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서울역사(驛舍) 준공도면 원본 공개?
서울역사박물관은 지난 7월 7일 보도자료를 통하여 구 서울역사 준공도면 원본 공개를 발표한 사실을 뒤늦게 철도박물관 학예사를 통하여 알게 되어 관련 보도자료와 이와 관련한 서구원교수님의 블로그(http://blog.daum.net/sfeelbug/8611314)에서 관련 글을 읽고 그냥 지나칠 수 없어 몇 자 올립니다.
먼저 서울역사박물관이 공개한 사진은 구 서울역사 설계도면 원본은 아닙니다.
사진에는 분명히 ‘경성정거장본옥기타개축공사준공도’(京城停車場本屋其他改築工事竣工圖)라고 기록되어 개축(改築)공사 도면일 뿐 신축공사 도면이 아님을 명기했습니다.


당시 공사를 담당했던 淸水組京城支店(일명 시미즈건설)에서 1925년10월에 발간한 경성역신축기념 사진첩인 “신성기념”에 포함된 도면에는 ‘경성역신축본옥기타각층평면도’라 표기하여 신축 도면임을 명기하였음에도 서울역사박물관의 자료에는 ‘개축공사준공도’라 표기된 사실이 본래의 설계 도면이 아니고 준공 후개축공사 시 사용된 도면임을 알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1922년 6월 1일 착공, 1925년 9월30일 준공한 건물의 준공 날자를 미리 도면에 표기할 수는 없겠죠.
아래 사진은 목원대학교 김정동교수님께서 도쿄대학에서 어렵게 복사해온 사진을 철도박물관에 기증하신 도면 사진입니다.

사진에 ‘大正九年十一월 塚本靖’라 기록되어 1920년11월에 ‘츠카모토 야스시’ 가 제작하였음을 표기하여 1922년 6월 1일 착공과 상관관계가 가능하며, 그는 1869년부터 1937년까지 살았으며, 당시 동경제국대학공과대학 교수는 도쿄역의 설계자인 辰野金吾(타츠노 킨고)의 제자이기도 하며 김정동교수에 의하면 도쿄대학에서는 서울역 설계자로 인정하고 있다 합니다.
그리고 신성기념 사진첩에 수록된 공사개요와 설계그림 몇 개를 첨부합니다.
공사개요

1층 평면도

2층 평면도

지하층 평면도

다음 구 서울역사의 모델이 된 건물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의견이 분분합니다만 구 서울역사는 1917년부터 한국철도 경영을 위탁받은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일명 만철)에서 계획하고 공사를 진행하여 준공일(1925년 9월30일)을 얼마 남기지 않은 1925년 4월 1일 경영권을 조선총독부에 넘겼기에 거의 모든 공사를 만철에서 완료한 것이며, 중국 다렌에 가면 지금도 만철 본사로 쓰였던 건물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저는 그곳에서 서울역과 많이 닮은 100년이 넘은 건물들을 많이 보았답니다.
아래 그림들은 사람들이 구 서울역 모델이라고 말하는 건물 들입니다.
어떤 건물이 구 서울역사의 모델이 되었는지는 여러분이 판단해 보세요
구 서울역사

산마르코성당

도쿄역

스위스 루체른역

중국은행 다렌지점


<서울역사박물관 2016. 7. 7.(목) 석간용 보도자료>
담당부서 : 서울역사박물관 유물관리과 학예연구부장 박현욱 724-0138
유물관리과장 한은희 724-0155 담당자 김동준 724-0160
관련홈페이지 www.museum.seoul.kr
옛 서울역사인 경성역(京城驛) 준공도면(1925년) 원본 공개
- 서울역사박물관, 1925년 경성역 완공당시 원본 도면 등 3점 공개
- 경성역 준공도면은 전주에 거주하고 있는 양병남씨로부터 수증
□ ‘경성역 정면도’(京城驛 正面圖), ‘경성정거장본옥기타개축공사준공도’(京城停車場本屋其他改築工事竣工圖)는 직접 제도한 원본도면이고, ‘경성역 청사진’은 복사본이다. 두 원본도면들은 1940년대에 발간한『조선과 건축』및 2011년 옛 서울역사 복원사업을 추진하는 데에서도 발견할 수 없었던 새로운 도면들이다.
○ ‘경성역 정면도’(83cm×52.8cm, 재질:크로스지)는 상단에는 ‘경성역’(京城驛) 하단에는 ‘정면’(正面), ‘축척백분지일 준공 대정14년 9월 20일 제도자 이종상’(縮尺百分之壹 竣功大正拾四年九月參拾日 製圖者 李鍾相, 축척 1/100, 준공 1925년 9월 20일, 제도자 이종상)이 기록되어 있다.
○ ‘경성정거장본옥기타개축공사준공도’(96.2cm×68.8cm, 크로스지)는 경성역의 뒷면과 우측면을 그린 것으로 각각 ‘본옥배면기타 축척 백분지일’(本屋背面其他 縮尺 百分之壱), ‘접속부속가정면’(接續附屬家正面-‘접속부속가’는 경성역 좌측에 위치한 건물을 의미함), ‘우측면’(右側面), ‘접속부속가우측면’(接續附屬家右側面), ‘배면 축척이백분지일’(背面 縮尺二百分之一), ‘종단면 축척이백분지일’(縱斷面 縮尺二百分之一)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경성역 청사진(85.5cm×79cm)은 복사본으로 경성역 좌측면(左側面) 및 배면(背面)이 그려져 있다.
□ 2011년 ‘구 서울역사 원형복원 및 문화공간화사업’에 참여한 경기대 안창모 교수(건축설계학과)는 “현재 경성역 건설 관련 자료는 츠카모토 아쓰시가 남긴 설계입면도 2장 및 준공 평면도(1925년) 일부가 남아 있는데 이번에 수증된 ‘경성역 준공도면’은 유일 원본도면으로 경성역의 사후 유지관리를 위해서 제작되었다.”고 하였다. “경성역 준공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경성역 준공도면의 원본 문서를 찾을 수가 없었는데, 이번 기증을 통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뜻 깊은 일이며, 향후 경성역을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기증자 양병남씨는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경성역 준공도면이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지길 바라는 마음에서 기증하였다.”고 밝혔다.
□ 경성역은 1925년 9월에 완공되었는데, 건립주체는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이하 만철), 시공사는 일본의 시미즈 건설이다. 만철은 ‘경성역’ 설계를 진행하였지만 실제 누가 설계하였는지 정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다만 동경대 건축학과 교수 츠카모토 야쓰시라는 사람이 경성역의 설계입면도 2장을 남겼기 때문에 경성역을 설계했다는 설이 있는데, 아직 이에 대해 의문점들이 존재한다. 또한 경성역은 동경역을 모방하여 건설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은 1896년에 건축된 스위스 ‘루체른 역’을 모방하여 건설된 건물이다. 실제 동경역보다 루체른 역이 외형상 경성역과 흡사하다.
□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이번에 수증받은 경성역 준공도면을 향후 경성역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활용할 것이며, 나아가 경성역 관련 전시를 진행함으로써 시민들에게 널리 알릴 계획이다.
주요 사진 소개
<사진 1>
○ 경성역 정면도(京城驛 正面圖, 83cm×52.8cm, 재질 : 크로스지)

● 상 세 내 용
- ‘경성역’(京城驛)
- ‘정면’(正面)
- ‘축척백분지일 준공 대정14년(1925년) 9월 20일 제도자 이종상’(縮
尺百分之壹 竣功大正拾四年九月參拾日 製圖者 李鍾相)이 기록됨.
<사진 2>
○ 경성정차장본실기타개축공사준공도(京城停車場本屋其他改築工事竣工圖,
96.2cm×68.8cm, 재질 : 크로스지)

● 상 세 내 용
- 경성정차장본실기타개축공사준공도(京城停車場本屋其他改築工事竣工圖)
- ‘본옥배면기타 축척 백분지일’(本屋背面其他 縮尺 百分之壱)
- ‘접속부속가정면’(接續附屬家正面-경성역 좌측에 위치한 건물의 정면)
- ‘우측면’(右側面)
- ‘접속부속가우측면’(接續附屬家右側面-경성역 좌측에 위치한 건물의 우측면)
- ‘배면 축척이백분지일’(背面 縮尺二百分之一)
- ‘종단면 축척이백분지일’(縱斷面 縮尺二百分之一)
<사진 3>
○ 경성역 청사진(85.5cm×79cm)

<사진 4>
○ 남대문정차장 사진엽서(京城南大門停車場 寫眞葉書, 1910년대, 9cm×14.2cm)

<사진 5> ○ 경성역 모습을 담은 엽서 (1926년, 9cm×14.2cm)
- 경성역 전신인 남대문정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