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가 그동안 영어 공부하면서 참고할 만한 내용을
메모식으로 정리해둔 게 있는데,
영어 공부하는 후배들에게 공유해주니 반응이 꽤나
괜찮았던 편이어서....
비스게에서 영어 열공 중인 분들이 가끔 보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서 글을 남깁니다.
(주의) 본문 내용이 상당히 많습니다.
====================================
[01] 시작 전에 잡설...
하루에도 수 십번씩 해외 파트너와 전화/이메일을 하고,
기관장 명의 혹은 정부 고위급 인사의 명의로 나가는
영문레터 작업을 신물이 나도록 해봤으며,
OECD나 세계 각 국 전문가, 대표단이 모이는
양자·다자간 다이얼로그, 미팅, 컨퍼런스 등에서
정말 이가 갈리도록(ㅋㅋ) 영문 프레젠테이션을
발표해봤던 경험이 있습니다.
* 파리 OECD 본부에서 각 국 정부/업계 대표단이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프레젠테이션을 하면
엄청 부담되고 긴장되지만, 희열감(?) 같은 것도
느끼곤 했더랬죠.
우리나라에 영어 잘 하시는 분들 너무 많죠.
해외교포, 유학생, 영어교육 분야 종사자,
기타 국내에서 피나는 연습을 하신 분들 등등.
순수하게 '영어'라는 어학 분야만 놓고 보자면
제가 그 분들보다 영어를 잘할 리가 없습니다.
비스게만 해도 영어에 일가견이 있어 보이는
분들이 심심찮게 보이니까요.
(해외 거주자분들도 많으시고...)
하지만 저는 많은 분들이
경험해보지 못 하셨을 약간 독특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10년 이상을 국제협력·통상 파트에다가
영혼을 분자단위로 갈아넣은 저로서는
(정확히는 13년...)
정말 산전-수전-공중전을 다 겪어 봤기에
해당 분야의 비즈니스 영어에 있어서 만큼은
그래도 나름 껌 좀 씹는다고
너스레를 떨고 있습니다. (농담~)
(↑범용적인 전체 범위의 영어 실력이 아니라..
제가 속했던 특정 분야의 비즈니스 영어를 뜻합니다.
부디 오해 없으시길 ㅎㅎ)
< 이런 분들이 참고하셨으면...>
단도직입적으로 말씀드려서
제가 아래에 언급할 참고 내용들은
'완전 영어 초보자'가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어느 정도 기초, 문법 등에
체계가 잡히신 분들이나
내가 어느 정도 영어를 하긴 하는데
뭔가 좀 어설프다, 조금 더
발전시키고 싶다고 생각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일 것 같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이 내용들을
정리하게 된 계기가 있습니다.
저는 순수 국내파입니다.
해외 출장이야
세지도 못할 만큼 수없이 가봤지만,
해외 거주, 어학 연수 경험은 전무합니다.
하지만 어렸을 적부터 영어에 관심을
갖고 가까이 하려고 했기에
어느 정도 센스가 있었고,
다른 공부는 안 해도 영어는
꽤나 공부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테스트 영어에 강했습니다.
학교 시험, 수능, 토익, 토플 등등...
대학교에서 영문 교양 과목을 들으니
첫 시간에 교수님이 저를 불러서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
"이 과목 상대평가다.
그런데 수강생 80~90%가 영문과다.
타과 전공학생들은 영문과에 밀려서
C 받기도 힘든 과목이다.
학점을 생각한다면 다른 교양과목도
고려해봐라."
저는 아랑곳하지 않고
해당 과목의 코스를 4학기
연속으로 수강했는데,
딱 한 번 A-를 받고
나머지는 A0를 마크했습니다.
테스트 영어에 유독 강했던 제겐
영문과고 나발이고 간에
개꿀 과목이었던 거죠.
최근에 토익을 본 적은 없지만,
토익도 처음 봤을 때를 제외하고는
950~980점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승진평가 시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저는 제가 영어를 잘하는 줄 알았습니다.
멋도 모르고 기고만장했던 거죠.
그동안 영어 헛배웠던 건 모르고...
저처럼 테스트 영어 점수는 잘 나오는데
뭔가 부족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특히, 국내파분들....)
이 글이 아주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하는
바람을 갖고 있습니다.
해외파(교포, 유학생 등)이시거나
이미 영어 실력 수준이 높으신 분들에겐
별 의미없는 자료가 될 것 같습니다.
제가 그 분들께 배워야 할 입장이니.
< 기고만장하다 벽에 부딪히다. >
시험점수 잘 나오고,
회사나 주변에서도 잘 한다, 잘 한다
칭찬해주니 기고만장해졌죠.
그러다가
'내 영어는 가짜였다.'
'나는 영어를 헛배웠다.'
.....라고 절감하게 해준
순간과 사람이 있습니다.
제게는 충격적인 계기가 되었죠.
국제협력·통상분야의 '장인'같은
'괴짜 고수분'이 계셨는데
제가 그 밑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 이 분 업무지식도 대단했지만,
은퇴를 앞둔 나이많으신 양반이
영어를 기가 막히게 잘 하셨습니다.
(지금 생각해봐도 그 분의 실력은 엄지 척)
그리고 '영어'를 베이스로
심도있는 전문 업무를
진행하게 되었는데요.
결과는 어땠을까요?
예상대로....정말 처참했습니다.
그 괴짜 고수분께
'기본은 어느 정도 있고, 센스도 있으나
이 업무를 하기엔 턱없이 모자르다.
기대했는데 실망이네.'
....라는 매몰찬 악평을 매일 들었습니다.
그야말로 매일매일
프라이드가 산산조각나더군요.
(나중에 퇴직하실 때 들어보니
분발하라고 필요이상으로 과격하게
말했다고 말씀은 하셨습니다만...)
그도 그럴 것이...
기관에서 기관장 명의 혹은
정부의 장관, 차관, 차관보급 명의로
영문서한을 작성할 때는
비즈니스 레터/이메일과는 다르게
격식은 기본으로 갖추고,
의미 전달이 정확하면서도 고오~급진
표현을 써야 합니다.
(좀 심하다 싶을 때도 있습니다.)
당시 제 턱없는 실력으로
그걸 감당하기엔 한참 부족했죠.
그 외에도 영문 프레젠이션 자료 작성,
해당 전문분야의 영어를 해외 파트너와
막힘없이 술술 구사하기에는
제 실력이 너무나 부족했습니다.
지금 생각해봐도
어떻게 그런 잔재주와 실력으로
이런 전문업무를 하려고 했었는지
아찔해지곤 합니다.
당시 '어떤 벽' 같은 것을 느꼈고,
영어 하나만도 벅찬데
이 영어로 어려운 전문분야의 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느껴졌기에....
진지하게 퇴사도 고민했습니다.
(선배들이 만류했습니다만...)
굉장히 오래 고민했지만,
일단 퇴사보다는 부딪혀보기로 마음먹고,
이 악물고
영어를 다시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 영어 헛배웠다~! >
당시 충격을 먹고,
영어를 다시 심도있게 공부하면서
느낀 건....
"내가 진짜 영어를 잘못 배워도
한참 잘못 배웠구나." 입니다.
"왜 이런 걸 가르쳐주는
사람들이 없었을까?"
나의 영어는 문법과 독해를 기반으로 해서
시험 영어에 두각을 나타내도록
세팅이 되어 있을 뿐.
(입시 위주 암기 교육의 폐해...ㅠㅠ)
높은 수준의 리얼 작문, 스피킹, 토론, 발표 등을
수행하기에는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었습니다.
단어 하나만 보더라도 말이죠.
학창시절이나 토익 공부할 때
단어의 몇 가지 뜻만 외우고 땡이었죠.
그 단어의 정확한 발음,
품사가 달라지거나 파생형 단어가 생기면서
미묘하게 변하는 발음과 강세들은
애초에 전혀 고려하지도 않았습니다.
(이게 정말 중요한데 말입니다...!!!!!!!)
그냥 시험문제를 잘 풀기 위해
대표적인 의미 몇 개만 머리 속에 입력하면
끝이었던 거죠.
일단 단어부터 재정비하기로 했습니다.
아무리 쉬운 단어라도 다시 확인해봤습니다.
단어를 다시금 정비하면서 느낀 건...
제가 틀리게 알고 있는 발음과 강세가
상당히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 뒤에서 다시 언급하겠지만,
영어에서는 '강세'도 '발음' 못지 않게
굉~~~~장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동안
잘못 알고 있는 발음과 강세를 갖고
미국식 발음 흉내내며 솰라솰라 굴리면서
잔재부 부린 것을 생각하면
아직도 얼굴이 화끈화끈합니다.
< 당부의 말씀... >
제가 아래 적어놓은 내용들은
오로지 제 자신이 참고하기 위해
작성한 것들입니다.
(사실 개인 참고용이죠..)
당연히
제가 영어교육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틀리거나 부족한 내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사람마다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효과가 다를 수도 있고요.
다만,
저와 비슷한 환경에 있는 분들,
즉, 업무적으로 영어를 써야 하는데
국내파로서 한계를 느끼는 분들이
이걸 참고삼아 본인들만의 공부법을
만들어가시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제가 비스게에 이 글을 남기면서
가장 우려(?)가 되는 것은
영어교육 전문가나 고수분들의
지적이 아닐까 합니다. ㅎㅎ
저번에 보니 모음 발음 하나에도
그게 아니다, 이거다...라고
열을 올려 지적해주신 분들이
계시더라고요.
원래는 초보분들을 위해
발음의 예시를 들면서
'한글'로도 표기할까 생각했지만,
그게 정확하지도 않을 뿐더러
고수분들이 지적하실 게
명백하기 때문에
한글 표기는 최대한 자제하겠습니다.
영어 고수분들이 보시기에
아래 내용들이 보기 불편하거나
마음에 들지 않으시더라도
그냥...
해당 분야에서 오래 종사한
실무자의 팁 공유 정도로 보시고
너그럽게 봐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사실 이 내용들은
제가 다른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제 자신이 참고하기 위해 만든
내용들이기 때문에
명백히 한계가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니야, 저건 불편해. 시정해줘야 돼'라는
분들이 계시면 겸허히 수용하겠습니다.
그럼 내용 공유 들어가겠습니다.
=============================
[02] BBC 기사로 웅변(?)하기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하여
제가 가장 애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BBC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기사를 보며
아주 큰 목소리로 웅변하듯이
기사를 크게 소리내어 읽는 겁니다.
(프레젠테이션 할 때 톤 이상으로...)
< 왜 BBC냐? >
CNN, WSJ, NY Times 등
미국쪽 매체들은 기사가 굉~~~장히
길어서 자칫 지루해지기 쉽상이고,
나오는 단어가 매우 어려운 편입니다.
(미국 현지인들이 많이 쓰는 표현)
이에 비해
BBC 기사들은 분량도 적당한 데다
단어/표현들이 포멀하면서도
크게 부담이 가지 않는 편이기 때문에
처음 접하는데 크게 어려움이 없습니다.
(전문분야 아티클은 제외)
BBC 기사들 퀄리티가
매우 좋기도 하고요.
(시사/상식에도 도움이 됨)
이 방법은
아무래도 밖에서는 무리겠고,
주로 집에서 해야겠죠.
저는 집에 오면 BBC 기사 최소 7~8개 이상을
웅변하듯 크게 소리내어 빠르게 읽습니다.
딸내미가
"아빠가 영어를 읽지 않으면 잠이 안 온다"고
할 정도죠. ㅎㅎㅎ
처음에는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할 수 있는 한
최대한 빠르고 또박또박하게 읽습니다.
이 때 중요한 건...
단어의 뜻을 모르면
당연히 찾아봐야 하지만,
뜻을 아는 단어라도
그 단어의 '발음'과 '강세'가
헷갈리면 무조건 사전을 찾아보고
숙지를 해야 한다는 겁니다.
발음, 강세....(특히 강세...!!!!)
영문을 읽는데 있어서
너무나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이걸 체크해야 되니
처음에는 기사 1개 정확히 읽기도
벅찰 것입니다.
그러나 단어 뜻, 발음, 강세를
정확히 체크하고 메모를 하면서
BBC 기사 "크고 빠르게 읽기"를
꾸준히...6개월, 1년 정도 하다 보면
아주 긴 문장도 막힘없이
빠르게 발음할 수가 있게 됩니다.
다들 잘 아시겠지만,
긴 문장은 끊어 읽기를 잘 해야 합니다.
UN humanitarian chief Mark Lowcock has said that
there is famine in northern Ethiopia after the
release of a UN-backed analysis of the situation.
이런 문장이 있다고 치면요.
만약 제가 이걸 처음하는 입장이라면
이런 정도로 끊어 읽겠습니다.
UN humanitarian chief /
Mark Lowcock / has said /
that there is /
famine in northern Ethiopia /
after the release of a /
UN-backed analysis /
of the situation.
의미/발음 등을 고려하여
구분지어 끊어 읽기를 연습하다 보면
나중에는 저렇게 세세하게 끊을 필요없이
최소한의 부분만 살짝살짝 끊어가면서도
술술 읽을 수 있게 됩니다.
UN humanitarian chief Mark Lowcock has said /
that there is famine in northern Ethiopia /
after the release of a UN-backed analysis /
of the situation.
이 정도로요.
(물론 많은 연습이 필요함)
발음, 강세 등을 재확인/교정하고,
읽기 속도를 점차 빠르게 하되,
이게 익숙해지기 시작하면
단어 하나하나를 끊어서 또박또박 발음하기 보다는
현지인들처럼 '연음'에 신경써서 (<--중요)
주~욱 이어서 읽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이게 익숙해지면
왠만한 스크립트는 막힘없이
말할 수 있게 됩니다.
위의 연습을 함으로써
- 독해 실력도 향상되고
- 스피킹에도 확실히 도움이 되며,
- 발음, 강세, 구간별로 끊어서 인지하는
연습을 하게 되고,
- 읽기 속도를 높임으로써 '연음'에도
익숙해지게 되기 때문에
리스닝 향상에도 많은 도움을 줍니다.
물론 단기간에 가파른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영어는 매일매일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해요.
[3] 발음에 관한 Tip
내게 어렵거나,
내가 자주 쓰는 발음은 무조건 체크하과
기록해둡시다~!
모든 단어의 발음을 정확하게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겠으나
시간적/물리적으로 힘들죠. ㅎ
연음이나
내가 자주 쓰는 단어의 발음, 혹은
내겐 너무 어려운 단어의 발음은
무조건 체크해서 숙지해야 합니다.
한 번 체크하고 넘어가지 말고
워드 파일로 정리해놓으세요.
(인간은 망각의 동물)
더불어 긴 문장을 원활하게
읽고 듣기 위해서
'연음'도 신경써서 연습합니다.
아래는 몇 가지 예시입니다.
< 연음 >
both sides라는 단어가 나오면
both와 sides를 모두 또박또박
발음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하면 굉장히 어렵습니다.)
연음으로 th를 날리면서
both sides ==> bo sides 정도로
발음하면 무난합니다.
(예시)
○ 같은 발음이 겹칠 때
- bus stop ==> bu stop
- perhaps so ==> perhap so
- next train ==> nex train
- apt to ==> ap to
- meant to ==> mean to
- eight times ==> eigh times
○ 비슷한 발음 겹칠 때 (t-d / s-z-sh-th / p-f / g-k 등)
- red tape ==> re tape
- trade deal ==> tra(트레이)... deal
- have been ==> ha....been
- must stop ==> mus stop
- helpful ==> hel ful
- please say ==> plea say
- both sides ==> bo sides
- was she ==> wa she
이 정도로 발음하면 무난합니다.
뭐, 아주 기본적인 것들이죠.
< -ctly 발음 >
○ 부사의 -ctly는 [~틀리][-ktli]가 아니라 [~끌리][-k(t)li] 정도로 발음합니다.
- exactly [이그-재끌리]
- correctly
- directly
- perfectly
- strictly
< 서수 >
토종 한국인들에게 죽음의 발음 중
하나입니다. 굉장히 어렵죠.
특히나 fifth, sixth는 난이도가 상당합니다.
저는 아직도 발음하기가 어렵습니다.
○ fifth
○ sixth
이 발음을 한글로 표기했다가는
태클이 분명 들어올 것이기에 ㅎㅎ
유튜브에 fifth, sixth pronunciation
검색하면 여러 발음 방법이 나옵니다.
꼭 참고해두세요.
저는 평소에 아무리 연습을 해도
발표나 대화 중간에 이 단어들이 나오면
상당히 애를 먹는 편입니다. ㅎ
그리고 20th, 30th, 40th 등의
발음도 잘못 알고 있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 twentieth[twéntiəθ]
- thirtieth [θə́ːrtiəθ]
- fortieth [fɔ́ːrtiəθ]
맨 마지막 번데기 발음(θ) 이전에
슈와(ə) 발음이 있다는 걸 명심해야 합니다.
트웬티쓰, 써티쓰, 포티쓰(x) 아닙니다.
θ 앞에 슈와(ə) 발음을 꼭 챙겨야 합니다. 명심 !!
< year / ear 발음 >
산업 현황 프레젠테이션을 하다 보면
year라는 단어를 정말 수도 없이 쓰게 됩니다.
그런데 이 year라는 발음이
은근히 까다롭고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year와 ear를 거의 동일하게 발음하는 편입니다.
어떤 블로거분의 표현을 빌리자면
■ ear : [이얼] [이어ㄹ]
○ [iər] : ‘이어’를 분명하고 정직하게 발음 ==> [이얼] [이어ㄹ]
■ year : (美) [이얘어ㄹ] / (英) [이얘어]
○ [jɪə(r); jɜː(r)] : [이얘어ㄹ] <-- 이런 느낌으로 발음
이렇게 발음하는 것이 무난하다고 합니다.
100% 정답은 아니지만...
이런 비슷한 느낌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것도 유튜브에 찾아보면
네이티브들이 정확히 발음을 해줍니다.
last year, next year 발음도 까다롭습니다.
last year를 정직하게 [래스트 이어ㄹ]라고 하면
뭐, 현지인들이 알아먹긴 하겠지만
정확한 발음은 아니라고 하는군요.
현지인들이 듣기엔 last ear라고 들린다고...
(마지막 귀??)
여러 자료/영상들을 찾아보면
구개음화 현상에 의해 "찌"에 가까운
발음이 된다고 합니다.
○ last year : [래스치얘어~] ⇒ [래스찌얘어~]
○ next year : [넥스치얘어~] ⇒ [넥스찌얘어~]
○ this year : [디씨얘어~]
< ask / asks / asked 발음 >
ask 발음도 뒤에 따라 나오는 단어들과
시제(과거형) 등에 따라 발음이 굉장히 까다로운
단어 중 하나입니다.
아래는
유튜브 튜토리얼에서 나온 내용을 참조했습니다.
■ ask
○ ask me : 애ㅅ(ㅋ)미
- 애ㅅㅋ미 ==> 자음 3개(ㅅㅋㅁ)가 연이어 나옴 ==> 중간 자음(ㅋ)은 발음 생략하는 느낌으로
==> 애ㅅ(ㅋ)미
○ ask them : 애ㅅ(ㅋ)듬
- 애ㅅㅋ듬 ==> 자음 3개(ㅅㅋㄷ)가 연이어 나옴 ==> 중간 자음(ㅋ)은 발음 생략하는 느낌으로
==> 애ㅅ(ㅋ)듬
■ asks
○ asks : 애ㅅㅋㅅ
- (1안) 애ㅅㅋㅅ : ㅅㅋㅅ(스크스) 발음을 아주 약하고 빠르게 붙여서 발음
- (2안) 애(ㅅㅋ)ㅅ : 빨리 말할 땐 이렇게 되기도 한다고 함
○ asks him : 애ㅅㅋ씀
- (1안) 애ㅅㅋ씀
- (2안) 애(ㅅㅋ)씀
○ asks her : 애ㅅㅋ썰
○ asks them : 애ㅅ(ㅋㅅ)듬
- 애ㅅㅋㅅ듬 ==> 자음 4개(ㅅㅋㅅㄷ)가 연이어 나옴 ==> 중간 두 자음(ㅋㅅ) 생략
==> 애ㅅ(ㅋㅅ)듬
■ asked
○ asked : 애ㅅ(ㅋ)ㅌ
- 애ㅅㅋㅌ ==> 자음 3개(ㅅㅋㅌ) 연이어 나옴 ==> 중간 자음(ㅋ)은 발음 생략하느 느낌으로
==> 애ㅅ(ㅋ)ㅌ
○ asked them : 애ㅅ(ㅌ)듬
- 애ㅅ(ㅋ)ㅌ듬 ==> 자음 3개(ㅅㅌㄷ) 연이어 나옴 ==> 중간 자음(ㅌ) 발음 생략하는 느낌으로
==> 애ㅅ(ㅌ)듬
○ asked him : 애ㅅ틈
- 애ㅅ(ㅋ)ㅌ흠 ==> 애ㅅ틈
○ asked her : 애ㅅ털
- 애ㅅ(ㅋ)ㅌ헐 ==> 애ㅅ털
○ asked them : 애ㅅ(ㅌ)듬
- 애ㅅ(ㅋ)ㅌ듬 ==> 자음 3개(ㅅㅌㄷ) 연이어 나옴 ==> 중간 자음(ㅌ) 발음 생략
==> 애ㅅ(ㅌ)듬
원래 위의 ask 관련 내용은 영상 링크를
걸려고 했는데, 링크 주소를 잃어버렸습니다.
한글 표기는 참고로만 보세요.
< w 발음 >
w 발음하는 방법에 대해서 튜토리얼을 찾아보고
정확하게 익히도록 합시다.
○ walk [wɔːk]
○ work [wɜːrk] [wɜːk]
○ want [wɑːnt]
○ won't [woʊnt]
○ wool [wʊl]
○ world [wɜːrld] [wɜːld]
○ would [강형 wʊd / 약형 wəd]
위의 단어들 쉬워 보이지만
은근히 발음하기 어렵습니다.
한글로 표기하면 이게 또
어정쩡해질 수 있기 때문에
영상을 찾아보시는 것으로...
=====================
위의 발음 예시들이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위의 것은 그저 예시일 뿐입니다.
이런 식으로 본인이 헷갈리거나
본인에게 어려운 발음들,
본인이 꼭 숙지할 필요가 있는 발음들을
별도로 정리를 해놓은 뒤에
(인간은 망각의 동물임을 잊지 말자!)
반복해서 연습을 해야 합니다.
[4] 중요~! 강세와 슈와(ə)
< 강세(stress)와 슈와(ə)가 중요한 이유 >
제가 이 글에서 가장 강조하고 싶은
부문입니다.
영어에서는 발음 못지 않게
'강세'도 매우 중요합니다.
제 개인적으론 영어가
'강세의 언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그동안 이 '강세'를 등한시 한채
영어공부를 해왔으니
헛공부를 했다고 봐도 할 말이 없죠.
영어 발음을 완벽하게 구사했더라도
강세를 틀리게 줘버리면
상당히 모양새가 빠지게 됩니다.
(어색해져요...)
제 개인적 생각으로는...
강세를 틀리면서 발음만
유창하게 굴리는 것보다는
발음은 유창하지 않더라도
발음기호를 지키며 발음하되,
강세는 철저히 지키는 편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영어에서
강세는 중요합니다.
영어 대화나 발표를 하게 될 일이 많은 분들은
이 '강세'를 확실히 파악해두어야 합니다.
'강세'와 더불어 '슈와(ə)'도
매우 중요합니다.
모 영어 전문가에 따르면
"영어 단어는 강세를 받는 모음은 발음기호대로 발음하되,
강세를 받지 못 하는 다른 모음들은 죽어 나가면서
슈와(ə) 발음으로 대체해도 무방할 정도이다"
라고 했습니다.
물론 이게 모든 단어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다만, 강세를 정확히 파악하고
슈와(ə) 현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면
차후에 단어, 문장을 발음하는데 있어서
굉장히 도움이 됩니다.
또한, 강세에도 어느 정도 '규칙'이 있으므로
이 '강세의 규칙'과 '슈와(ə)'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모르는 단어가 나와도 얼추 비슷한
발음과 강세로 말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됩니다.
< 슈와(schwa) 현상 및 [ə] 발음 >
■ 슈와(schwa) 현상이란?
○ 영단어에서 이 모음들이 ‘강세(stress)’를 받지 못할 경우, 발음이 약해지거나 죽어버려서
[ə]로 발음되는데 이를 ‘슈와(schwa) 현상’이라고 함
※ 단, 예외인 경우도 많으니 유의해야 함
■ 슈와(schwa) 현상 예시
○ simultaneous [sàiməltéiniəs]
- 2강세를 받는 첫 번째 모음 i는 [ài]로, 1강세를 받는 셋 번째 모음 a는 [éi]로 발음
- 강세를 받지 못 하는 나머지 모음들은
‘슈와 현상’에 의하여 약하게 혹은 죽여서 [ə]로 발음함
○ parameter [pərǽmətər]
- 강세를 받는 두 번째 모음 a는 [ǽ]로 발음
- 강세를 받지 못 하는 나머지 모음들은
‘슈와 현상’에 의하여 약하게 혹은 죽여서 [ə]로 발음함
■ [ə] 발음 방법
○ 슈와(schwa)라고 불리는 [ə] 발음은 우리말 ‘어’와 ‘으’의 중간 정도의 소리임 (⇒ uh)
※ 주의-1 : 우리말의 ‘어’(예: 어머니)가 아님!! 아주 약하고 편하게 발음해야 함
※ 주의-2 : 슈와[ə]는 위치에 따라 발음 변동이 심하므로 이 점을 꼭 유의해야 함
○ [ə] 발음을 하기 위한 준비
- 입술모양: unrounded 퍼져있음 / 혀의 위치: center 중설 / 근육의 긴장도: Lax 이완
- ① 혀와 입술에 힘을 주지 말고 자연스럽게.
- ② 우리말 '어' 상태에서 혀를 '공중부양' 한다는 느낌으로 들어줌
- ③ 입은 아주 살짝만 벌어지고, 치아는 가깝긴 하지만 붙진 않음
- 목욕탕 온탕에서 몸을 담그고 쉴 때, "으(어)~~~~ 시원~하다" 의 ‘으’
- 술 먹고 혀끝부터 발끝까지 힘이 풀렸을 때의 ‘으’ / 으(어)........... / əəəəəəəəə......
슈와(schwa)에 대해서는
글로만 표현하기는 어렵고,
유튜브에 '슈와 발음'을 치면
여러 튜토리얼 영상들이 나오므로
이를 참고하여 숙지하도록 합시다.
단어의 강세를 정확히 파악하면
강세를 받는 모음은 발음기호대로 발음하고,
강세를 받지 못한 나머지 모음은 슈와 발음[ə]으로
죽여서 발음할 수 있다는 걸 염두에 둘 수가 있습니다.
물론, 앞서 말씀드렸듯이 예외가 존재하므로
그 예외의 사례는 나올 때마다 꼭 파악해두어야 합니다.
< 영어 강세 기본규칙 >
(1) 2음절 명사의 90%는 강세가 앞에 있음
○ (예) doctor, teacher, basket, dinner, window 등
(2) 2음절 동사의 60% 이상은 강세가 뒤에 있음
○ (예) believe, predict, expect, begin, confuse 등
(3) 형용사의 약 70%는 강세가 앞에 있음
○ (예) extra, happy, hungry, eager, recent, usual, actual 등
(4) 2음절 부사의 약 70%는 강세가 뒤에 있음
○ (예) again, although, enough, before, because 등
(5) ‘얼마나 자주’를 나타내는 빈도 부사는 강세가 앞에 있음
○ (예) always, often, never, ever, seldom 등
(6) 프랑스 어원에서 온 단어는 강세가 뒤에 있음
○ -ee : employee, nominee, guarantee, degree, awardee
○ -eer : career, volunteer, engineer, pioneer
○ -ique / -gue : unique, technique, boutique, fatigue
○ -oon : balloon, bassoon, afternoon, typhoon, cartoon
○ -ese : Japanese, Chinese, Portuguese
○ -et : fillet, gourmet, buffet, ballet, bidet
(7) AO 법칙 + 지명
○ (AO 법칙) 3음절 이상 단어의 처음과 마지막이 'a' 또는 'o' 이면 중간에 강세가 있음
(a-a, a-o, o-a, o-o)
- (일반) banana, tomato, potato, tornado
- (지명) Toronto, Alaska, Montana, Ohio
○ (지명) 두 단어로 이루어진 지역 명칭은 강세가 모두 뒤에 있음
- New York, New Jersey, North Carolina, West Virginia
(8) 복합어
○ 일반적인 ‘형용사 + 명사’ 형태
- 문장 내에서 ‘명사’가 문장의 핵심요소이므로 ‘명사’에 강세가 있음
- (예) green house (초록색 집) : house에 강세 있음
a tall boy : boy에 강세 있음
○ 두 단어가 조합된 ‘복합명사’ 형태
- 의미의 차이를 주기 위해 강세가 처음으로 이동함
- (예) greenhouse (온실) : green에 강세 있음
(9) 3음절 이상 단어 / 접미사에 따른 강세 변화
○ 접미사가 ‘i’를 가지고 있는 경우 ⇒ 강세 : 접미사 바로 앞 음절의 모음
- (-ial) : commercial / differential / essential / industrial / influential /
material / official
- (-ian) : Canadian / Italian / magician / musician / politician
- (-ic) : analytic / Atlantic / atomic / economic / electric / diagnostic /
diplomatic / fantastic / logistic
- (-ical) : economical / electrical / historical / hypothetical / paradoxical /
political / practical / theoretical
- (-ient) : efficient / sufficient
- (-ify) : clarify / diversify / specify / solidify / terrify
- (-ily) : necessarily / primarily / temporarily * -ly 형태와 다름
- (-ion) : adaptation / abolition / concession / cognition / commission
competition / contribution / conversation / division / estimation
expectation / explanation / precision / provision / submission
- (-ior) : interior / exterior / inferior / superior
- (-ious) : audacious / conscientious / industrious / ingenious / malicious
mysterious / nutritious / suspicious
- (-ity) : activity / ambiguity / continuity / disability / electricity / necessity
fundamentality / possibility / proximity / publicity / versatility
○ 기타 ⇒ 강세 : 접미사 바로 앞 음절의 모음
- (-eous) :outrageous / simultaneous / spontaneous * 접미사에 모음 여러 개인 경우
- (-fic) :horrific / scientific / specific / terrific
- (-ual) :residual
○ 접미사가 ‘학문’, ‘원칙’ 등을 표현하는 경우 ⇒ 강세 : 접미사 바로 앞 음절의 모음
- (-logy) :biology, ecology, psychology, sociology
- (-graphy) :photograph ⇒ photography / geography
- (-nomy) :economy / autonomy
- (-cracy) :autocrat ⇒ autocracy / democracy
(10) 기본 강세가 변하지 않는 접미사
○ -ment / -er / -ist / -ing / -ly / -ous / -al / -ed
- (예) develop ⇒ development / permanent ⇒ permanently
autonomy ⇒ autonomous / continue ⇒ continuous
< 한 단어가 복수의 품사를 갖는 경우의 강세 >
2음절로 된 단어 중 명사/형용사/동사 등
복수의 품사를 갖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이 때, 90% 이상의 2음절 단어들이
- 명사일 때는 첫 번째 음절에,
- 동사일 때는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게 됩니다.
(예외가 있는데 이는 뒤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사례-1) 동사-명사 품사를 가진 2음절 단어(1) :
[강세] 동사일 때는 두 번째 음절 + 명사일 때는 첫 번째 음절
[발음] 품사 변화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음
[의미] 품사 변화에 따라 단어 뜻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음
○ abstract [æb|strækt] ⓥ 추출하다, 발췌하다, 요약하다, 초록을 작성하다
[|æbstrækt] ⓝ 추상화, 개요, 적요, 발췌, 초록 / ⓐ 추상적인
○ address [ə|dres] ⓥ 연설하다, 해결하다, 이야기하다
[|ædres] ⓝ 주소, 인사말, 연설
○ advert [æd|vəːrt] ⓥ (~to) 언급하다, 주의를 돌리다
[|ædvɜːrt] ⓝ 광고 (= advertisement)
○ combine [kəm|baɪn] ⓥ 결합시키다, 합치다
[|kɑːmbaɪn] ⓝ 콤바인, 연합체
○ concert [kən|səːrt] ⓥ 협정(타협)하다, ~와 협력하다, 계획(고안)하다
[|kɑːnsərt] ⓝ 연주회, 콘서트 / 일치, 조화, 협동, 협력
○ console [kən|soʊl] ⓥ 위로하다, 위안을 주다
[|kɑːnsoʊl] ⓝ 콘솔, 제어반, 계기반
○ content [kən|tent] ⓥ 만족시키다, (~ with) ~에 만족하다
ⓐ (~ with) 만족하는, (~ to) 기꺼이 ~하려 하는
[|kɑːntent] ⓝ 내용, 내용물, 목차, 함유량, 함량
○ contract [kən|trækt] ⓥ 축소하다, (병에) 걸리다, 계약하다, 발생시키다
[|kɑːntrækt] ⓝ 계약, 계약서
○ converse [kən|vɜːrs] ⓥ (~ with) (~와) 대화하다, 이야기하다
[|kɑːnvɜːrs] ⓝ 정반대, 역
○ default [dɪ|fɔːlt] ⓥ 채무를 이행하지 않다, 체납하다
[|diːfɔːlt] ⓝ 디폴트(컴퓨터 초기 설정), 부도, 불이행, 연체
○ defect [di|fekt] ⓥ (~ from) 버리다, 떠나다, 이탈하다, 변절하다
[|dɪːfekt] ⓝ 결함, 결점, 단점, 약점, 결여, 결핍, 부족
○ desert [dɪ|zɜːrt] ⓥ 버리다, 떠나다, 탈주(탈영)하다
[|dezərt] ⓝ 사막, 황무지, 황야, 불모지
○ digest [daɪ|dʒest] ⓥ 소화하다, 소화되다
[|daɪdʒest] ⓝ (저서의) 요약, 적요, 다이제스트
○ entrance [ɪn|træns] ⓥ 매혹하다, 도취시키다, 황홀하게 하다
[|entrəns] ⓝ 입구, 입장, 입학, 입사, 등장
○ envelope [ɪn|veləp] ⓥ 감싸다, 뒤덮다
[|envəloʊp] ⓝ 봉투, 봉지
○ exploit [ɪk|splɔɪt] ⓥ 이용(활용)하다, 착취하다
[|eksplɔit] ⓝ 영웅적 행위, 공훈, 공적, 위업
○ extract [ɪk|strækt] ⓥ 뽑다, 추출하다
[|ekstrækt] ⓝ 발췌, 초록, 인용(구) / 추출물
○ object [əb|dʒekt] ⓥ 반대하다
[|ɑːbdʒɪkt] ⓝ 물건, 물체, 대상, 목적, 목표
○ present [prɪ|zent] ⓥ 주다, 증정하다, 상영하다, 출석하다
[|preznt] ⓝ 현재 / ⓐ 현재의, 출석해 있는
○ produce [prə|duːs] ⓥ 생산하다
[|prɑdjuːs] ⓝ 농산물, 생산물, 수확물
○ prospect [prə|spekt] ⓥ 탐사하다, 답사하다, 찾다
[|prɑːspekt] ⓝ 가망, 가능성, 예상, 전망, 과제
○ refuse [rɪ|fjuːz] ⓥ 거부(거절)하다
[|refjuːs] ⓝ 유기물, 폐물, 쓰레기, 찌꺼기
○ subject [səb|dʒekt] ⓥ (~ to) 종속시키다, 받게(당하게) 하다, 맡기다
[|sʌbdʒɪkt] ⓝ 주제, 문제, 과제, 학과, 학문, 대상, 주어
[|sʌbdʒekt] ⓐ ~을 당하는, ~을 조건으로 하는, ~의 대상이 되는
(사례-2) 동사-명사 품사를 가진 2음절 단어(2) :
[강세] 동사일 때는 두 번째 음절 + 명사일 때는 첫 번째 음절
[발음] 품사 변화에 따라 발음이 같을 때도, 달라질 때도 있음
[의미] 품사가 변화하더라도 단어 뜻은 동일함
○ addict [ə|dɪkt] ⓥ (~ to) ~에 빠지게 하다, 중독되다
[|ædɪkt] ⓝ 중독자
○ compound [kəm|paʊnd] ⓥ 섞다, 혼합하다, 악화시키다
[|kɑːmpaʊnd] ⓝ 화합(혼합, 합성)물 / ⓐ 합성(복합)의
○ conduct [kən|dʌkt] ⓥ 하다, 지휘하다, 행동(처신)하다, 안내하다
[|kɑndʌkt] ⓝ 행동, 행위, 처신, 지도, 안내, 운영, 경영
○ conflict [kən|flikt] ⓥ 충돌하다, 모순되다, 다투다, 싸우다
[|kɑnflikt] ⓝ 갈등, 분쟁, 대립, 전쟁
○ contest [kən|test] ⓥ 경쟁하다, 다투다, 이의를 제기하다
[|kɑːntest] ⓝ 대회, 시합, 경쟁
○ contrast [kən|træst] ⓥ ~ with : 대조하다, 대비하다
[|kɑːntræst] ⓝ 대조, 대비
○ convert [kən|vɜːrt] ⓥ 전환하다, 바꾸다, 개조하다, 개종(전향)하다
[|kɑnvɜːrt] ⓝ 전향자, 개종자
○ decrease [di|kriːs] ⓥ 감소하다, 줄다
[|diːkriːs] ⓝ 감소, 하락, 감퇴
○ detail [dɪ|teɪl] ⓥ 상세히 열거하다(알리다), 임무를 부여하다
[|diːteɪl] ⓝ 세부, 상세, 세부사항, 구체적 내용, 상세 정보
○ discount [dɪs|kaʊnt] ⓥ 무시하다, 할인하다
[|dɪskaʊnt] ⓝ 할인
○ escort [is|kɔːrt] ⓥ 호위(호송)하다
[|eskɔːrt] ⓝ 호위대, 보호자, 수행원, 경호, 안내, 호송
○ export [ɪk|spɔːrt] ⓥ 수출하다
[|ekspɔːrt]ⓝ 수출, 수출품
○ finance [faɪ|næns] ⓥ 자금을 대다, 출자하다, 돈을 융통해주다
[|faɪnæns] ⓝ 재정, 재원, 자금, 금융, 재무
○ import [ɪm|pɔːrt]ⓥ 수입하다
[|ɪmpɔːrt] ⓝ 수입, 수입품
○ impact [ɪm|pækt] ⓥ 영향(충격)을 주다
[|ɪmpækt] ⓝ 영향, 충격
○ incline [ɪn|klaɪn] ⓥ 마음이 기울다, ~하는 경향이 있다, ~에 가깝다
[|ɪnklaɪn] ⓝ 경사, 경사면
○ increase [in|kríːs] ⓥ 증가하다, 인상되다
[|iːnkris] ⓝ 증가, 증대, 인상
○ insert [ɪn|sɜːrt] ⓥ 삽입하다
[|ɪnsɜːrt] ⓝ 삽입물, 부속품, 장착물
○ insult [in|sʌlt] ⓥ 모욕하다, 욕보이다
[|insʌlt] ⓝ 모욕, 무례함
○ invite [ɪn|vaɪt] ⓥ 초대(초청)하다
[|ɪnvaɪt] ⓝ 초대(장), 초청(장)
○ overhaul [ˌoʊvər|hɔːl] ⓥ 점검하다, 정비하다
[|oʊvərhɔːl] ⓝ 점검, 정비, 분해수리
○ perfect [pər|fekt] ⓥ 완벽하게 하다, 완성(완료)하다
[|pəːrfɪkt] ⓝ (문법) 완료형 / ⓐ 완전한, 완벽한
○ perfume [pər|fjuːm] ⓥ (~ with) 향기를 풍기다, 향수를 바르다
[|pəːrfjuːm] ⓝ 향수, 향기, 향내, 향료, 냄새
○ permit [pər|mɪt] ⓥ 허락(허가, 용인)하다
[|pəːrmit] ⓝ 인가, 허가, 면허
○ preview [priː|vjuː] ⓥ 사전 조사(검토)하다, 소개하다, 시사평을 쓰다
[|priːvjuː] ⓝ 사전 조사(검토), 시사(회), 시사평
○ pervert [pər|vɜːrt] ⓥ 왜곡(오해, 곡해)하다, 비뚤어지게 하다
[|pəːrvərt] ⓝ 변태 성욕자, 성도착자
○ process [prə|ses] ⓥ 가공(처리)하다, (서류 등을) 처리하다
[|prɑːses] ⓝ 과정, 제조법, 공정, 처리
○ progress [prə|ɡres] ⓥ 진보(발전)하다, 나아가다, 전진하다
[|prɑːɡres] ⓝ 진전, 진척, 발전, 진보, 진행
○ project [prə|dʒekt] ⓥ 계획(기획)하다, 예상(추정)하다
[|prɑːdʒekt] ⓝ 프로젝트, 사업, 계획, 과제
○ protest [prə|test] ⓥ 항의(반대)하다, 이의를 제기하다
[|proutest] ⓝ 시위, 항의, 저항, 데모
○ rebel [rɪ|bel] ⓥ 반란을 일으키다, 저항(반항)하다
[|rebl] ⓝ 반역자, 반대자 / ⓐ 반항하는, 반역의
○ refund [ri|fʌnd] ⓥ 환불(환급, 반환)하다
[|riːfʌnd] ⓝ 환불, 반환, 변상
○ recall [rɪ|kɔːl] ⓥ 기억하다, 상기하다, 소환하다, 회수하다
[|riːkɔːl] ⓝ 기억, 회상, 추억, 소환, 회수, 복귀 명령(요청)
○ record [rɪ|kɔːrd] ⓥ 기록하다
[|rekərd] ⓝ 기록
○ refill [riː|fɪl] ⓥ 다시 채우다(넣다), 리필하다, 보충하다
[|riːfɪl] ⓝ 리필, 보충용 부품, 보급
○ reject [rɪ|dʒekt] ⓥ 거부(거절, 기각)하다
[|riːdʒekt] ⓝ 거절된 것, 불량품, 불합격품, 거부당한 사람
○ research [ri|səːrʧ] ⓥ 연구(조사)하다
[|riːsəːrʧ] ⓝ 연구, 조사
○ rewrite [ˌriː|raɪt] ⓥ 다시(고쳐) 쓰다
[|riːraɪt] ⓝ 고쳐 쓴 것, 정정본
○ survey [sər|veɪ] ⓥ 조사하다, 연구하다, 평가하다, 점검하다
[|səːrveɪ] ⓝ 조사, 측량, 검사
○ suspect [sə|spekt] ⓥ 의심하다
[|sʌspekt] ⓝ 혐의자, 용의자, 피의자
○ torment [tɔːr|ment] ⓥ 괴롭히다, 학대하다, 고통을 주다
[|tɔːrment] ⓝ 고통, 고뇌, 괴로움
○ transfer [træns|fɜː(r)] ⓥ 옮기다, 이동하다, 넘겨주다, 갈아타다, 바꾸다
[|trænsfɜː(r)] ⓝ 이동, 이적, 환승
○ transport [træn|spɔːrt] ⓥ 수송하다, 운송하다
[|trænspɔːrt] ⓝ 수송, 운송, 차량, 교통
○ update [ˌəp|deɪt] ⓥ 갱신하다, ~을 최신의 것으로 하다
[|əpdeɪt] ⓝ 최신 정보, 최신판, 갱신
○ upgrade [ˌəp|ɡreɪd] ⓥ 개선하다, ~의 등급을 올리다
[|əpɡreɪd] ⓝ 증가, 상승, 향상, 상향, 개선
○ upset [ʌp|set] ⓥ 뒤엎다, 망치다, 속상하게 하다 / ⓐ 속상한
[|ʌpset] ⓝ 전복, 뜻밖의 패전, 심란, 혼란, 좌절
위의 예시는 2음절 단어 중
복수의 품사를 가진 단어들 중에서
강세의 규칙에 들어맞는 단어들이었습니다.
(명사 : 1음절 강세 / 동사 : 2음절 강세)
아래 단어들은 그 예외에
해당하는 경우입니다.
(달달달~ 외웁시다.)
(사례-3) 동사-명사 품사를 가진 2음절 단어(3) :
[강세] 명사나 동사일 때 강세가 모두 앞에 있음(예외적)
○ accent [|æksent] ⓥ 강조하다 / ⓝ 강조, 역점, 강세, 억양, 어조
○ access [|ækses] ⓥ 접속(접근)하다 / ⓝ 접근, 입장, 입구
○ archive [|ɑːrkaɪv] ⓥ 보관하다 / ⓝ 기록 보관소, 보관, 보존
○ benefit [|benəfɪt] ⓥ 유익하다, 득을 보다 / ⓝ 혜택, 이득, 이익
○ boycott [|bɔɪkɑːt] ⓥ (구매/사용/참여를) 거부하다 / ⓝ 보이콧
○ comfort [|kʌmfərt] ⓥ 위로하다, 달래다 / ⓝ 안락, 편안, 위로, 위안
○ comment [|kɑːment] ⓥ 언급(발언, 비평)하다 / ⓝ 말, 발언, 논평, 의견
○ contact [|kɑːntækt] ⓥ 연락하다 / ⓝ 연락, 접촉
○ copy [|kɑːpi] ⓥ 복사(복제)하다, 베끼다 / ⓝ 복사, 사본
○ counsel [|kaʊnsl] ⓥ 상담하다, 충고(조언)하다 / ⓝ 상담, 조언, 충고
○ exile [|eksaɪl / |eɡzaɪl] ⓥ 추방하다, 망명시키다 / ⓝ 망명, 추방, 유배
○ figure [|fɪɡjər] ⓥ 생각(계산)하다 / ⓝ 모습, 인물, 모양, 수, 계산
○ forecast [|fɔːrkæst] ⓥ 예측(예상, 예보, 전망)하다 / ⓝ 예측, 예상, 예보
○ honor [|ɑnər] ⓥ 존경(예우)하다 / ⓝ 명예, 경의, 영광
○ interest [|ɪntrəst] ⓥ 관심을 끌다 / ⓝ 관심, 이자, 이해관계
○ market [|mɑːrkɪt] ⓥ (상품을) 내놓다, 광고하다 / ⓝ 시장, 시황
○ measure [|meʒər] ⓥ 재다, 측정하다 / ⓝ 대책, 조치, 측정, 기준
○ notice [|noʊtɪs] ⓥ 알아차리다, 주목하다 / ⓝ 주의, 공지, 게시
○ offer [|ɔːfər] ⓥ 제의(제안, 제공)하다 / ⓝ 제의, 제안, 제공
○ posit [|pɑːzɪt] ⓥ ~을 사실로 상정(단정)하다 / ⓝ 가정, 단정
○ practice [|præktɪs] ⓥ 연습(실천)하다 / ⓝ 실행, 실천, 관행, 연습
○ promise [|prɑːmɪs] ⓥ 약속(장담)하다 / ⓝ 약속, 맹세, 장래성
○ purchase [|pɜːrtʃəs] ⓥ 구입(구매)하다 / ⓝ 구입, 구매, 매입
○ quarrel [|kwɔːrəl] ⓥ 싸우다, 언쟁하다, 책망하다 / ⓝ 다툼, 언쟁, 불만
○ rescue [|reskjuː] ⓥ 구조(구출)하다 / ⓝ 구조, 구출
○ service [|sɜːrvɪs] ⓥ 점검하다, 서비스를 제공하다 / ⓝ 서비스
○ solace [|sɑːləs] ⓥ 위로하다, (슬픔 등을) 덜어주다 / ⓝ 위로, 위안
○ study [|stʌdi] ⓥ 공부하다, 배우다 / ⓝ 공부, 연구, 조사
○ total [|toʊtl] ⓥ 합계하다 / ⓝ 합계, 총액 / ⓐ 전체적인
○ welcome [|welkəm] ⓥ 환영하다 / ⓝ 환영, 환대
(사례-4) 동사-명사 품사를 가진 2음절 단어 :
[강세] 명사나 동사일 때 강세가 모두 뒤에 있음(예외적)
○ abuse [ə|bjuːz] ⓥ 오용(남용, 악용)하다, 학대(혹사)하다
[ə|bjuːs] ⓝ 오용, 남용, 악용, 학대, 박해
○ alarm [ə|lɑːrm] ⓥ 놀라게(불안하게) 하다/ ⓝ 불안, 공포, 경보, 경고
○ approach [ə|proʊtʃ] ⓥ 다가가다, 접근하다 / ⓝ 접근, 진입
○ assent [ə|sent] ⓥ 찬성(동의)하다 / ⓝ 찬성, 동의, 승인
○ attempt [ə|tempt] ⓥ 시도하다, 기도하다 / ⓝ 시도, 기도
○ award [ə|wɔːrd] ⓥ 수여하다 / ⓝ 상, 상품, 상금
○ campaign [kæm|peɪn] ⓥ 캠페인(선거 운동)을 하다/ ⓝ 캠페인, 운동
○ cement [sɪ|ment] ⓥ 굳히다, 접합시키다, 강화하다 / ⓝ 시멘트
○ cocoon [kə|kuːn] ⓥ ~을 휩싸다, 보호하다 / ⓝ 고치, 보호막
○ command [kə|mænd] ⓥ 명령(지시, 지휘)하다 / ⓝ 명령, 지휘, 사령부
○ commute [kə|mjuːt] ⓥ 통근하다 / ⓝ 통근, 통근 거리, 통학
○ concern [kən|sɜːrn] ⓥ 관련되다, 걱정(염려)하다 / ⓝ 우려, 걱정, 관심사
○ consent [kən|sent] ⓥ 동의(허락)하다 / ⓝ 동의, 허락, 합의
○ control [kən|troʊl] ⓥ 제어(통제)하다 / ⓝ 지배, 관리, 단속, 통제
○ decay [dɪ|keɪ] ⓥ 부패하다, 썩다 / ⓝ 부패, 부식
○ debate [dɪ|beɪt] ⓥ 논의(토론)하다 / ⓝ 논의, 논쟁, 토론, 토의
○ delay [dɪ|leɪ] ⓥ 지연시키다, 연기하다 / ⓝ 지연, 지체, 연기
○ demand [dɪ|mænd] ⓥ 요구하다 / ⓝ 요구, 수요
○ design [dɪ|zaɪn] ⓥ 디자인(설계)하다 / ⓝ 설계도, 디자인, 계획
○ desire [dɪ|zaɪər] ⓥ 바라다, 원하다 / ⓝ 욕구, 욕망, 갈망, 바람
○ disguise [dɪs|ɡaɪz] ⓥ 변장(위장, 가장)하다 / ⓝ 변장, 위장, 가장
○ dispute [dis|pjuːt] ⓥ 반박하다, 다투다 / ⓝ 분쟁, 갈등, 논쟁
○ dissent [dɪ|sent] ⓥ 반대하다 / ⓝ 반대, 반대 의견
○ effect [ɪ|fekt] ⓥ (어떤 결과를) 가져오다 / ⓝ 영향, 결과, 효과
○ exchange [ɪks|tʃeɪndʒ] ⓥ 교환하다 / ⓝ 교환, 환율, 거래소
○ excuse [ɪk|skjuːz] ⓥ 용서하다, 변명하다, 양해하다, 면제해주다
[ɪk|skjuːs] ⓝ 변명, 해명, 구실, 이유
○ express [ɪk|spres] ⓥ 표현하다, 나타내다 / ⓝ 급행 / ⓐ 급행의
○ mistake [mɪ|steɪk] ⓥ 오해(오인)하다 / ⓝ 실수, 잘못
○ regret [rɪ|ɡret] ⓥ 후회하다, 유감으로 여기다 / ⓝ 유감, 후회
○ release [rɪ|liːs] ⓥ 풀어주다, 해방하다, 발표하다 / ⓝ 석방, 개봉
○ remark [rɪ|mɑːrk] ⓥ 언급하다, ~에 주목하다/ ⓝ 발언, 주목, 비평
○ report [rɪ|pɔːrt] ⓥ 알리다, 보도하다, 보고하다 / ⓝ 보도, 보고
○ request [rɪ|kwest] ⓥ 요청(요구, 신청)하다 / ⓝ 요청, 신청, 요구
○ reserve [rɪ|zɜːrv] ⓥ 예약하다, 남겨두다, 보유하다 / ⓝ 비축, 저장
○ resort [rɪ|zɔːrt] ⓥ 의지(의존)하다 / ⓝ 의지, 의존, 휴양지, 리조트
○ respect [rɪ|spekt] ⓥ 존경(존중)하다 / ⓝ 존경, 존중, 경의
○ result [rɪ|zʌlt] ⓥ (~의 결과로) 생기다, 발생하다 / ⓝ 결과, 성과
○ review [rɪ|vjuː] ⓥ 재검토(비평, 논평)하다 / ⓝ 평가, 재검토, 비평
○ support [sə|pɔːrt] ⓥ 지지(지원)하다 / ⓝ 지지, 지원
○ supply [sə|plaɪ] ⓥ 공급하다 / ⓝ 공급
○ surprise [sər|praɪz] ⓥ 놀라게 하다 / ⓝ 놀람, 경악
지금까지는 복수의 품사를 가진 2음절 단어의
강세를 살펴봤습니다.
아래부터는 복수의 품사를 가진 단어 중
3음절 이상의 단어들의 예시를 보겠습니다.
품사에 따라 강세/발음이 약간씩
변화하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사례-5) 동사-명사 품사를 가진 3음절 이상 단어 :
[강세/발음] 품사에 따라 같을 수도 있으나, 다른 경우도 많음
○ advocate [|ædvəkèit] ⓥ 지지(옹호)하다, 주장하다
[|ædvəkət] ⓝ 옹호자, 지지자, 대변자, 변호사
○ affiliate [ə|filieit] ⓥ 제휴(연계)하다, 가입하다, 합병하다
[ə|filiət] ⓝ 계열사, 자회사, 지점, 가입
○ aggregate [|æɡrɪɡeit] ⓥ 모으다, 종합하다, 합계 ~이 되다
[|æɡrɪɡət] ⓝ 합계, 총액, 총계, 총량 / ⓐ 종합한, 총계의
○ alternate [|ɔːltərneɪt] ⓥ 대체하다, 교류하다, 번갈아 하다, 교체하다
[|ɔːltərnət] ⓝ 대체물 / ⓐ 번갈아 하는, 교대의, 상호간의
○ associate [ə|soʊʃieɪt] ⓥ 연상하다, 어울리다, 제휴(연합)시키다
[ə|soʊʃiət] ⓝ 동료, 준회원 / ⓐ 동료의, 친구의, 준(準)
○ attribute [ə|trɪbjuːt] ⓥ ~ (a) to (b) : a를 b의 결과로 보다
[|ætrəbjùːt] ⓝ 특성, 속성, 특질
○ certificate [sər|tɪfəˌkeɪt] ⓥ 증명하다, 자격증(면허증)을 교부하다
[sər|tɪfəkət] ⓝ 증서, 증명서, 자격증, 면허증, 수료증
○ coordinate [koʊ|ɔːrdəˌneɪt] ⓥ조정하다, 편성하다, 꾸미다
[koʊ|ɔːrdənət] ⓝ 동등한 사람(것) / ⓐ 동등한, 동격의
○ delegate [|delɪɡeɪt] ⓥ 위임(선정)하다, 뽑다, 대표로 세우다(파견하다)
[|delɪɡət] ⓝ 대표, 대의원, 사절
○ estimate [|estəmeɪt] ⓥ 추산(추정)하다
[|estəmət] ⓝ 추산, 추정
○ exercise [|eksərsaɪz] ⓥ 운동시키다, 행사하다 / ⓝ 운동, 훈련, 행사, 행위
○ influence [|ɪnfluəns] ⓥ 영향을 주다(미치다) / ⓝ 영향, 요인, 변화
○ supplement [|sʌpləment] ⓥ 보충(추가)하다, 보완하다, 채우다
[|sʌpləmənt] ⓝ 추가, 보충, 보완, 부록
(사례-6) 동사-형용사 품사를 가진 3음절 이상 단어 :
[강세] 강세는 대개 품사 변화에 관계없이 동일한 편임
[발음] 품사 변화에 따라 발음에 변화 있음
○ appropriate [ə|proʊprieɪt] ⓥ (물건, 돈을) 책정하다, (무단) 도용(전용)하다
[ə|proʊpriət] ⓐ 적절한, 적합한, 적정한, 적당한
○ approximate [ə|prɑːksəmeɪt] ⓥ ~에 가깝다(비슷하다), 근사치를 내다(계산하다)
[ə|prɑːksəmət] ⓐ ~에 가까운(흡사한)
○ deliberate [di|libərèit] ⓥ 숙고(숙의)하다, 곰곰이 생각하다
[dɪ|lɪbərət] ⓐ 고의의, 의도적인, 심사숙고한, 신중한, 사려깊은
○ duplicate [|djuːplɪkeɪt] ⓥ 복사(복제)하다, 다시 (중복해서) 하다
[|djuːplɪkət] ⓐ 복제한, 사본의 / ⓝ 사본, 복사
○ elaborate [ɪ|læbəreɪt] ⓥ 자세히(상세히) 말하다
[ɪ|læbərət] ⓐ 정교한, 공을 들인, 정성 들여 만든
○ graduate [|ɡrædʒueɪt] ⓥ 졸업하다, (학사) 학위를 받다
[|ɡrædʒuət] ⓐ 졸업한, 대학원생의 / ⓝ 졸업생, 대학원생
○ incorporate [ɪn|kɔːrpəˌreɪt] ⓥ 포함하다, 합병하다 / 설립(창립)하다
[ɪn|kɔːrpərət] ⓐ 법인의, 회사 조직의, 결합한
○ moderate [|mɑdəreɪt] ⓥ 완화하다, 누그러뜨리다, 사회를 보다
[|mɑdərət] ⓐ 보통의, 중간의, 중도의, 적당한, 적정한
○ obligate [|ɑbləgèit] ⓥ 의무를 지우다, 강요하다
[|ɑbləgət] ⓐ 의무적인, 강제된
○ proportionate [prə|pɔːrʃəˌneɪt] ⓥ ~과 비례시키다, 균형 잡히게 하다, ~에 적응시키다
[prə|pɔːrʃənət] ⓐ ~에 비례하는, 균형 잡힌, ~에 적응하는/어울리는
○ separate [|sepəreɪt] ⓥ 분리하다, 나누다, 떼어 놓다
[|seprət] ⓐ 분리된, 별개의, 개별적인, 개개의, 각각의
우리가 다 아는 쉬운 단어라 할 지라도
품사에 따라서 강세/발음이 달라진다는
사실에 익숙치 않은 분들이 많을 겁니다.
영어 공부를 하면서
한 단계라도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이런 디테일도 신경을 써주어야 합니다.
=============================
원래는 게시물 하나에 모든 내용을
때려 넣으려고 했는데...
본문 텍스트가 많으면
글 등록을 누를 때마다
에러가 작렬하는군요. -_-^
세 번의 에러를 겪고 나서
'나는 관대하다'를 허공에 되뇌였습니다.
나머지 내용은
뒤의 게시물에 싣도록 하겠습니다.
첫댓글 어마어마한 자료네요 북마크 하고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대단하시고 감사하다는 말밖에 안 나오네요
멋져요 정말 대단하십니다
와 대단한 내용이네요.
우와... 엄청나네요.. 정독해보겠습니다!!!
저도 정독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선댓글 후정독. 감사합니다. 천천히 보겠습니다.
정말 대단하세요. 리스펙트!!! 감사합니다. 갑자기 EMINEM님이 어려워집니다 ㅎㅎ
이런 고급 학습법을!!! 감사합니당
엄청난 퀄리티의 글이네요 ㄷㄷㄷ 좋은글 정말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어제밤에 좋은 글 꼼꼼히 천천히 읽다가 잠들었어요 ㅎㅎ 한번에 볼 양이 아니고 여러번 정독해야겠네요 ㅎㅎ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더불어 상당한 양의 글을 정성스럽게 쓰느라 고생하셨어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겠네요
완전 좋아요
와... 멋집니다! 감사합니다!
영어 고급 학습
이야~~ 대단하시네요~ 좋은 자료입니다~
고등 숩하다가 잠시 쉬는시간에 요거 보다가 늦었습니다^^
지방에서 조그마한(?) 학원운영중입니다~
저도 이짓(?)하면서 여러 딜레마에 빠졌죠~ 나름 영국서 이리저리 땄었던 티칭자격증에 대학다닐때부터 토익강사알바에 이래저래 하면서 자신감이 있었죠~
초등생들에게 어학과정을 씨게 밟아놓으면 중-고등때 시험영어하면서 어학은 저멀리......다시 대학가서 어학하면 또다시 취업때 시험영어....
실무가서 다시 또 어학...^^::
에효~ 다시 갑니다~ 수능특강하러 ㅎㅎㅎ
감사합니다. 공부하겠습니다 ㅠㅠ
그야말로 장인이시네요
같은 분야는 아니지만 저도 업무상 영어를 자주 접하게되는데.. 아주아주 유익한 글이네요. 감사합니가^^ 스크랩 해두고 여러번 정독해야겠어요.!
정성글 감사합니다 영어 공부할때 참고하겠습니다
늦은 답변이지만 어마어마한 자료 같습니다.
책으로 출판하셔도 될듯하네요^^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