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이 낮아지면 봉구내의 벌들은 꿀을 충분히 섭취하고
몸을 좌.우로 흔들면서 배를 신축하고 다리나 날개를 움직여서
살기에 알맞은 봉구온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겨울철 온도변화가
적도록 보온을 해줘야 합니다.
봉구 외측에 벌은 내부에서 전해지는 열을 받고 발생된 열이 외부로
쉽게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하면서 벌들은 환류(還流)하는데
기온이 낮아질수록 벌들이 촘촘히 붙고 봉구가 작아짐니다.
겨울철 봉아육성이 정지된 상태에서 봉구온은 21℃ 내.외로 유지하는데
외부에서 충격을 가하면 온도가 상승됨을 볼 수 있습니다.
21℃ 전.후의 온도를 정태온도라 하고 이는 반 휴면상태로 꿀의 소모가
아주 적으나 외부의 자극이나 혹한이 오면 꿀을 많이 먹게 되는데
활동이 커지면서 급격하게 늙게되어 춘감현상의 원인이 됩니다.
첫 내검을 하면 꿀벌의 활동이 시작되면서 봉구내 온도가 35℃로
올라가고 산란. 육아가 시작되는데, 이 온도를 동태온도라고 하며
산란. 육아에 가장 알맞은 온도입니다.
겨울철에 일시적인 자극을 주면 동태온도로 변하기도 하는데
2시간 정도 흐르면 정태온도로 돌아감을 볼 수 있습니다.
그제는 산란/ 육아가 의심되는 벌통 몇개에 막대 온도계로 봉구온을
측정해보니 육아가 이미 시작됐음을 알수있는 온도가 나왔습니다.
소한때 몇일간 낮기온이 영상 8-13도까지 오르더니 산란을 한듯 합니다.
* 주관적인 관찰로 내용에 오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