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요 "등대지기"의 원곡, 19세기 미국의 찬송가 "The Golden Rule"
등대지기 / 이선희
"등대지기"는 과거 오랜 동안, 한국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에 수록 되어 있었고, 한국에서 일반 대중에게 많이 알려져 "국민가요"라는 호칭까지 얻으며, 누구나 편히 부르기 쉬운 비교적 단조로운 음정으로, 한국인으로 부터 많은 사랑을 받아온 "동요" 또는 "대중가요" 입니다.
1970년경, 한국의 가수 "은희 "와 "양희은"이 이 곡을 부르면서 "영국 혹은 아일랜드 민요" 라는 설명과 함께 대중가요로 소개 되었습니다. 그후, 한국의 "4차 교육과정(1981-1987년)"을 시작으로, 최근년까지, 초등학교 5학년 음악 교과서에 악보와 함께 작곡자는 "영국 민요"로, 작사자는 '고은'으로 수록 되었었다 합니다.
현재 한국의 많은 웹페이지 역시, 작곡자는 "영국 민요," "아일랜드 민요" 혹 은 "스코트랜드 민요"로, 그리고 작사자는 "고은(高銀)" 혹은 "유경손"으로 각 웹페이지 마다, 각기 다른 가사와 함께 다소 부정확 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되었던 곡이다 보니, 한국인에게는 매우 오랜 동안 애창 되오던 "동요"이자 "대중가요"이기도 합니다.
이제 악보와 함께 확실히 밝혀진, "등대지기"의 원곡은 19세기말, 1864년경 부터, 미국에서 찬송가들과 함께 발간된 음악교본에 수록된 "The Golden Rule"이라는 제목의 찬송가 입니다.
작곡자는 "Richard Storrs Willis"라는 설이 있으나, 현재로서는 확실히 확인할 방법이 없고 작사자는 새로 발견 된 다수의 자료에 의해 "I. J. Zimmerman"으로 확인 됩니다만, 현재로서는 미국의 어느 기독교 종파에서도 불려지지 않는, 완전히 잊혀진 찬송가 입니다.
다만 이노래의 작사는 일본인으로 우리나라의 "고은" 또는 "유경선"으로 되어있는 것은 수정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한국으로의 전래는, 이미 일정시대의 음악교육에 "여박(旅泊)" 혹은 "조선(助船)" 이라는 제목으로 일정시대를 통하여 교육 되었었기에, 한국의 일부 노년층은 이곡의 멜로디를 어렴풋이 나마 기억 하시리라 짐작 됩니다.
출처 : 구글( 일부 편집) . 영상은 편집
세월호에 잠든 어린 영혼에 속죄를 .....
|
첫댓글 오늘 이노래가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자신을 돌아보고 또 돌아보고 반성합니다.영호와 라파~~~
우리 모두 반성해야지요. 마냥 부끄럽고 또 부끄럽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