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7월 22일 일요일.
징역살이를 하는 것처럼 서울 송파구 잠실 아파트 안에 갇혀 사는 나.
내 마음은 시골로 내려가 있는데도 현실은... 후덥지근한 아파트 안에서 갇혔다.
오늘도 무척이나 무덥다. 화가 치민다.
'한국 국보문학' 카페 '등단 시인방'에 '소화(霄花)의 소야곡'이란 제목으로 글과 이미지 사진이 올랐다.
아래처럼 댓글 달았다가는 지우고 대신에 여기에 올려서 글감으로 삼는다.
댓글 다는 것도 이따금 꺼려해야 하기에...
능소화
중국이 원산지.
'소화'라는 식물 명칭을 처음으로 알았지요.
어려운 한자말...
저한테는 무척이나 어렵고, 알 수도 없네요.
'얼음 릉(凌)과 하늘기운 소(霄)라, 차가운 기운이 서린 꽃'
덕분에 인터넷으로 '소화, 능소화' 등을 검색해서 식물에 대한 지식을 더 넓힙니다.
서해안 제 시골집 안마당 화단에 있는 능소화.. 수십년이나 재배했기에...
저는 왕족, 양반 계급도 아닌 그냥 서민인데도 오랫동안이나 키웠군요.
제 수양어머니한테서 얻어왔지요..
나중에 시골 내려가거든 포기나누기를 더 해서 더욱 많이 늘려야겠습니다.
꽃송이가 크고, 꽃잎이 단순해서 보기에도 좋대요.
서울 양재동 꽃시장에 가면.. 능소화를 팔던데.. 그게 무척이나 비싸대요. 종류도 여러 종류이고...
글 고맙습니다.
'소화'라는 식물 이름을 처음 보았다.
식물을 좋아한다면서 그간 수십 종류의 식물도감, 화목도감 등을 사서 읽었으나 '능소화'가 '소화(霄花)'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았다. 그만큼 내가 책을 읽고 사진을 볼 때에는 그냥 건성건성으로 읽는다는 증거였고, 한자말을 잘 모른다는 뜻도 되겠다.
능소화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꽃이 크고 아름다워서 조선시대에는 '양반꽃'이라며 양반들만 심고 가꾸고, 상민의 집에서는 심지 못하게 했단다. '하늘을 섬기는 꽃'으로 떠받들고...
이런 내용을 인터넷에서 검색하고는 나는 고개를 또 흔든다.
조선시대의 양반들이란 도대체 어떤 것들인지...
왕, 양반이 아닌 일반 상민(일반 백성과 천민 등)은 이런 꽃을 심으면 처벌받는다는 뜻일까?
왕, 양반은 전체 인구의 몇 퍼센트였을까? 그 나머지는 상놈이며, 쌍놈들이었을 터.
내 시골집에도 능소화는 있다.
수십 년 전 화망마을 3반인 '저건너마을'에 있는 수양어머니네* 갔다. 울안 담장 가생이에서 능소화가 있기에 뿌리를 조금 얻었다. 내 집으로 가져와 안마당 화단 담장벽 아래에 심었다. 수십 년 째 꽃이 피고 진다.
몇 해 전에는 줄기를 잘라서 윗밭에 삽목을 했더니만 몇 포기가 살았다.
나중에 더 많이 번식해야겠다.
인터넷에서 임의로 퍼왔다. 용서해 주실 게다.
정말로 화려하게 피었다. 넝쿨줄기를 늘어뜨리고...
뜨거운 태양의 계절에는 더욱 화려하게 피고...
푸른 하늘, 높이 뜬 흰구름...
* 수양어머니 :
쌍둥이었던 나.
동생이 스물두 살(만나이 20살) 여름방학 때에 서울에서 시골집으로 내려왔고, 저녁무렵에 울안 변소칸으로 가다가 뱀 물려서... 대천병원으로 .. 다음날 처절하게 몸부림치다가는 죽었다.
그게 포한이 되었을까? 큰아들을 남한테 팔면 탈없이 장수한다는 소문으로 어머니는 동네아주머니한테 나를 양아들 형태로 팔았다. 가까운 친척보다 더 가깝게 지냈다.
훗날 수양어머니는 돌아가셨고...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나는 그 수양어머니네로 놀러 간다.
텅 빈 시골집이라서 대문은 빗장 질렀기에 나는 그냥 스쳐서 바라만 본다.
그래도 내 마음은 늘 그 옛날을 떠올린다.
수양어머니네 울타리에서 조금 뜯어와 심었던 능소화... 해마다 예쁜 꽃을 피운다.
올해에도.. 지금쯤 피었을까?
시골집 다녀온 지도 벌써 달포가 더 지났으니...
2021. 7. 21. 수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