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여성시대 죠르디에리
포스팅출처
-https://m.blog.naver.com/nobitakorea/220958029924
https://m.blog.naver.com/wisetter/221609619061
비행기가 얼마나 환경에 안좋은건지
알리기 위해서 쓰는 글...
나도 국내선 비행기 많이 탔다가 자제하려고 노력중임.
출처에 있는 포스팅 읽는것도 추천함!
-
<유럽 환경협회에서 조사한 운송수단별 CO2 배출량 표>
가장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교통수단은 비행기.
1명 승객당 1킬로미터 이동하는데 285g의 이산화탄소 배출
• 이산화탄소 배출이 가장 많은 순으로 정리
비행기(88명 탑승)>큰 차(1.5명 승차)>작은 차(1.5명 승차)>오토바이>버스(12.7명 승차)>큰 차(4명 승차)>작은 차(4명 승차)>기차(156명 승차)
그러면 우리나라 교통 수단별로 온실가스 배출량은 얼마나 될까?
역시 항공이 압도적으로 높음..^^...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외국도 온실가스 배출 계산해보면
네..항공이 1위입니다..
기후과학자 피터 칼무스가 1년동안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비율 계산한 표.
역시 절반이상이 비행기 차지.
(https://grist.org/climate-energy/a-climate-scientist-who-decided-not-to-fly/)
거기다가 비행기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 뿐 만 아니라,
문제 되는 것이 하나 더 있음.
바로 비행운 !
비행기의 제트 엔진 속 좁은 공간에 있던 공기가 대기 중으로 분출되면서,
기압이 낮아지고 부피가 커지면서 생성되고
부피를 키우며 에너지를 소진한 공기는 온도가 낮아지는데, 대기 중의 차가운 수증기와 결합하면서 곧바로 얼어붙어 구름이 되는것..
이것이 비행운임
비행운이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주는 지표.
<비행운의 복사강제력 시뮬레이션 결과>
2050년(b)에 3배 이상 늘어난다고 예측함.
이렇게 비행기가 환경에 좋지 않다는 것이 대두되고,
유럽을 중심으로 '플라이트 세임(Flight Shame)' 운동이 확산되고 있음.
비행기 여행의 부끄러움을 의미하며,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비행기 대신 기차. 배 등 대체 운송 수단을 이용하는 것
또한 프랑스에서는 기차로 2시간 30분 거리는 비행기로 못가게 하는
기후법이 통과했음.
항공사에서도 ESG 경영 일환으로, 다양한 시도를 하는 중임.
대한항공에서는
기체의 절반 이상을 첨단 복합소재를 제작하여 연료 효율을 기존 항공기 대비 20% 높이고,
가스배출과 이착륙시 소음을 크게 낮춘 친환경 항공기로 각광받는
보잉 787-9 항공기를 도입함
또 전기 비행기도 개발되고 있음!
글솜씨가 없어서,,,,,제대로 썼는지는 모르겠지만,,,,
비행기가 환경에 얼마나 안좋은지 경각심을 주기 위해서 글을 썼습니다,,
끗!
첫댓글 그래서 직구 관둠
이제 안 함
프랑스 저 법 통과됐는데 시행 안하는건가 프랑스인한테 말했는데 1도 모르고 국내선 운행 잘만 한다그러더라.. 나도 해외여행 넘 좋아하는데 이런거 보면 또 부끄러움 ㅜ
그리고 이만큼 충격인사실은....
저 비행기포함모든 교통수단이 만드는 온실가스 < 육식용으로키워지는 소닭돼지 가축이 만드는 온실가스임....
채식해야해…정말로…
ㅁㅊ 진짜 육식 줄여야한다
비행기 70m 가는데 연료 1리터 들어감
…여행 안간다…..
우리나라는 기차도 온실가스 배출 꽤 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