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포털에 올라온 기대 넘치는 질문 하나. “남편과 근처 육지를 향해 수영을 하는데 갑자기 옆으로 우리보다 큰 잉어가 유유히 헤엄치며 지나가는 게 아니겠어요. 그러더니 육지 쪽에서 우리를 기다리는 거예요. 무슨 꿈인지 궁금합니다.” 얼마나 용한지 알 수 없지만 이어지는 해몽을 보자니 질문한 여인은 가슴이 무척 설렜을 것 같다. “수영을 한다는 건 자신이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걸 암시합니다. 바다에서 근처 육지라면 섬을 말할 텐데, 섬은 임신과 출산이라는 목표를 상징하니 조만간에 기쁜 소식과 귀한 자손이 찾아가겠군요. 축하합니다!”
대개의 잉어 꿈은 해몽이 좋다. 내가 잉어를 잡거나 내 집에 잉어가 들어오면 태몽이거나 재물이 늘어난다는 의미인데, 그저 연못의 잉어를 보기만 해도 길몽이라고 한다. 나는 왜 이제까지 잉어 꿈을 꾸지 못했을까. 아쉽지만 때로 흉몽도 있다. 자신이 잉어가 된다면? 그것 참. “정신적 고통은 심해지는데 의논할 사람이 없다”는 풀이가 나온단다. 그렇듯 잉어에 얽힌 이야기는 많다. 중국 황하 중류에 ‘용문협’이라는 좁은 3단 골짜기가 있는데, 그 곳까지 올라가는 잉어는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간다고 한다. 잉어가 용문을 통과하듯, 과거에 급제했을 때 우리는 ‘등용문’에 들었다 했다.
한때 오염 한강의 대표적 지천으로 지목되던 중랑천에 잉어가 떼를 지어 올라온다고 한다. 낡은 하수관을 정비하고 고도정수 처리한 하수를 방류하자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이 12피피엠에서 3피피엠 이하로 개선되며 나타난 현상이라고 의정부 시당국은 자랑한다. 어디 중랑천뿐이랴. 2급수로 정화한 생활하수를 5.5킬로미터의 ‘시민의 강’에 방류하자 고층 아파트 숲인 부천 중동 신시가지에 어른 팔뚝보다 큰 잉어들이 유유히 지나다닌다. 시멘트 콘크리트로 유려하게 단장된 청계천에도 잉어가 모습을 드러낸다던데, 사람이 아니라 잉어의 꿈은 무엇인가. 인간이 제발 하천을 깨끗하게 사용하주길 바라는 건 아닐까.
잉어는 바닥에 진흙이 깔리고 물 밖으로 잎을 내미는 수초가 많은 하천의 중하류에 주로 살지만 흐름을 거의 잃은 호소도 마다하지 않는데, 덕분에 주변에서 농사를 짓던 우리네의 삶과 무척이나 가깝다. 문화의 한 영역을 차지할 정도다. 길몽과 태몽을 안내할 뿐이 아니다. 알을 자그마치 30만 개나 낳으므로 다산의 상징으로 여겼는지 선조의 화폭이나 자수에 자주 선보이고, 자물쇠의 모양이나 문양에 단골로 등장한다. 물고기가 다 그렇긴 한데, 선조가 보기에 2쌍의 수염이 품격을 높이는 잉어는 언제나 눈을 뜨고 있다. 그래서 밤이고 낮이고 주위를 지켜볼 테니 뒤주나 곳간의 자물쇠로 화했다는 거다.
농민의 보양식으로 하천과 저수지의 잉어는 더 없이 요긴했을 것. 버릴 것이 하나 없다고 상찬한다. 동의보감에서 허준이 기록했듯, 잉어의 살은 태아의 태동을 안정시킬 뿐 아니라 입덧을 가라앉히고 산후에 부기를 빠지게 하며 모유까지 잘 나오게 한다니 임산부에게 그 이상이 없었을 게다. 어른 팔뚝만한 크기는 작은 측에 들고, 50센티미터가 넘는 녀석이 많은 잉어. 어떤 놈은 1미터가 넘기도 한다. 그런 잉어 한 마리만 잡아도 만삭의 몸으로 뙤약볕에서 김매느라 고생한 며느리에게 부족함이 없으리라. 며느리만이 아니다. 정액에 많은 아미노산이 유난히 풍부해 정력이 강해진다니 이번엔 사내들이 반긴다.
고기에 불포화지방산이 많아 동맥경화나 고혈압에 좋고 내장은 간에 약이 된다니 뚱뚱한 주당들이 흡족해할 것인데 다른 부위도 하찮게 여길 수 없다. 쓸개는 눈에 좋고 골은 이명에 효과가 있으며 뼈는 여성의 대하를 낫게 한데는 게 아닌가. 그 뿐이 아니다. 기왓장 같은 비늘은 산후 하혈을 진정시키고 피까지 아이의 종기와 부스럼을 완화한다니 백성에게 잉어는 차라리 축복이라 하겠다. 그렇다면 가장 좋은 잉어 요리는 비늘을 제거하지 않은 백숙일 터. 한데 그 백숙에 잉어의 살코기는 보이지 않는다. 내장을 따로 긁어낸 잉어를 굵은 소금으로 비늘이 남을 만큼 닦아내고, 들기름으로 살짝 튀긴 몸통을 3시간 정도 푹 고아 건져 삼베로 짜내면 진한 곰국이 완성된다. 거기에 인삼, 대추, 밤 들을 넣고 은은하게 다시 곤 국물이 바로 잉어백숙이다. 어찌 몸에 좋지 않을 수 있으랴.
잡식성으로 아무거나 잘 먹고 게다가 쑥쑥 자라니 단백질원이 부족한 농경사회에서 더없이 훌륭한 양식어였건만, 욕심이 과했나. 1970년대 흔히 향어라고 말하는 이스라엘잉어를 정부에서 들여와 전국의 댐과 호수의 가두리 양식장에 풀어놓은 것이다. 한때 횟감으로 인기가 높았지만 시들해지면서 일부가 자연으로 빠져나갔는데 그만 토종 잉어와 만나 잡종이 만들어낸 게 아닌가. 그나마 다행인지 양식용으로 개량한 탓에 우리 자연에서 번식이 활발하지 못하다고 한다. 배스나 블루길처럼 급작스레 퍼져 하천 생태계를 점령하지 않았다는 건데, 여전히 전국 하천의 낚시터에서 제법 잡힌다.
잉어를 전문으로 잡는 낚시꾼에게 들깻묵가루가 인기인 모양이다. 들깻묵가루와 붕어떡밥을 9대1로 푸석푸석하게 반죽해 낚싯바늘 바로 뒤에 덕지덕지 묻히고 던지면 커다란 잉어가 영락없이 걸려들기 때문이라지만 문제는 늘 욕심이다. 빼곡히 몰려드는 낚시꾼들이 던지는 들깨묵떡밥으로 중랑천이 다시 오염된다는 게 아닌가. 욕심 사나운 강태공들은 낚시로 만족하지 않는다. 주위 눈총에 아랑곳 하지 않고 그물을 던지거나 아예 산란을 가로막는 자도 있다. 아카시가 꽃망울을 터뜨리는 4월말부터 수초가 무성한 하천 가장자리로 알을 낳으려 허겁지겁 몰려드는 잉어를 뜰채를 떠올리는 인간, 잉어가 볼 때 천하의 불한당이다.
세금으로 단장한 하천을 구름에 달 가듯 지나가는 잉어들을 보며 시민들은 어렴풋하나마 자연을 느낀다. 그런 시민들은 먹이를 던져주며 흐뭇하게 바라볼 뿐 그곳에 낚싯대를 드리우려는 자를 용납하지 않는다. 한 마리에 수백에서 수천 만 원을 호가하는 비단잉어가 아니더라도 그렇다. 바닷물이 섞이는 강서습지생태공원에 곧 어른 팔만한 잉어들이 첨벙대며 몰려와 방문자들의 탄성을 자아내겠지. 바야흐로 뭇 생명이 잉태되는 4월. 우리 민물고기의 대표인 잉어도 때를 놓치지 않으니 그저 고마울 따름이다.
첫댓글 잉어가 비로소 알을 낳을 때가 되었는데, 요즘 날씨가 수상하네요. 개나리도 꽃봉오리를 펴지 않았으니 잉어도 아직 알을 낳으려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미국의 호수와 넓은 강은 폭발적으로 늘어난 잉어 때문에 골치를 썩힌다는데, 우리에게 잉어는 긍정적이기만 하네요. 역시 제 나라의 생태와 문화 속에서 건강과 인기를 누리는 모양입니다.
물고기도 자기를 귀하게 여기는 줄 아는 모양입니다.누구는 태몽에 잉어한테 발 뒤꿈치를 꽉 물렸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생활하고 밀접하고 버릴게 하나 없는 잉어에게 우리도 해되는 일은 하지 않아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