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올 반도체 담당 고영민 입니다.
금번 CES 2025를 지난 2024와 비교해봤을 때,
결론적으로 PC나 모바일의 온디바이스 관점으로만 접근했을 때 저희의 생각은 '크게 바뀐 부분이 없다' 입니다.
그럼에도 종합적으로 25년 AI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단서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씀드리는 배경은 1) AI 서비스의 고도화(Agent)와 2) NVIDIA에 있습니다.
다만 단순히 NVIDIA의 내용이 좋다의 의미 보다
1) 왜 이런 내용으로 기조연설을 했을지, 2) 산업과 별개로 NVIDIA는 계속 유리한 입장이 지속될 수 있을 지에 대한 고민이
향후 AI 산업에 대한 방향성 측면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해당 관점에서 해석해보았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5년 추론의 확장 속 NVIDIA가 구도 열위를 바꿀 수 있을지 여부가 주요 관전 포인트이며, NVIDIA와 빅테크의 경쟁 심화 속 한국 메모리(SK하이닉스)/유리기판(SKC)의 수혜를 주목합니다. 감사합니다:)
——————————————————-
[다올투자증권 반도체/소부장 고영민, 김연미]
CES 2025 참관기
- Beyond the Imagination
💡 핵심 주제 & 아이디어 요약
"AI 수요에 대해 더 이상 새롭게 상상할 수 있는 것이 점점 축소된다는 심리가 확대되면서, 이전 대비 반도체 업종의 Multiple은 더 이상 확장되기 어렵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그러나, NVIDIA를 통해 다시금 확장될 수 있는 단서가 확인됐다고 판단되며, 2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해석합니다.
1) Cosmos를 통해 물리 AI 학습 시대가 빠르게 도래할 수 있고 이는 로봇과 자율주행의 개화를 시사합니다.
2) 25년 NVIDIA의 AI Foundry 시장 진입으로 만들어질 빅테크와의 경쟁 심화는 메모리 프리미엄과 유리기판 채용 가속화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합니다."
▶️ 목차
Ⅰ. Summary
Ⅱ. 24년 AI 산업 확장, 한계점은 방향성이 아닌 속도
Ⅲ. CES 2025에서 필요했던 것
Ⅳ. NVIDIA 기조연설 - 이유, 의미, 그리고 미래
Ⅴ. 결론 및 투자전략 - 여전히 상상 그 이상
📑 자료: http://bit.ly/40vbn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