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적상산>- Korea 100대명산 붉은 치마를 두룬듯~德遊赤裳山 가을story- 01, 2024년 10월 20dlf 기록 한문희총대장, |
이 시대 白頭大幹과 명산명소를 탐사하고 있는 자유인의 英雄들!..
>>
>
>
자유인 100대명산 제1기~91회차 덕유적상산 종주기록실, ►일시: 2024년 10월 20일(일요), 기록: 총대장, 이형도 外24명 ►명산숲길: 무주치목마을P~굴다리~치목마을~송대~적상사고지~적상호~안국사~안렴대~적상산정상~향로봉~삼거리~정상산성 서문지~장지영장군묘소~느티나무~주차장 ►도상: 10.2km, 실제: 11.2km, 5:10분소요, -07:18분, 양재역 1번출구 70m – 수협은행 앞 출발, -08:00시, 안성휴게소, 월드VIP28인승 이용, -09:48분, 무주 덕유산 치목마을(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1387-1) 주차장, -09:55분, 치목마을회관((지번) 적상면 괴목리 1320-2, -10:00시, 치목마을 등산로입구 진입, -10:41분, 송대폭포, -11:23분, 적상사고지(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무주군 적상면 북창리 산 117-5), -11:43분, 적상호반 제방왕복, -11:53분, 안국사 부도전(무주군 적상면 북창리 산 184), -12:02분, 안국사일주문(國中第一淨土道場)(赤裳山安國寺),, -12:06분, 안국사 본사찰, -12:18분, 안렴대(按廉臺), 청렴한 거대암반의 안렴대, -12:27~12:57분, 적상산3거리에서 점심, -13:02분, 적상산(赤裳山 1034m), 붉은 치마의 산, -13:08분, 고사목(괴목), -13:14분, 3거리 이정목 서창마을2.8km +향로봉 0.7km, -13:25~13:40분, 향로봉(香爐峰 1024m), -13:55분, 3거리에서 강창열대장과 산제(山祭), -14:07분, 적상산성(山城) 서문지(西門址), -14:14분, 장도바위(將刀岩), -14:45분, 이정표(향로봉1.4km+서창마을1.4km), -13:10분, 서창마을 산문입구 산행마침,(천하대장군+지하여장군+입석), -15:10~25분), 장지현 장군묘소 참배, 420년 노거송, 느티나무 견학, ►에필로그: 100대명산 90회차, 월출산산행에서 약간의 의견충돌로 인해 격한 언성이 있었으니 황망한 일들이 아닐 수가 없다, 산은 거기에 있어 우리들은 편안히 오고가며 찾아들고 위안을 찾고 있지만 정착 위로와 상처를 어루만져야하는 우리들이 상처를 남기고 있으니 큰 산에 대한 예의가 아닐 수 없으니 심히 유감 아닌 유감들이 신령님과 상처 입은 분들에게 죄만 서럽고 송구할 뿐이다, 적상산과 향로봉 중간지점 성지(誠之)에서 정성을 다한 예절로 산제(山祭)를 모시며 안전제일주의와 긍정에 화목을 접목한 마음속 기원을 드리고 나니 복잡했던 기분이 와해지며 21기 동료들의 해맑은 사랑이 힘을 돋게 하였다, 붉은 기운이 넘치는 점토성 바위들이 띠를 이루어 붉운 치마를 상징하는 적성산의 유래처럼 붉은 색채는 정열의 상징으로 힘을 솟게 하는 기운이 있다하여 선조들도 선호하던 적상산이다, 7~800고지 정상에 산정호수가 있으니 적상호이다. 서편과 남쪽으로 바위군웅이다면 동북은 토산으로 이루어져 낙엽송과 소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고산에 수량도 풍부해 산정호수까지 있다 또한 산세 또한 적상산성(사적146호)과 어울림의 산성이 고려시대 거란족의 칩입으로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이곳 산성의 보호막이 피해를 피 할수 있도록 하였으니 또한 삼국의 치열한 국경전이 있을 만큼 군사 요충지였던 적상산이며 안국사를 위주로 수많은 암자들이 호국정신의 도량으로 또한 조선의 4대사고지에서 이곳 적상산성 5대사고지로 하였으니 기운이 성스런 땅이지 않는가? 많은 사람들이 교차하며 인사를 나누고 아직 초동 잎이 더 많은 단풍이 약 1주일 정도면 상징적 단풍명산의 위용이 될 성싶다, 긴팔과 보온성 자켇들이 주류를 이룬 쌀쌀한 날씨가 무겁게 느껴지지만 올 여름 하도 폭염과 전쟁을 치룬 사람들이라 마냥 해피한 기운들이 참으로 보기 좋다. 나도 덩달아 덕유 적상산을 노래하며 하산하니 서창마을 장지현장군께서 1592년 몸소 기침하시며 맞아주시고 장군송(將軍송) 420~520년수령의 노거송과 느티나무도 바람 따라 춤을 추시네, -모두 수고들 하셨습니다. 다음산행 완주 대둔산에서 만납시다- |
>
>
●100대 명산 적상산(赤裳山 1.029m)<명산을 찾아서> ●소재지: 전북 무주군 적상면 ●개요: 赤裳, 다홍치마 입은 너 참으로 곱구나…전북 무주군 적상산 전북 무주군 안성면에 자리한 적상산은 단풍이 곱게 물드는 가을에 제격인 산이다. 사방이 험한 바위절벽으로 둘러싸여 가을단풍이 붉게 물들면 마치 계단 위에 단풍나무를 치장한 듯 장관을 이룬다. 절벽 주변에 유난히도 빨간 단풍나무가 많아 가을철이면 마치 온 산이 빨간 치마를 입은 것 같다고 해 적상(赤裳)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덕유산 국립공원에 속하며 한국 100경 중 하나로 꼽힌다. 850~1000m 높이의 봉우리들이 마주하고 있지만 무주군 지역이 고원지대여서 실제로는 높은 느낌이 아니다. 도보뿐만 아니라 차량으로도 정상에 오를 수 있다. 정상 일대는 흙으로 덮인 토산(土山)이라서 나무숲이 매우 울창하다. 동쪽과 서쪽·북쪽에서 금강 지류인 무주남대천의 첫 물줄기가 시작된다. 적상산에는 단풍나무뿐만 아니라 소나무도 많아 주위의 바위와 잘 어울린다. 인근에는 어디에나 감나무가 많아 가을 정취를 돋운다. 적상산은 단풍명산과 더불어 역사적으로는 군사상 천혜요새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첫 오름이 평탄한 반면 산허리가 절벽으로 둘러싸여 산세가 험준한데다 물이 풍부해 방어상 유리한 조건을 갖췄기 때문이다. 실제로 산에 오르면 사적 146호로 지정된 적상산성을 구경할 수 있다. 석축 둘레는 1만6920자(5127m), 높이는 7자(2.1m)에 달했다고 전해지는데 지금은 폐허가 되고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고려말 최영 장군이 축조를 건의했다고 전해지나 조선시대의 여지승람 기록이 더 설득력을 가진다. 이 기록에 따르면 조선 세종때 체찰사(體察使) 최윤덕이 이곳을 답사하고 반드시 산성을 쌓고 보존해야 할 곳이라고 건의했으며 인조때 산성이 만들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조선 후기에는 산성 안에 국내 5대 사고(史庫·나라의 역사기록과 문서를 보관하는 곳)의 하나인 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가 세워졌다. 성내에는 또 안국사와 호국사도 있다. 이 사찰들은 나라의 안위를 빌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특히 호국사는 1614년부터 건립된 적상산사고를 지키기 위해 세워졌다. 1627년의 정묘호란(丁卯胡亂) 때에는 사고에 있던 서책들을 산 정상부의 안렴대(鞍簾臺) 아래 험준한 절벽 밑 굴에 숨겨두기도 했다. 상원사와 중원사 등도 비슷한 시기에 지어져 무예승을 양성했다. 지금은 울창한 숲 사이로 흔적만 남아 있다. 요충지였던 탓에 적상산은 신라와 백제가 서로 차지하기 위해 각축을 벌이기도 했다. 적상산성이 축조되기 전인 고려시대 거란족이 침입했을 때 인근 수십군현의 백성들이 살해당했지만 이곳 사람들만은 안전했다고 전해진다. 볼거리도 많다. 최영 장군이 적상산을 오르다 길이 막히자 긴칼로 내리쳐 길을 내고 올라갔다는 장도바위를 비롯해 장군바위·처마바위·천일폭포·송대폭포 등이 등산객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산의 정상 남쪽 층암절벽 위에 위치한 안렴대는 사방이 천길 낭떠러지로 내려다 보여 이곳을 오르는 사람들의 마음을 아슬아슬하게 한다. 안렴대란 명칭은 거란 침입이 있었을 때 삼도 안렴사가 군사들을 이끌고 이곳으로 들어와 진을 치고 난을 피한 곳이라 하여 붙여졌다. 경향신문/산림청/발본 평지같은 산 정상에서 산정호수도 볼 수 있다. 적상산 분지(해발 800m)에 위치한 인공호수로 양수 발전소에 필요한 물을 담아두기 위해 만든 댐인데 '적상호'라 불린다. 무주읍에서 산정호수까지는 포장도로가 뚫려 산행을 하지 않더라도 드라이브를 즐길 수 있다. 인근에 무주리조트와 무주구천동이 자리해 가족 나들이 코스로도 제격이다. ●산길 코스: ►종주코스: 치목마을 ~ 송대폭포~사고지~적상호반~안국사 부도전~ 일주문~안국사~안렴대~적상산~ 향로봉~3거리~산성 서문터~장도바위~서창마을~, 기타: 장지현장군 묘소 참배, 느티나무 괴목500년추정, |
>>
적상산 탐사 주요 지점들,
>
>무주 적상면 치목마을 주차장, 下 치목마을 회관,
> 치목마을 감이 익어가고 가을이 깊어가고 있습니다. 산문입니다.
> 上 송대폭포 지역, 지나며 테크목 계단이 이어집니다.
> 적상산 5대사고지입니다.
►적상산사고:임진왜란이 끝난 뒤 실록을 정리·편찬하여 5부를 완성하고, 춘추관·마니산·태백산·묘향산·오대산에 각 1부씩 보관했다.
이 가운데 북쪽에 위치한 묘향산사고를 만주에서 일어난 후금(後金:淸)과의 관계가 악화되자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었다.
1610년(광해군 2) 무주군에 있던 적상산성을 수리하고 1614년 실록전을 건립해 1633년(인조 11)까지 묘향산사고의 실록을 모두 옮겼다.
1643년에는 사고를 지키고 산성수비를 강화하기 위해 산성 안에 수호사찰로 호국사(護國寺)를 창건했다. 1872년(고종 9) 실록전과 선원각을 개수했으며,
조선 말기까지 실록이 완전히 보관되어 있었다. 1910년 일제에 의해 적상산실록은 창덕궁 장서각으로 이관되었다. 8·15해방 후 실록도난사건이 발생하여 여러 권이 없어졌고,
나머지도 6·25전쟁으로 분실되었다. 산성에 있던 실록전 등의 건물도 언제 어떻게 없어졌는지 알 수 없으며, 다만 선원각만 근처의 안국사(安國寺)에 남아 있다
>적상호(赤裳湖)양수발전소: 적상산성이 있고 해발 800m 지대에는 산정호수인 적상호가 있는데, 양수발전소에 이용할 물을 저장하기 위해 만든 인공호이다.
>
> 800미터 있는 안국사 부도전과 일주문 이곳까지 차량들이 왕래를 한다,
>
> ►안렴대(按廉臺): 안국사에서 서남쪽 1㎞ 지점에 안렴대(按廉臺)라는 큰 암반이 있다. 이 암반은 절벽 위에 있고 암반 밑으로는 큰 석굴이 있다.
고려 말기 거란의 침공을 받았을 때 3도안렴사(三道按廉使)의 관속들이 이곳에 피난하여 안렴대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
> ► 적상산(赤裳山 1.030.6m)
높이 1030.6m. 산을 형성하는 암석은 중생대 백악기(白堊紀)의 신라통(新羅統) 하부에 속하는 퇴적암류로 적색역암(赤色礫岩)과 적색셰일 · 응회암 등이다.
이 신라통 특유의 적색 계통의 퇴적암이 높이 400m의 절벽으로 산의 중턱을 감싸듯이 노출되어 있어서 마치 치마를 두른 것 같다 하여 적상산이라 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가을에 단풍이 들면 적색은 더욱 강화된다.
적상산의 산체는 남북 방향의 긴 타원형으로서, 동쪽의 곡저인 적상면 괴목리나 서쪽의 곡저인 사천리의 높이는 300m 내외이다.
이곳에서부터 경사각 10° 내외로 높이 550m까지는 완경사이다가 산의 중턱인 550m에서 950m 내외까지는 노암(露岩)의 절벽이다.
정상부는 900∼950m에서 1030.6m까지로 경사각 15° 내외의 완경사로 평정봉(平頂峰)이다.
이 산은 입체적으로는 정부(頂部)가 잘린 타원추의 모양으로 계곡이 방사상으로 발달하였으나 모두 무주 남대천(南大川)의 집수역이 되어 금강 수역에 속한다.
적상산은 상산(裳山), 또는 상성산(裳城山)이라고도 불린다. 산정이 평탄하고 물이 풍부하며 산의 허리가 절벽이라 천혜의 요새지가 되었다.
>
>
>
>
>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댓글 하나 남기는 센~스, 여러분 사랑합니다,
>
이어서 덕유 적상산 STORY- 02가 이어집니다.
다음삼행: 100대명산 11월 3일 호남의 소금강 "대둔산" 입니다.
>>
첫댓글 <audio src="https://blog.kakaocdn.net/dn/cE52Hz/btskuXjkuWp/2qLN3mEqHeuZRIq6GgA0cK/tfile.mp3"autoplay loop>
"The Sound Of Silence (더 사운드 오브 사일런스)침묵의 소리 (원곡 싸이먼 가펑클) 팬플루트"</audio>
<힛트 팝>- 침묵의 소리 (The Sound Of Si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