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산[曹溪山]
높이 887m이다. 소백산맥 끝자락에 솟아 있다. 고온다습한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예로부터 소강남(小江南)이라 불렸으며, 송광산(松廣山)이라고도 한다. 피아골·홍골 등의 깊은 계곡과 울창한 숲·폭포·약수 등 자연경관이 아름다워 1979년 12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동쪽의 계곡 물은 이사천(伊沙川), 서쪽의 계곡 물은 송광천으로 흘러드는데, 특히 비룡폭포가 유명하다. 서쪽 기슭에는 삼보사찰 가운데 승보사찰(僧寶寺刹)인 송광사(松廣寺)가 자리한다. 이 곳에는 목조삼존불감(국보 42), 고려고종제서(高麗高宗制書:국보 43), 국사전(국보 56) 등의 국보와 12점의 보물, 8점의 지방문화재가 있다.
동쪽 기슭에는 선암사(仙巖寺)가 있다. 이 곳에도 선암사 삼층석탑(보물 395), 아치형 승선교(昇仙橋:보물 400) 등 문화재가 많다. 그 밖에 송광사의 곱향나무(일명 쌍향수:천연기념물 88), 승주읍 평중리의 이팝나무(천연기념물 36) 등이 유명하고, 선암사의 고로쇠나무 수액과 송광사 입구의 산채정식 등이 먹을거리로 꼽힌다.
산 일대의 수종이 다양해 산 전체가 전라남도 채종림(採種林)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선암사[仙巖寺] (유네스코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아름다운 사찰 7개중에 1곳)
전라남도 순천시에 있는 고찰로 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선암사사적기(仙巖寺寺蹟記)》에 따르면 542년(진흥왕 3) 아도(阿道)가 비로암(毘盧庵)으로 창건하였다고도 하고, 875년(헌강왕 원년)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고 신선이 내린 바위라 하여 선암사라고도 한다. 고려 선종 때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중건하였는데, 임진왜란 이후 거의 폐사로 방치된 것을 1660년(현종 1)에 중창하였고, 영조(英祖) 때의 화재로 폐사된 것을 1824년(순조 24) 해붕(海鵬)이 다시 중창하였다.
6·25전쟁으로 소실되어 지금은 20여 동의 당우(堂宇)만이 남아 있지만 그전에는 불각(佛閣) 9동, 요(寮) 25동, 누문(樓門) 31동으로 도합 65동의 대가람이었다. 특히 이 절은 선종(禪宗)·교종(敎宗) 양파의 대표적 가람으로 조계산을 사이에 두고 송광사(松廣寺)와 쌍벽을 이루었던 수련도량(修鍊道場)으로 유명하다. 경내에는 선암사 삼층석탑과 순천 선암사 대웅전 등 다수의 중요문화재가 있어 역사적 가치가 크다. 2009년 12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2018년 6월 30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에 포함되는 7개의 사찰 중 한 곳이다.
※※ 유네스코에 등재된 한국의 아름다운 사찰 7곳 : 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
송광사[松廣寺](한국의 삼보사찰중 승보사찰인 송광사)
해인사, 통도사와 더불어 우리 나라 삼보사찰(三寶)의 하나로 승보사찰(僧寶:훌륭한 스님을 가장 많이 배출함으로서 얻어진 이름)의 명예를 갖고 있는 매우 유서깊은 사찰로서 통도사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져있기 때문에 불보사찰(佛寶), 해인사에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팔만대장경의 경판이 모셔져있기 때문에 법보사찰(法寶), 그리고 송광사는 한국불교의 승맥(僧脈)을 잇고 있기 때문에 승보사찰(僧寶)이라고 합니다. 송광사는 무소유의 저자인 법정스님이 기거했던 사찰로 아무것도 갖지 않을 때, 비로소 온 세상을 갖게 된다’라는 무소유 정신으로 잘 알려진 법정 스님이 손수 짓고, 17년간 수행한 불일암이 있는 사찰.
《송광사지(松廣寺誌)》에 따르면 신라 말기에 혜린(慧璘)이 마땅한 절을 찾던 중, 이곳에 이르러 산 이름을 송광이라 하고 절 이름을 길상(吉祥)이라 하였는데, 사찰의 규모는 불과 100여 칸에 지나지 않았고 승려의 수효도 겨우 30∼40명을 넘지 못하였다. 처음에 이렇게 창건된 뒤 고려 인종(仁宗) 3년(1125)에 석조(釋照)가 대찰을 세울 뜻을 품은 채 세상을 뜨자, 1197년(명종 27) 승려 수우(守愚)가 사우(寺宇) 건설을 시작하였다. 3년이 지난 뒤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 정혜사(定慧社)를 이곳으로 옮겨와 수선사(修禪社)라 칭하고, 도(道)와 선(禪)을 닦기 시작하면서, 대찰로 중건하였다. 이 사찰을 안고 있는 조계산은 이때까지 송광산이라 불렸는데, 보조국사 이후 조계종의 중흥도량(中興道場)이 되면서부터 조계산이라고 고쳐 불렸다. 조계종은 신라 때부터 내려오던 구산선문(九山禪門)의 총칭으로, 고려 숙종(肅宗) 2년(1097)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이 일으킨 천태종(天台宗)과 구별해 이렇게 부르기도 하였다. 이후 보조국사의 법맥을 진각국사(眞覺國師)가 이어받아 중창한 때부터 조선 초기에 이르기까지, 약 180년 동안 16명의 국사를 배출하면서 승보사찰의 지위를 굳혔다.
천자암 쌍향수(향나무: 수령 800년, 천연기념물 제88호)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松廣寺)의 산내암자이다. 송광사의 제9세 국사인 담당국사(湛堂國師)가 창건하였으며, 담당이 금나라 왕자였으므로 천자암이라 명명하였다고 한다.
그 뒤 1633년(인조 11) 설묵대사(雪默大師)가 중창하였고, 1730년(영조 6) 자원대사(自願大師)가 중건하였으며, 1740년 지수(指修)·자징(慈澄) 등이 만세루(萬歲樓)를 중건하였다. 1797년(정조 21) 제운(霽雲)·두월(斗月)이 중건, 1893년(고종 30) 구연대사(九淵大師)가 성산각(星山閣)을 신축하였으며, 1924년 기산(綺山)·해은(海隱)이 중수, 1939년 금당화상(錦堂和尙)이 칠성각을 건립하였으며, 1992년에 법당을 지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법당을 비롯해서 나한전·산신각·법왕루·요사 등이 있다. 암자의 뒤쪽에는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쌍향수(雙香樹)가 있다. 이 두 그루의 곱향 나무에는 창건자인 담당국사와 연관된 전설이 전한다. 보조국사가 금나라 장종(章宗) 왕비의 불치병을 치료하여준 것이 인연이 되어 그 왕자 담당을 제자로 삼아 데리고 귀국한 뒤, 짚고 온 지팡이들을 암자의 뒤뜰에 꽂아둔 것이 자란 것이라고 전한다. 이 나무는 수령 800년에 높이 12.5m에 이른다. 그러나 보조국사와 담당국사의 연대적 차이가 100여년에 이르므로 이 전설을 믿기는 어렵다. 천자암은 대표적인 조계종 참선도량의 하나로서 수행자들의 정진 장소가 되어 있다.
유네스코에 등재된 선암사 한국 아름다운 사찰 7곳중 1곳
선암사 3층석탑[통일신라시대 축조 보물 395호]
수령 800살 썅향수(향나무)[천연기념물88호][높이12.5m, 둘레:4m]
한국 삼보 사찰중에 승보사찰 송광사 우화각과 삼청교[오른쪽사진]
첫댓글 이경대외 1명 예약합니다
황병주 소원섭 라민자 송예원
이광영 도명식 장정대
김헌상 김태진 안태성
심만섭 임락환 이상채 전흥수 김정애
김동심 김태수 박두술 김경순 김용환
이서진 오인석
지인 1명 예약합니다
참석
오길숙 김선옥 임인숙
양성숙님 정수지님 김병희님 예약합니다
이양순 허승희 예약합니다
예약
고은정님 예약합니다
이임충 예약합니다.
참석요!!!
예약합니다
정준희 예약합니다
김해영님 예약합니다
이승조/허성회 예약합니다
== 감사 합니다 여기까지 마갑합니다 ==
♡♡♡ 대기 예약 받습니다 ♡♡♡
대기예약합니다
예약해주셔서 감사 합니다 모시겠습니다
대기 예약합니다
예약해주셔서 감사 합니다 모시겠습니다
==== 감사 합니다 여기까지 마갑합니다 ====
♡♡♡ 대기 예약 받습니다 ♡♡♡
지인 두분 대기 예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