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토후사토지지신축(平土後祀土地之神祝) * 지방에 흔히 따라 평토제, 성분제, 평토지, 평토후제주제,라고 부른다. 성분(成墳)이 끝나면 묘전령악(墓前靈幄)에서 이 제(祭)를 지내는데, 매갱(밥,국)을 갖추어
지내야 한다. 지내는 시점은, 봉분(封墳)을 완성하고 지내는 것이 원칙이나, 사정에 따라서는 봉분을 조금 덜마친 시각에, 묘전(墓前)에서 행하기도 하고,
가까이 설치한 조문(弔問)을 위한 빈소가 있는경우, 빈소에서 모시기도 한다. 이때 신주기성(神主旣成)이면 신주(神主)에게 제사를 드리고 바로 혼백(魂帛)을 땅에 묻으며,
신주미성(神主未成)이면 그냥 혼백(魂魄)에게 제사를 드린다. 여기서도 요즘은 대부분 ‘신주미성’이므로 여기에는 부모초상(父喪)과 승중 경우의 축문을 남기며, 그 외, 모상, 처상, 자상.....등의 경우 축문은, 질문자에 한해 답을 남기기로 하겠다. ------------------------------------------------------------------------------------ (평토제축문) 維歲次己丑五月甲子朔十七日丁卯 孤子 (이름)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形歸窀穸 神(魂)返室堂 神主未成 權奉紙牌 伏惟尊靈 舍舊從新 是憑是依 ------------------------------------------------------------------------------------------------------ * 神主未成이하를 고쳐 쓸 경우. *위패로 모실때.----- 權奉紙牌 伏惟尊靈 舍舊從新 是憑是依 * 혼백으로 모실때.--ㅇ伏惟尊靈 依舊束帛(魂箱猶存) 是憑是依 ㅇ(魂帛仍存) 舍舊從新 是憑是依 * 혼백없이 사진으로만 모실때.---- 零本寫奉 舍舊從新 是憑是依 -------------------------------------- (조부승중(祖父承重)의 경우) (조부님 초상에 아버지(先亡)가 계시지 않아 손자가 주상(主喪)이 된 경우) 維歲次己丑五月甲子朔十七日丁卯 孤孫 (이름) 敢昭告于 顯祖考學生府君 形歸窀穸 神(魂)返室堂 神主未成 伏惟尊靈 依舊束帛(魂箱猶存) 是憑是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