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 문) 축문에 쓰이는 낱말의 뜻을 자세히 알려 주십시오.
★ 29 답) 祝文의 낱말 해석, 아래를 참고하십시오.
1. 현고(顯考)와 황고(皇考)
서기 1297년 以前에는 황고(皇考),황비(皇妣)로 썼는데 元나라 황제가 황(皇)자를 못쓰게하고 현(顯)자를 쓰게하였다.
현(顯)자는 높인다는 뜻으로써 元 나라 이후부터 亡父 또는 亡祖父에 대하여 존칭으로 쓰여지게 되었다.
2. 부군(府君)
부군이라 함은 漢나라 때에 地方太守(지방장관)의 존칭어로 쓰여져 왔으며 宋나라 시대에 朱子가 주자어록(朱子語錄)에 亡父 또는 亡祖父의 존칭으로 쓰여지도록 한데서 由來하였다.
3. 호천망극(昊天罔極) : 욕보지은(欲報深恩 은혜를 갚고싶음)인데 호천망극(昊天罔極)이로다. 부모님의 깊은 은혜를 갚고저 하건데 하늘이 다하도록 한이 없어 보답할 길이 없다는뜻.
4. 공신전헌(恭伸奠獻) :공(恭)은 肅也니 엄숙하다는 뜻이고, 신(伸)은 예기 곡례에 지권측흠(志倦측欠 정신이 해이하면 하품이 나온다)는 뜻이요. 체권측신(體倦측伸 몸이 해이하면 지지개가 난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그러므로 제사를 올릴때는 엄숙한 자세와 淸新한 정신으로 행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전(奠)은 올린다는 뜻이고. 헌(獻)은 呈也니 받친다는 뜻임.
5. 상향(尙饗)
상(尙)은 尊也니 높인다는 뜻이요. 향(饗)은 흠향한다는 뜻이니 높이 흠향하시라는 뜻이다.
한국 전례원 예절 100문 100답에서 옮겨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