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탄 우리말 문제풀이
1. 띄어쓰기가 바르지 않은 문장을 고르시오.
① 있을 수 없는 일이다.
② 너는 너 대로 일을 진행해라.
③ 방 안은 숨소리가 들릴 만큼 조용했다.
④ 그저 당신을 만나러 왔을 따름입니다.
⑤ 머리 아픈 데 먹는 약
2. 본말과 준말의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그렇지 않은 - 그렇잖은 ② 변변하지 않다 - 변변찮다
③ 정결하게 - 정결케 ④ 넉넉하지 않다 - 넉넉치 않다
⑤ 청하건대 - 청컨대
3. 다음 중 띄어쓰기가 바르지 않은 문장을 고르시오.
① 모르는 것이 약이다. ② 떠나는 걸 보지 못했다.
③ 이제 다 끝난걸 뭐. ④ 그런 게 아니다.
⑤ 그게 아닌 걸.
4. 다음 중 맞춤법에 어긋나는 것을 고르시오.
① 그렇지 않은 일
② 돌아보지 않는 성미
③ 슬프지 않은 것은 아니다.
④ 나에게는 알맞지 않는 일이다.
⑤ 숨 쉬지 않는 상태로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5. 다음 중 본말과 준말의 연결이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싸이어 - 쌔어 ② 쓰이어 - 씨어
③ 쏘이어 - 쐬어 ④ 누이어 - 누여
⑤ 트이어 - 틔어
6. 다음 중 띄어쓰기가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이 밥은 내가 먹지 않은 밥이다.
② 그는 몹시 불안해했다.
③ 곧 비가 올듯하다.
④ 강물에 떠내려가버렸다.
⑤ 궁금한 점을 알아가지고 갔다.
7. 다음 중 띄어쓰기가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국장 겸 과장 ② 열 내지 스물
③ 부산, 광주등지 ④ 청군 대 백군
⑤ 이사장 및 이사들
8. 다음 중 맞춤법에 어긋나는 것을 고르시오.
① 연말(年末) ② 신녀성(新女性)
③ 중노동(重勞動) ④ 남녀(男女)
⑤ 익명(匿名)
9. 다음 중 맞춤법에 어긋난 표현을 고르시오.
① 소쩍새는 배가 고파 죽은 누이의 영혼이다.
② 철수의 얼굴이 해쓱하다.
③ 갑자기 등 뒤에서 부썩 소리가 났다.
④ 깍두기를 한 입 베어 물다.
⑤ 무를 싹뚝 자르다.
10. 다음 중 맞춤법에 어긋나는 것을 고르시오.
① 사랑을 듬뿍 받다.
② 기분이 몹시 상하다.
③ 법썩을 부리다.
④ 그녀의 얼굴 육이 움찔 움직이다.
⑤ 사전을 꺼냈더니 가방이 훨씬 가벼웠다.
11. 다음 중 띄어쓰기가 틀린 문장을 고르시오.
① 그는 갈 데가 없다.
② 아픈 데는 없니?
③ 달리는 데는 선수다.
④ 머리 아픈 데 먹는 약
⑤ 키는 큰 데 하는 짓이 싱겁다.
12. 다음 중 단어의 발음이 잘못 연결된 것을 고르시오.
① 솜이불 - [솜니불] ② 옷맵시 - [옴맵씨]
③ 있는 - [인는] ④ 늑막염 - [능망념]
⑤ 읊는 -[음는]
13. 다음 중 밑줄 친 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그와는 서로 알음이 있는 사이다.
② 바로 앎이 중요하다.
③ 꽃을 한 알음 사 오다.
④ 앎의 힘으로 문화를 창조한다.
⑤ 진정한 봉사는 다른 사람의 알음을 바라지 않는다.
14. 다음 중 표준어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① 존댓말 ② 인사말 ③ 예사말 ④ 혼자말 ⑤ 노랫말
15. 다음 중 수관형사의 표기가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① 금 세 돈 ② 세 겹 ③ 네 자 ④ 네 되 ⑥ 네 섬
16. 다음 중 띄어쓰기가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지윤이는 남자만큼 힘이 세다.
② 현규만큼 엉뚱한 아이도 없을 것이다.
③ 현아가 애쓴만큼 성적이 나와야 할 텐데.
④ 그는 원빈만큼 잘생기진 않았다.
⑤ 희진이는 놀랄 만큼 열심히 공부했다.
17. 다음 밑줄 친 단어와 같은 뜻을 나타내는 것을 고르시오.
<< 마을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고는 가을걷이를 할 수가 없다. >>
① 장사꾼의 손에 놀아났다.
② 농사철에는 손이 부족하다.
③ 집안의 운명은 나의 손에 달려 있다.
④ 우리 집에는 늘 자고 가는 손이 많다.
⑤ 장날에는 조기라도 한 손 사야겠다.
18. 다음 중 보조용언이 쓰이지 않은 문장을 고르시오.
① 이제 청소를 다 했다.
② 꽃이 별로 예쁘지 않다.
③ 중요한 내용을 기억해 둔다.
④ 철수는 교실 밖으로 나가 버렸다.
⑤ 화가 나는 순간도 잘 참아 냈다.
19. 다음 중 맞춤법에 맞게 쓴 문장을 고르시오.
① 그 일을 난들 어쩌겠어?
② 아무려면 그 애가 정말 그런 말을 했을까?
③ 바람피다 걸리면 가만두지 않겠어.
④ 철수는 끝내 분을 삭히지 못했다.
⑤ 그 문을 잠궈라.
20. 밑줄 친 ‘지천이다’와 바꾸어 쓸 수 있는 말을 쓰시오. (주관식)
<< 봄이 한창이라 들에는 꽃들이 지천이다. >>
수고하셨습니다...^^
첫댓글
싸 
24532-43243-55342-3212-그리고...20번 한가득이다...(경상도에서 하는 말로는...흔해빠졌다 

)=========참, 5번은 문제의 오류가 아닌가 싶습니다만

스스로
을 다셨네요...

수고하셨습니다. 5번은 오류 아닙니다...

ㅇㅎㅎㅎ 다시보니 답이 보이네요...아까는 몇 번을 봐도 이상하던데 ㅋㅋ 살짝 고치고 갑니다.
2434[1,2]-23253-52342-3212널렸다 글쎄 5번이 오류가 아니다? 그렇다면 2번이 답인데, 하지만 아무래도 1번도 이상한데? '싸여'가 맞는데? 하지만 저도 5번 답은 두 개로 합니다. 혹시 회장님이 잘못 알고 있을 지도 모르니까. 그리고 14번도 답이 두 개 같은데 그 중 확실한 놈으로 찍었습니다. ㅎㅎㅎ
수고하셨습니다...^^ 5번에 대해선 저도 좀 더 연구를 해보겠습니다.. 제 상식으론 오류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만.....^^
사동/피동접미사 '이'는 어간에 붙어 줄어들 수도 있고 어미에 붙어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차이+어=채어/차여, 누이+어=뉘어/누여, 저도 '쌔다'는 못 본 표현이라 어색해 보이긴 했는데 사전에 나와 있네요. //어머니가 끼시던 가락지가 새하얀 한지에 꽁꽁 쌔어 있었다.§
24342-33223-52342-3212흐드러지다.(흐드러지게 폈다.)ㅋㅋ,
오~ 흐드러지다, 짝짝짝...ㅋ
언니의 답글을 이제야 봤슴다..ㅎㅎ 수고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