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문화원 세벌식 한글 글자판”을
국가 표준으로 정해주길 바라는 진정서
박근혜 대통령님, 안녕하십니까?
우리는 지난 100여 년 전에 한글을 살리고 빛내는 일에 힘쓴 주시경 선생과 일제 때 목숨을 바치며 한글을 지키고 살린 조선어학회 정신을 이어받아 우리 겨레와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으로 우리 한글 발전과 한글문화 창조에 애쓰고 있는 한글문화단체들입니다.
대통령님께서도 아시다시피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글자로서 우리 겨레의 자랑이고 우리 겨레 문화 창조의 최신 도구요 무기입니다. 이 한글은 광복 뒤 온 국민이 글을 읽고 쓰게 해서 국민 지식수준을 빨리 높여주었고 그 바탕에서 50여 년 만에 세계가 놀랄 정도로 빨리 경제 발전과 민주주의를 이루게 해주었습니다.
그리고 이 한글은 컴퓨터를 쓰는 인터넷 정보통신 시대를 맞이해 우리나라가 정보통신 강국으로 가는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일찍이 광복 뒤에 공병우 박사가 한글속도타자기를 발명해서 기계로 글을 쓰는 시대를 열었습니다. 그리고 공병우 박사는 1980년에 미국에 가서 컴퓨터용 한글 글자판과 한글 문서편집기를 연구하고 1988년에 귀국해서 한글문화원을 설립한 뒤에 한글 창조원리와 특징을 살린 세벌식 컴퓨터용 글자판을 만들었고 그 한글문화원 안에 한컴 문서편집기 ‘ᄒᆞᆫ글’을 만드는 젊은이들을 모아 그 개발을 도와주었습니다.
지난해 문화재청은 1949년에 만든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와 1989년에 한글과검퓨터가 한글문화원에서 만든 한글문서편집기 ‘ᄒᆞᆫ글’을 근대문화재로 등록했습니다. 그 때 한글문화원에서 공병우 박사를 모시고 한글 자판과 한글문서편집기를 연구하고 개발한 한글 글자판 전문가들은 20여 년 전부터 한글과 정보통신 발전을 가로막는 두벌식 자판은 잘못된 것이니 세벌식 자판을 국가 표준으로 정해주기를 정부에 호소했으나 외면당했습니다.
이것은 매우 잘못된 일입니다. 정보통신 기계에서 한글의 창제원리와 특징을 살린 문서편집기를 잘 이용할 때에 정보통신과 한글이 발전하는데 그러지 못한 두벌식 자판을 국가표준으로 정함으로써 정보통신 발전에 한계가 있고 걸림돌입니다. 이제 이 사실을 컴퓨터와 정보통신 전문가들은 모두 인식했으며 더욱이 중국도 그 문제를 깨닫고 한국에서 제대로 된 세벌식 자판을 만들지 않으면 자신들이 만들어 중국 국가표준으로 정하고 그것으로 북한과 함께 세계 표준까지 가겠다고 나서고 있습니다.
그렇게 되어서도 안 되고 될 수도 없으며, 중국 조선족들이 국가표준으로 정하자는 세벌식은 제대로 검증된 것이 아닙니다. 그런데 25년 전에 공병우 박사가 한글문화원에서 만든 세벌식 자판은 지금까지도 전문가들이 잘 쓰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난날 공병우 박사와 함께 한글문화원에서 세벌식 자판과 한글문서편집기를 연구하고 만든 자판 전문가들이 그 때 만든 “세벌식 390자판과 그 다음 나온 최종 자판”을 개선해서 “한글문화원 세벌식 자판”을 최근에 새로 만들어 정부에 드리오니 검토하여 국가표준으로 정해서 북한과 중국 동포까지 쓸 수 있는 세계 표준으로 갈 수 있게 해주시기를 간절히 호소합니다.
이 일은 비정상을 정상으로 되돌리고, 한글발전을 가로막는 규제를 푸는 길이며 우리 자주문화와 기술을 살리고 남북 통일준비를 하는 일로서 돈이 많이 드는 일도 아닙니다.
우리 한글문화단체들은 이 “한글문화원 세벌식 자판 안”이 우리문화 융성과 한글과 정보통신 발전의 밑거름이 될 가장 훌륭한 글자판이라고 보아 그 관련 자료를 첨부해 진정서를 바칩니다.
나라 일이 잘 되고 대통령님께서 안녕하시길 바라며 줄입니다.
2014년 7월 23일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 회장 이상보 드림
진정서를 함께 내는 한글문화단체: 한글학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솔회, 국어순화추진회, 국어문화운동실천협의회, 국어문화운동본부, 전국국어운동대학생동회, 국어단체연합회,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우리말바로쓰기모임, 짚신문학회, 한국마주이야기교육연구소, 한국바른말연구원, 한글문화연구회, 한글재단, 한글문화연대, 한글문화세계화추진본부, 한말글문화협회, 한국땅이름학회, 한글문화원, 한글사랑운동본부, 한글빛내기모임, 세종대왕나신곳찾기모임, 훈민정음연구소.
붙임: 1. 고 공병우 박사 경력과 한글문화원 소개
2.중국 한글공정 관련 신문기사
3. 한글문화원 세벌식 글자판 안
첫댓글 이 자판은 어떤 방식으로 테스트 했나요? 실제 이 자판을 시험해 본 사람 수? 시햄해 본 시간? 연습용 프로그램은???
한글문화원에서 제안한 표준안이 한글문화원 홈페이지 http://moonhwawon.ye.ro/main.html 에서는 찾을 수 없네요.
인터넷 검색하다가 10년 전의 글을 보게 되었네요. 요즘 진행상황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