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명보 감독
2013년
[2013 동아시안컵]
7월 20일 vs 호주 0대 0 무승부
7월 24일 vs 중국 0대 0 무승부
7월 28일 vs 일본 1대 2 패배
8월 14일 vs 페루 0대 0 무승부
9월 6일 vs 아이티 4대 1 승리
9월 10일 vs 크로아티아 1대 2 패배
10월 12일 vs 브라질 0대 2 패배
10월 15일 vs 말리 3대 1 승리
11월 15일 vs 스위스 2대 1 승리
11월 19일 vs 러시아 1대 2 패배
2014년
[미국 전지 훈련]
1월 25일 vs 코스타리카 1대 0 승리
1월 29일 vs 멕시코 0대 4 패배
2월 1일 vs 미국 0대 2 패배
3월 6일 vs 그리스 2대 0 승리
5월 28일 vs 튀니지 0대 1 패배
6월 9일 vs 가나 0대 4 패배
[브라질 월드컵]
6월 17일 vs 러시아 1대 1 무승부
6월 22일 vs 알제리 2대 4 패배
6월 26일 vs 벨기에 0대 1 패배
슈틸리케 감독
10월 10일 vs 파라과이 2대 0 승리
10월 14일 vs 코스타리카 1대 3 패배
11월 14일 vs 요르단 1대 0 승리
11월 18일 vs 이란 0대 1 패배
2015년
1월 4일 vs 사우디아라비아 2대 0 승리
[2015 아시안컵]
1월 10일 vs 오만 1대 0 승리
1월 13일 vs 쿠웨이트 1대 0 승리
1월 17일 vs 호주 1대 0 승리
1월 22일 vs 우즈베키스탄 2대 0 승리
1월 26일 vs 이라크 2대 0 승리
1월 31일 vs 호주 0대 1 패배
3월 27일 vs 우즈베키스탄 1대 1 무승부
3월 31일 vs 뉴질랜드 1대 0 승리
6월 11일 vs UAE 3대 0 승리
[러시아월드컵 2차예선]
6월 16일 vs 미얀마 2대 0 승리
[2015 동아시안컵]
8월 2일 vs 중국 2대 0 승리
8월 5일 vs 일본 1대 1 무승부
8월 9일 vs 북한 0대 0 무승부
[러시아월드컵 2차예선]
9월 3일 vs 라오스 8대 0 승리
9월 8일 vs 레바논 3대 0 승리
총평
홍명보 감독은 상당히 낮은 승률을 기록했고 역대 최저 승률이라는 기록으로 나타났으나
대결했던 팀들의 면면을 볼때 단순히 역대 최저 승률이라는 기록만으로 마냥 까이기는 조금 아쉽지 않나 생각합니다.
물론 월드컵에서의 부진이나 튀니지,페루 등 충분히 잡을 수 있던 팀과의 결과는 비판할 수 있는 부분.
동아시안컵 같은 경우는 부임한지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경기력 측면에서는 상당히 고평가를 받았었죠.
물론 공격수 선발에 있어 문제가 있는 기용으로 득점에는 실패했지만..미국 전지훈련도 마찬가지.
멕시코나 미국 등의 전력을 봤을때 질 수도 있는 경기였지만 선수 선발이나 전술에 있어 세심함을 더했다면
졸전까진 나오지 않았을텐데요.
슈틸리케 감독은 상당히 높은 승률을 기록하고 있고,
대체적으로 아시안컵 대회를 기점으로 대표팀을 정상 궤도로 돌려놓았습니다.
유럽이나 남미의 수준급 강팀과의 매치를 통한 검증은 현재 각종 대회 예선으로 잠시 미뤄놔야겠지만
과거 감독들에 비해서 아시안컵이나 각종 평가전에서 보여주듯 실점을 최소화하면서 승점을 얻어가는 능력이
탁월하게 드러납니다. 아시아 국가들과의 경기에서 과거에 종종 발목을 잡히는 모습이 있었는데
수비의 안정화를 통해서 그런 위험성을 없애고 잡아야 할 팀은 확실히 잡고 가는 모습이 고무적입니다.
특히나 아시아권 국가들의 수준이 전체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런 실리를 챙기는 능력은 대표팀에게 굉장한 이득.
첫댓글 어떤분들이 홍감독을 역대최저승률 기록했다고 까던가요? 선수선발에 있어서의 문제가 가장컸죠. 선수선발만 제대로했더라면 그런 똥망 경기력이 나올리가..
최저승률이란 이유로 심심찮게 까이던데요.
@레전드 한국 그니까 최저승률이 왜 나왔는지가 중요한거죠ㅎㅎ 그걸 전체적으로 보고 까는거겠죠?
선수선발만 문제가 아니고..전술부재도문제였죠 전술이없었어요 어느팀을만나도 똑같은선수에똑같은 포메이션
@정신차려이각박한세상속에서정원 전체적으로 보고 까는지 어쩐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냥 최저승률 ㅉㅉ 뭐 이런 글은 봤어도..
제가 다른 글을 못 본 건지도 모르죠.
경기력은 홍명보 감독일때가 앞에 조광래, 최강희때보다는 나았던것 같은데요.
경기력이요? 조광래가 실험을해서그렇지 대부분 만화축구로 눈이 즐거웠죠. 최강희감독때는 워낙 기간이 짧아서 보여줄수있는게 없었고.. 홍감독이 저는 최악이라고봐요. 심심하면 대패에.. 폼 엉망인 선수들 쓰느라 빌드업도안되고 수비 뻥뻥뚫리고 공격에는 박주영...
@정신차려이각박한세상속에서정원 최강희나 홍명보나 둘다 기간은 짧았습니다. 그리고 조광래축구 목표가 스페인축구고 만화축구였지 경기력은 완성 못시키고 떠났죠. 눈이 즐거웠던적이 있었는지.. 싶습니다
홍명보가 최악
@객객 2011아시안컵부터 레바논 6-0으로 이길때까진 좋았다고 봐요.. 그후로 망이었지만
@객객 당연히 만족할만한 모습이 안나왔지만 홍명보는 최악중의 최악이었죠.. 아무리 선수실험한다고해도 월드컵 코앞까지 선수들 바꿔가며 광탈하다가 월드컵본선에서 박주영찬양모드.. 저는 여태까지 그렇게 힘빠지는 월드컵 처음입니다. 과정이나 경기력이나 결과나
부임 후 시기가 다르지만 동아시안컵 결과 자체가 다르죠.
홍명보 감독 2무1패 그중 득점은 1득점 한경기 일본전 뿐이죠.
그리고 슈틸리케는 당연히 결과는 다르고요.
그리고 미국서 평가전에서 이상한 선수들 골라잡아서 똥망경기력 나온적도 있고
튀니지랑 졸전
그나마 선전한게 크로아티아 전 정도밖에 기억안나는군요
슈틸리케와 다른점은 뭐 질팀이야 질수도 있다고 쳐도, 이길팀을 못이겼다는겁니다.
딱봐도 붙었던 팀 수준이 다르죠. 단순하게 승률로 비교할수는 없습니다
팀수준을 고려해도 경기내용으로 확인할수가있죠. 아 이팀이 만들어가는 중이구나, 이팀이 이런 경기를 하려고하는구나 이런게 보여야하는데 도무지 이팀이 뭘하고있는거지? 이런 생각밖에 안들었으니까요
@정신차려이각박한세상속에서정원 보신분도 계시고 못보신 분도 계시죠. 홍명보 부임때부터 공식적으로 점유율 게임을 천명하고 나섰습니다. 실제로 월드컵 본선에서도 러시아, 알제리, 벨기에 상대로 점유율은 다 우세하게 가져왔습니다. 결과가 안좋았던것이지 무슨 축구를 하려고하는지는 분명했습니다
@객객 수비진영에서 볼만 돌린다고 다 점유율축구는 아니죠ㅎㅎ
붙었던 팀 수준이 다른 건 맞는데....
결과적으로 수준이 현격히 차이나는 팀은 이기는데....... 수준이 비슷하거나 나은팀에서는 결과적으로 보여준 게 없다는 거...
세계적인 팀하고 맞붙어서 이기는 데에 국가대표 팀 목표가 맞춰줘야.......
@정신차려이각박한세상속에서정원 점유율 축구는 티키타카같은게 아닙니다. 상대 수비가 진을 친 적진에서도 짧은 패스를 하면서 공을 안뺏기고 골까지 만들어내는 바르셀로나 축구를 보고 찬미하는 표현이 티키타카였을 뿐이죠. 의도적으로 소유시간을 늘리기위해선 결국 공을 돌리는 선택을 해야합니다.(팀에 전성기 메시, 사비, 이니에스타가 있지않는이상) 그점에서 점유율 축구가 아니네 맞네 논쟁할 건덕지는 없어요
홍명보가 최초에 천명한 자신의 철학은 이렇습니다. 한국 선수들은 공을 잘 뺏는다, 그리고 쉽게뺏긴다. 그래서 공 소유권을 쉽게 내주지않기 위해서 점유율축구 (공을돌리는)를 하겠다 라는겁니다
@배름 물음만 하시고.. ㅎㅎ 본인의 생각을 말씀해주셔야 거기에 맞는 답변을 해드릴텐데요. 애초에 점유율축구를 천명한팀에게 빠른 경기템포를 원한다는것 자체가 어불성설이죠. 결과적으로 점유율만 가져오고 실패했던건 위에 말씀하신 애매한 압박지점부터 해서 알제리전 멘탈털리고 와해된 수비조직력, 홍명보의 리더쉽등 여러 요인이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