생각해요. 그렇게 하지 못하는 수많은 사람들을 생각하면서.. If you feel unhappy now, it may be that you fail to appreciate what you already have. If you feel unlucky now, it may be that you temporarily forget the fact that you have overcome many crises of life until now.
If you feel lonely now, it may be that you fail to love them enough who deserve your love. If you fear your future, it may be that you belittle your potential to cope with future changes. Think that you live a life you need not regret just because you breathe alive now, recalling so many people failing to do so right now. 7. 도박 잘 나가는 연예인들이 불법 도박혐의로 경찰에 소환되고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멀쩡한 어른들이 개싸움 도박을 하다가 경찰에 붙잡히는구나. 쇠창살을 만들어놓고 그 안에서 불쌍한 개들이 서로를 물어뜯게하고 여기에다 돈을 거는 사람들의 잔인함! 마약 만큼 무서운 도박은 결국에는 도박을 주선한 사람만이 돈을 버는 데 왜 사람들은 도박에 빠져드는 걸까? 이 얼마나 치명적이고 말도 안되는 인간의 약점인가? 처음에는 스트레스를 풀거나 재미를 추구하기위해 도박을 시작하지만 한번 중독되면 자신의 힘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는 도박 평생 벗어나기 힘든 가난을 물려주셨지만 도박성 없는 뇌구조를 물려주신 돌아가신 부모님께 감사드리는 오늘 하루 Successful entertainers are summoned to the police charged with illegal gamble; Sane-looking adults thronged from across the country to gamble at a dog-fight and get arrested by the police. Alas, their cruelty of forcing the miserable dogs to bite off each other in the iron-cage they made and gambling on it! Why do they fall for gamble no less horrible than drug abuse, just to help gamble-sponsor make money? What a fatal preposterous human weakness! One starts gambling at first to relieve stress or have fun but, once one gets addicted, one cannot get out of it on one's own. Today I thank my deceased parents for not having bequeathed to me a brain-structure of no penchant for gamble, even though they have bequeathed to me such poverty that I cannot conquer all my life. 8. 이별 네가 나를 떠나가는데 내가 나를 자책하는 것은 왜일까?
알 수 없는 나의 지난 잘못이 너를 나로부터 떠나가게 한 건 아닐까?
너와 나 사이의 거리가 두고두고 내게 큰 아픔이 되리라는 걸 나는 벌써부터 알고있다.
나는 과연 너와 떨어져 사는 세월을 잘 견뎌낼 수 있을까?
내가 널 그리울 때면 남쪽하늘을 바라볼테니 너도 내가 그리우면 북쪽하늘을 바라보거라
그러면 두 그리움이 중간 어디쯤에선가 만나 한데 어울어질 수 있을테니..
Why am I blaming myself for my parting with you?
I wonder if my unknown past fault makes you leave me.
I know already the distance between you and me will torture me for years to come.
Shall I really be able to endure the years well you and I are parted from each other?
When I miss you, I will look up the sounthern sky; So, you, too, look up the northern sky when you miss me.
Then our two longings will meet somewhere in the middle to get along together.
9. 아버지 아버지, 저는 지금 아버지께서 가장 힘들게 사셨던 바로 그 나이를 살고 있어요. 경제적으로 어려워 어머니께 많이 공격당하셨고 죽고 싶다는 말씀을 늘 입에 달고 사셨던 아버지의 바로 그나이, 삶에 지쳐 일찍 잠자리에 드시면 새벽 4, 5시에 꼭 잠에서 깨어 작은 라디오를 귓전에 대고 라디오 듣는 걸 유일한 낙으로 삼으셨지요. 저도 아버지처럼 아버지 나이가 되니 잠자리에 일찍 들고 새벽 4, 5시면 꼭 일어나 아버지처럼 라디오를 듣는 대신 책상에 앉아 무언가를 글로 씁니다. 남보다 살아온 세월이 힘들어선지 아니면 허전한 제 마음을 달래려선지 써도 써도 끝이 없는 많은 글을 씁니다. 아버지, 세상은 아버지가 늘 말씀하셨던 것처럼 그렇게 죽고싶을 만큼 못 견딜 곳이 아니더군요. 빨리 죽고싶은데 죽어지지 않아 몸서리가 쳐진다고 말씀하실 정도는 아니더군요. 그것은 아마도 아버지께서 태어나 사셨던 시대가 제가 태어나 산 시대보다 더 힘들었기 때문이겠죠. 같은 나이의 아버님과 저를 비교했을 때 제가 훨씬 더 나은 삶을 살고 있는 데는 아버지께서 제게 주신 여러 가르침들이 큰 역할을 했음을 뒤늦게야 깨닫습니다. 돌아가시기 얼마 전 사는 게 괴로워 빨리 죽고싶다고 몸부림치실 때 제가 아버지를 껴안고 위로하면서 가만히 만져본 아버지의 뒷머리가 돌아가신 후 화장장에서 화장을 마치니 반원의 하얀 바가지 모양이 되었는데 화장장 직원이 그것을 쇠공이로 찧어 유골함에 넣는 걸 보고 저는 통곡을 멈출 수 없었습니다. 아버지, 저는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는 일이 있어도 아버지보다 더 나은 삶을 살다가 아버지를 만나뵐 것을 약속드릴게요. 아, 아버지, 나의 아버지.... Father, I am now living the very age you found most difficult to live. The very age when you said all the time that you would like to rather die due to poverty and Mother's complaint about it. You used to go to bed early, tired of life, waking up at 4, 5 o'clock without fail in the morning to listen to the radio close to your ears, which was your only joy of life. Just like you, I go to bed early just like you at your age, waking up at 4, 5 o'clock in the morning to write something at my desk unlike you who listened to radio. Perhaps because I have lived an unusually difficult life, or perhaps because my subconscious makes me write to comfort my empty mind, I write a lot endlessly. as you had said that you would like to rather die. It was not so horrible as to make you shudder because you could not die quickly. Perhaps you said so because the age you were born and raised was tougher that the age I was born and raised. I belatedly realize that, when I compare my life with you, many of your teachings to me contributed a lot to my living a much better life than you. Sometime before you passed away, you shuddered crying that, due to difficulty of life, it was torturous for you to fail to die quickly, when I hugged you to comfort you, and silently cupped the back of your head with my hands, which turned into a white semicircular bowl after cremation; and a crematorium employee crushed it with an iron pestle to put it into an urn, which made me wail endlessly. Father, I promise to you that I will live a better life than you until I see you again, even if the sky falls and earth subsides. Oh, Father, my father... 10. 남은 세월 돌아보면 나의 교만과 허영 어리석음이 만든 질곡의 가시밭길
축복을 받았어도 축복인 줄 몰랐고 행운을 누렸어도 행운인 줄 몰랐지
그저 더 큰 축복과 더 나은 행운이 없나 두리번거리며 허송세월 하였지
때로는 고개를 드는 것마저 부끄럽지만 이렇게 온전히 살아있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라 여겨야지 패배한 왕곁을 지키는 마지막 시종처럼 아직도 내게 남은 마지막 축복과 행운을 더 이상 쓰레기 더미에 던져넣지 않고
먹구름속에서 한조각 밝은 희망을 보며 질곡의 세월이 가져다준 강인함과 지혜로
실패한 내 인생을 만회하고자 오랜 세월 치열하게 투쟁하는 자랑스러운 투사가 되리.
Looking back I find a thorny path of ordeal my own arrogance, vanity and folly created. I didn't realize I was blessed even when blessed; didn't realize I was lucky even I enjoyed good luck. I wasted my time just looking around, looking for a greater blessing and better luck. I often feel too ashamed even to lift my head but I think I must feel lucky being alive intact at this moment. No more trashing the last blessing and luck that are still with me like the last servant staying with his failed king, I will be a proud warrior fighting fiercely for long to make up for his failed life with the strength and wisdom that the years of ordeal has brought, looking up at a piece of silver lining in the middle of dark clouds. 11. 취하고 싶을 때면 한번 흘러간 물을 되돌릴 수 없듯 한번 일어난 일은 다시는 되돌릴 수 없다.
사람의 잘잘못은 세월 따라 사라지지 않고 사람의 여생동안 두고두고 영향을 미친다.
과거에 잘 한 것에 대해서는 겸손해야하며 과거에 잘못 한 것으로부터서는 교훈을 얻어 앞으로 잘 해야만 의미있는 삶이라 할 것이다.
세상을 원망하고 삶을 비관하고 좌절하는 것은 의미있는 삶을 살고자하는 사람의 태도가 아니다. 의미있는 삶을 살려면 사막 한가운데서도 푸른 초원을 보아야하고 지옥 유황불 속에서도 천국에 오르는 사다리를 보아야한다.
살다가 취하고 싶으면 한 잔 술에 취하지 말고 사랑받을 이유를 가진 사람들에게 숨이 멎는 날까지 헌신하는 사랑에 취해야한다. Things once happened cannot be revoked like water flowed away cannot be reposited. Man's right and wrong do not vanish with tim but affect his life during the rest of his life. To live a meaningful life, man must humble himself about rights he did, learning a lesson from wrongs he did so he can always do right in the future. Blaming the world for things that went awry, being pessimistic about life or being frustrated is not an attitude of man trying to live a meaningful life. To live a meaningful life, man must see a green meadow in the middle of desert and see a ladder reaching heaven in the middle of hellfire. When man is tempted to get drunk, he should not get drunk with a cup of wine but with love devoting himself until his last breath to those worthy of his love. 12. 고흥 팔영산 올해 한국나이로 81세가 된 나의 둘째 형님은 나와 띠동갑으로 내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셨다. 형님과 나는 외모도 많이 닮았고 목소리까지 비슷해 목소리만 듣고서는 우리 두 사람을 구분하지 못하는 일이 자주 있었다. 내가 중학교 2, 3학년, 2년동안 형님은 무슨 생각에선지 고흥에서 제일 높은 팔영산에 들어가 요즘 '나는 자연인이다' 라는 제목의 TV 프로에서처럼 산에서 살았고 나는 툭하면 여수에서 배를 타고가 여러 날을 형님과 함께 지내곤 했다. 겨울이 오면 형님은 꿩을 잡으려고 콩을 송곳으로 파내어 그 속에 쥐약을 넣고 양초로 밀봉한 다음 산에다 뿌려놓으면 꿩들이 이것을 먹고 얼마 안 가 죽었고 형님과 나는 이렇게 잡은 꿩으로 꿩죽을 쑤어먹었는데 그 맛과 향이 우리를 잠깐이나마 천국으로 데려다 주었다. 팔영산은 여덟개의 봉우리가 있어 이름을 그렇게 지었는데 8개의 큰 바위로 된 산이 고흥에서는 최고의 명산인데다 높이도 해발 600미터가 넘어 당시 중학생인 나에게는 중간에 쉬지않고 단번에 오르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형님과 나는 어느날 단숨에 팔영산 가장 큰 바위 근처까지 올라갔고 형님은 숨이 차 헐떡이는 나를 바위 뒷편으로 데려갔다. 그곳에는 큰 바위에 가려져 산의 전면에서는 볼 수 없었던 철쭉꽃이 만발한 끝없이 펼쳐진 거대한 야생의 빨간 꽃밭, 나는 그 아름다움에 넋을 잃었고 지금까지도 그와 같이 아름다운 철쭉꽃의 대향연을 보지 못했다. 산을 내려오는 길 으슥한 곳에 이제는 칡넝쿨로 덮힌 토굴 같은 게 있었는데 형님께서 말씀하시길 그 굴은 여순 반란 사건 때 공비들이 피신해 생활하다가 진압군에게 잡혀 사살된 곳이라고 했다. 공비들은 주로 지주 밑에서 일하던 머슴 또는 이상에 불타는 세상물정 모르는 젊은이들로써 지주들처럼 가진 사람만 잘 사는 세상을 뒤집어 엎어버리고 모두가 함께 잘 사는 세상을 만들자는 공산주의 구호 아래 주로 대나무를 깍아 죽창을 만들어 지주들을 찔러 죽이고 산에 들어와 빨치산 활동을 했다는 것. 이곳 팔영산 토굴을 아지트로 삼아 낮에는 이곳에서 시간을 보내고 밤에는 마을로 내려가 동네사람들에게 공산주의 사상교육을 하고 밥도 얻어먹고 지내다 정부진압군의 공비 토벌 작전 때 모두 잡혀 죽었다는 것이다. 진압군에 잡혀죽기 전까지 이런 토굴 속에 살면서 특히 추운 겨울에는 얼마나 고생을 했을까 생각하니 가슴이 아팠다. 나는 그때 어린 마음에 그들이 우리처럼 지독하게 못사는 사람들이 모두 함께 잘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싸우다 죽은 사람들이니 이순신장군과 같은 위대한 영웅들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장성해서 보니 공산주의 국가들은 하나도 예외없이 독재정권이 들어서서 나라경제를 지옥으로 만들고 공산주의에 조금이라도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은 모두 잡아다 강제노역을 시키거나 처형하고 있었다. 신이 아닌 사람이 만들어낸 이념이나 제도가 얼마나 잘못될 수 있는지를 공산주의 국가들이 똑똑히 보여주고 있었다. 어떤 이념이나 제도를 일정규모의 단체에 적용하면 통하는 것 같아보여도 이것들을 국가전체에다 적용했을 때는 엄청난 재앙이 반드시 뒤따른다는 사실을 절감하게 되었다. 불과 100년 전 칼맑스라는 이름을 가진 인생 실패자 한 사람이 영국런던 빈민가 옥탑방에서 이상사회를 꿈꾸며 만들어낸 공산주의 이론보다는 수천년간 인류의 피로 쓴 역사가 만들어낸 자본주의와 자유시장경제가 인간의 본성에 들어맞는 대체불가한 이념이고 제도임을 깨달았다. 그러므로 자본주의와 자유시장경제를 목숨처럼 소중히 지켜 나가면서 세월의 변화에 따라 꼭 필요한 부분만 조금씩 수정보완해 나가야만 인류가 공존번영하는 또 다른 수천년이 보장된다고 확신한다. 만일 그렇게 하지 않고 모든 사람이 골고루 잘사는 사회를 만들겠다는 이론에 설득당해 소수가 정권을 잡아 정치권력이 경제를 통제하도록 내버려 둔다면 정권을 잡은 소수의 사람들만 자기들끼리 똘똘 뭉쳐 호시호강하며 떵떵거리고 살게되고 나머지 절대다수의 사람들은 집권자를 찬양하는 찬송가나 부르면서 비참하게 살다가 생을 마감하게 된다는 사실을 명확히 알게 되었다. My second eldest brother is 81 years old this year in Korean age, 12 years older than me; and he had a major influence on my life. He and I resemble so much in voice as well as in looks that people often confounded me with my brother hearing my voice. For 2 years when I was a middle school student in 8th and 9th grade, my brother had the crazy idea of living in Palyoung Mountain, the tallest one in Goheung, just like in the recent TV program titled "I live in nature"; and I often went to him by a boat from Yosu to spend many days with him. When winter came, my brother dug a tiny hole in soy beans with an awl, put poison into it, sealed it with wax, and scattered the poisoned beans here and there in the mountain; so, pheasants which pecked them died soon. We cooked the dead pheasants into a soup, the scent and taste of which brought us to heaven awhile. The mounatin was named Palyoungsan, for it had 8 peaks, very well-known in Goheung, located at an altitude of more than 600 meters; so it was not easy for a young schoolboy like me to climb it in one breath without taking a rest in the middle. And yet, one day he and I went up to the largest boulder on the mountain-top and he took me behind the boulder, though I was gasping for breath. Behind the boulder was a boundless pink flower-bed of full-blown royal azalea, unavailble to the frontal view of the mountain, which took my breath away, even an approximation of which I have not se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