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 미분양 아파트 거래 양극화
국민주택 규모 '거래 활발'…대형 '침체 여전'
원주시 미분양 아파트 중 85㎡ 이하 국민주택 규모 아파트는 거래가 활발한 반면 중대형 평형 아파트는 거래가 좀처럼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주시에 따르면 올해 6월말 현재 관내 85㎡ 이하 미분양 아파트는 777세대로 지난 연말 1천100세대, 2008년 말 1천561세대와 비교해 점차 감소하고 있다.
단구동 정현옥 공인중개사는 "2008년 말부터 부동산 경기가 하향곡선을 그리자 정부에서 취·등록세 감면, 양도세 상환유예 등의 조치로 국민주택 규모 미분양이 줄었고, 당시 아파트 분양가가 3천만~4천만원씩 할인되며 매매시장이 침체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무실3지구 국민주택 규모 아파트 경우 부동산 시장에 나오자마자 거래되고 있다. 주로 신혼부부나 독신세대, 독거노인들이 찾는다.
148㎡ 이상 중대형 아파트는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 이는 아파트 구입가가 너무 비싸다는 지적이 많다. 1가구 1주택자인 사람이 관내 전용면적 148㎡ 아파트를 구입하려면 2억5천만 원 정도가 필요한데 금융권에서 1억5천만 원을 대출받을 경우 80만~100만 원의 이자를 매달 납부해야 한다. 이렇게 이자 부담이 큰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가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선뜻 투자하기 어렵다는 것.
전문가들은 "원주에서 2억 원 이상 아파트는 서민들에게 부담이 크다"며 "148㎡ 이상은 전세로 돌려도 1억 원 이상에 나오고 월세로 세를 놓아도 보증금 5천만원에 월 80만 원 정도여서 입주하려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말한다.
원동 김학길 공인중개사는 "원주시 인구가 계속 유입되는 상황과 지금처럼 소형주택 규모의 아파트 거래가 활성화 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5년 이내에 소형평형 아파트는 거래물건을 찾아보기 힘들 것"이라 전했다. 정현옥 공인중개사도 "소형평형 아파트는 거래가 활발한 반면 건설사 입장에서는 수익이 적다"며 "LH공사나 지방공사가 국민주택 규모 아파트를 건설해야 하는데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DTI 완화문제에 대해서는 부동산 전문가들은 "DTI 규제는 지방에는 적용되는 곳이 거의 없고, 완화가 된다 해도 심리적인 영향일 뿐이지 원주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이란 의견들을 제시했다.
원주투데이 2010.9.13 최다니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