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재식 / 출입 금지 구역 『계간 시평』... 자유문학 2010년 봄. 제75호... 2010.3.30. 발행
■ 안재식 『계간 시평』
- 출입 금지 구역 / 주경림 평론
。 자유문학 2010년 제75호
。 2010년 3월 30일 발행
。 정가 10,000원
안재식 시인의 시문학 계간시평
출입 금지 구역
내 안의 우주, 내 밖의 우주 / 주경림 서평
.안재식 '출입 금지 구역' (自由文學, '09년 여름호)
.안차애 '그리운 몇 컷' ('우리', '10년 5월호)
·조영실 '생각은 촉수가 길다' ('自由文學, '09년 가을호)
.정연희 '꽃밭의 저편' ('미네르바', '10년 여름호)
.박남주 '자연법' ('문학과 창작', '10년 여름호)
.이 솔 '7월의 까치가 그리는 소리의 각은' (한국 현대시' '09년 하반기)
1. 들어가며
붉은 장미꽃이 담벼락에 불길 번지듯 타오르는 초여름, '自由文學' 2009년 겨울호에 실릴 계간평을 쓴다. 문학 작품, 또한 그시대의 사상과 시대의 조류를 반영해서 쓰여 진다는 측면에서 볼 때는 뒤처지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스쳐 지나갔다. 허나. '시예술'의 진면목이란 시공을 초월해 우리에게 삶의 지혜를 일깨워주고 상처받은 영혼에 대한 위로와 치유의 기능, 특별한 감흥을 선사해주기에 인위적으로 나눈 시간의 구획은 별 문제될 것같지 않았다.
평범한 일상의 삶과 자연속에서도 시인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시의 축포를 터트렸다. 필자가 그 감흥속에 빠져있을 때, 한국 최초의 우주 발사체, '나로 호' 추락 소식을 들었다. 1백 37초만의 안타까운 일이었다. 그러나 우주 강국의 희망은 계속 이어질 것이기에 다음 기회에 꼭 성공하리라 믿어본다. 이 지면에서는 시인들이 상상의 로켓을 타고 넘나들 수 있는 그들만의 독자적인 우주를 슬쩍 들어가보기로 했다.
2. 우주, 그치열한 삶의 현장
내다버린 화분에 민들레꽃이 자기만의 우주를 만들어놓았다 개미 . 진드기처럼 작은 생명들도 키워냈다 그곳은 먹고 싸우고 죽고 태어나고 바쁘게 살아가는 삶의 현장이다.
우두커니 지켜본다
이방인 출입 금지 구역
옐로카드를 내미는 민들레꽃
버림받을 때와는 영 딴판이다
전혀 빈틈이 보이지않는다 《안재식, '출입 금지 구역' 전문》
안재식 시인의 시 '출입 금지 구역'은 버려진 화분을 시적 대상으로 삼고 있다. 시의 내용만으로는 애초에 그 화분에 무슨 꽃이 심어졌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단지 화분의 주인공이 죽었거나 몹시 상해서 흙 담긴 화분을 버렸으리라 짐작해 볼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지나치기 쉬운 풍경인데, 시인의 예리한 눈은 버려진 공간인 그곳에 생명의 뿌리를 내린 민들레꽃을 포착한다. 우연히 떨어졌을 민들레 씨앗 한 톨로 말미암아 버려진 화분은 생명의 공간인 '자기만의 우주'로 탈바꿈한다. 그곳은 개미 . 진드기처럼 작은 생명들과도 함께 사는 상생의 공간이 된다. 또한 '먹고 싸우고 죽고 태어나고 바쁘게 살아가는' 생태계의 순환까지도 시인은 읽어낸다.
둘째 연에서 시인은 '우두커니 지켜본다'로 자신의 존재를 비로소 드러낸다. 겉보기로는 무심한 듯하지만 생명성에 대한 경이로움과 연민이 감추어져 있다. '자기만의 우주'를 지켜내려는 보호 본능으로 돌연, '이방인 출입 금지 구역'이라는 선언은 시의 전환부라 할 수 있다. 화분을 내다버리듯 민들레를 뽑고 작은 생태계를 파괴해 버릴지도 모르는 인간에 대한 경고이다. 노란꽃 색을 '옐로카드'로 읽어내는 시인의 재치가 돋보인다. 황폐한 죽음을 딛고 피어난 야생의 생명력이 '자기만의 우주'를 멋지게 가꾸어놓았다.
안재식 시인의 '출입 금지 구역'이 화분안의 소우주였다면, 이번에는 안차애 시인의 '그리운 몇 컷'을 통해 확대된 공간에서의 '우주 쇼'를 관람해 보자.
5.끝맺으며
이상으로 시대의 조류에 편승하지않고 어떤 이념이나 주의를 표방하지도 않으며 묵묵히 서정시를 써온 시인들의 시를 읽어보았다. 그들의 진정성이 독자의 심중에서 감동으로 물결쳤을 때 비로소 한 편의 시가 온전히 완성되는 것이리라. 말많은 세상이기에 여백과 행간에도 중요성을 두는 시쓰기기의 의미가 더욱 귀하게 여겨진다. 아마 이글을 받아볼 즈음은 장마가 질 것이다. 雨後竹筍으로 솟아날 건강한 시들을 만날 수 있으리라.
| ▶안재식(安在植) 약력 1942년 서울 신설동 출생. 한국문인협회 편집위원, 국제PEN한국본부 자문위원, 한국현대시인협회 이사, 한국아동문학회 지도위원, 「소정문학」 동인, 중랑문학대학 출강. 수상 : 환경부장관 표창(1997. 문학부문), 한국아동문학작가상 외 시가곡 : 「그리운 사람에게」 등 20여곡 저서 : 『야누스의 두 얼굴』 등 20여권 |
#안재식 #출입금지구역 #내안의우주 #내밖의우주 #주경림평론 #우주그치열한삶의현장 #자기만의우주 #생명사랑 #생명의공간 #이방인 #생태계파괴 #생태계순환 #상생공간 #생명력 #자유문학 #계간시평